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초목
풀
식물계
식생
야채
식물체
플랜트
뉴스
"
식물
"(으)로 총 2,164건 검색되었습니다.
먹이 사슬을 한눈에 보다
수학동아
l
2015.09.25
수 있는 수학 모형을 개발해 ‘사이언스’ 8월 21일자에 발표했습니다. 먹이 그물은 동
식물
이 서로 먹고 먹히는 먹이 연쇄가 그물처럼 얽혀 있는 관계를 의미합니다. 워낙 복잡해 지금까지는 각각의 먹이 사슬을 개별적인 모형으로 나타낼 수밖에 없었습니다. 돕슨 교수팀은 생물의 탄생과 죽음, ... ...
‘한국의 파브르’ 정부희 곤충기를 아시나요
과학동아
l
2015.09.25
마련했다. 파브르가 말년을 보내던 개인곤충연구소와 빼닮았다. 그는 이곳에 곤충의 먹이
식물
150종을 심어 찾아오는 곤충을 관찰하고 있다. ● 아마추어 곤충학자들의 ‘사랑방’ 열다 6월 26일 창간한 아마추어 곤충학술지 '계간 곤충' - 충우곤충박물관 제공 파브르는 지금 기준으로 보면 ... ...
농작물 품질향상 가능…
식물
종자 어떻게 싹트는지 알아냈다
2015.09.23
연구로 배젖에 위치한 두 가지 수송체와 배아에 위치한 두 수송체의 상호작용을 찾으며
식물
종자발아 기전을 모두 알게 된 셈이다. 이 교수는 “이번 연구 결과로 휴면 상태를 더 잘 유지하는 돌연변이 종자를 만들 수 있을 것”이라며 “각종 종자 품종 개량사업에 응용하면 시기에 맞지 않는 ... ...
인터스텔라는 해피엔딩… ‘마션’ 주인공은 지구 귀환 가능할까
2015.09.20
있을 만큼의 식량을 확보해야만 한다. 기계공학자인 동시에
식물
학자인 와트니는 자신의
식물
학 지식을 총 동원하는 동시에 ‘맥가이버’와 같은 재치로 화성의 살인적인 환경에 맞서 싸운다. 와트니의 싸움은 짧은 상영 시간에 쫓긴 영화 보다는 598쪽에 이르는 소설 쪽이 좀 더 상세하고 친절하게 ... ...
빛으로 칼슘이온 조절하고 기억력도 높인다
2015.09.15
빛을 만나면 칼슘이온 통로가 열리는 융합단백질을 만들었다. 청색 빛을 쬐면 뭉쳐지는
식물
의 광수용단백질과 칼슘이온 통로를 여닫는 인간의 조절단백질을 결합해 만든 것이다. 생쥐에게 이 융합단백질을 주입한 뒤 청색 빛을 쬐자, 칼슘이온 통로가 열리면서 기존 방법보다 5~10배 많은 ... ...
쫄깃하고 맛있는 송편을 만드는 비법 대방출!
어린이과학동아
l
2015.09.14
예전에는 흰색과 녹색, 두 가지 송편을 만들었어요. 녹색 송편을 위해서는 다양한
식물
을 이용했어요. 대표적인 재료가 바로 ‘쑥’이지요. 반죽에 쑥을 넣으면 녹색이 나는데다, 쑥의 향까지 어우러져 아주 맛있는 송편을 만들 수 있거든요. 그뿐만이 아니에요. 쑥에는 식이섬유가 많이 들어 ... ...
인류를 만든 건 ‘젤나가’일까?
2015.09.13
오브 스틸’ 등으로 대중에게도 익숙해진 SF용어인 ‘테라포밍’은 지구의 미생물과
식물
등을 보내 척박한 외계 행성을 인간이 살 수 있는 환경으로 바꿔놓는 기술을 말한다. 미지 문명의 테라포밍에 의해 지구가 현재와 같은 모습이 됐으며, 생명체가 싹트기 시작했다고 상상해 본다면, 이것은 ... ...
식물
‘메이애플’서 항암제 합성 원료 발견
2015.09.13
도움이 되는 물질을
식물
에서 분리하고 합성경로를 밝히는 일이 연구 분야”라며 “
식물
이 물질을 합성하는 경로를 따라 생합성을 설계하면 물질을 보다 쉽고 빠르게 얻을 수 있다”고 말했다. ... ...
지구상 나무는 총 3조 그루, 1인당 422그루 소지
2015.09.13
숲의 30%도 사라질 것으로 예상했다. 크라우더 연구원은 “이 연구결과가 지구의 동
식물
다양성이나 기후변화 등을 연구할 때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며 “해마다 없어지는 나무는 150억 그루인데 반해 새로 심는 나무는 50억 그루에 불과한 만큼 행동의 변화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 ...
화성에서 살아남기 위한 9가지 기술
2015.09.11
- NASA 제공 NASA는 ‘베지(Veggie)’라는 우주 농사법을 개발했다. 베지는 인공 빛으로
식물
을 키우는 수경재배 시스템이다. 지난해 국제우주정거장(ISS)에서는 우주인들이 베지로 상추를 기르는 데 처음으로 성공했다. 지난달에는 우주인들이 국제우주정거장에서 재배한 상추를 먹는 모습이 NASA TV로 ... ...
이전
177
178
179
180
181
182
183
184
18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