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한국사람"(으)로 총 1,878건 검색되었습니다.
- 원자력의 전망이 어둡다고요?절대 그렇지 않습니다!KAIST l2013.05.28
- FTREX(Fault Tree Reliability Evaluation eXpert)는 세계에서 가장 빠르고 정확한 원자력 발전소 확률론적 안전성 평가 소프트웨어다. 이FTREX를 개발한 사람이 바로 KAIST 원자력및양자공학과 출신의‘ 정우식’ 한국원자력연구원 종합안전평가부 책임연구원이다. 우리나라의 원자력 기술의 우수성을 세계에 널 ... ...
- 감시의 성격을 바꾸어 놓은 테크놀로지KOITA l2013.05.28
- 최근 언론과 인터넷, 정계를 뜨겁게 달군 뉴스가 있었다. 바로 윤창중 전 청와대 대변인의 성폭행 사건. 윤 씨는 박근혜 대통령의 방미 기간 중 외교부 여성 인턴을 성폭행한 후 대통령 수행단과는 별도로 한발 앞서 귀국했다. 윤 씨와 청와대의 주장이 서로 엇갈리는 가운데 입장을 정확히 밝히지 ... ...
- 세계 원자력 R&D를 선도하는 한국원자력연구원KAIST l2013.05.27
- 흔히 원자력은 두 가지 얼굴을 가졌다는 말을 많이 한다. 원자력은 원자폭탄, 방사능 등과 같이 위험천만하고 무서운 얼굴을 가지고 있으며 이미 제2차 세계대전, 일본 후쿠시마 원전사고나 체르노빌사건등으로 전 세계 사람들에게 그 공포를 보여주었다. 이와는 반대로 현재 전 세계 에너지의 19%를 ... ...
- 2020년 융합신산업 핵심은 ‘나노기술(NT)’동아사이언스 l2013.05.23
- 손웅희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산업융합진흥본부장 -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제공 “나노기술이란 10억 분의 1(Nano)이라는 말 그대로, 눈에 보이지도 않는 정밀한 분자 단위를 제어하는 겁니다. 어떤 산업기술에도 응용할 수 있지만 위험성도 높지요. 아직은 정부의 계획적인 관심과 투자를 통해 전략적으 ... ...
- [채널A] 암 따라 병원도 다르다…대형병원 차별화 전략채널A l2013.05.23
- [앵커멘트] 어느 병원이 무슨 암을 잘 치료하는지 알고 계십니까? 암 치료에도 '선택과 집중'이 중요한 시대가 됐습니다. 이현경 과학 전문 기자가 알려드리겠습니다. [리포트] 국내에서 암 치료를 받고 있거나 치료 후 완치된 환자 수는 100만 명에 이릅니다. 이 가운데 갑상선암을 제외하고 위암과 ... ...
- '원자력및양자공학과’가 궁금하다KAIST l2013.05.23
- 전 세계 주요 에너지원 중에서 우리 생활과 가장 밀접하게 맞닿아 있는 에너지는 무엇일까? 많은 사람들이 원자력에너지를 처음으로 꼽을 것이다. 원자력 에너지가 다른 신재생에너지에 비해 실효성이 높으며 에너지 안보, 전기요금, 연료조달, 환경문제 측면에서 가장 적합하다는 것이 전문가들 ... ...
- [연구실 탐방]RDMIS 연구실 고속, 고감도의 방사선 검출을 선도한다KAIST l2013.05.22
- 최근 대중들에게 원자력이 알려진 것은 석유 고갈 문제로 말미암은 대체에너지 개발과 후쿠시마 원전 폭발 사고의 영향이 크다. 이 때문에 원자력을 발전 관련 분야로만 생각하는 경향이 생겼다. 하지만 KAIST의 원자력및양자공학과의 분과에는 지속가능 원자력 에너지 기술 외에 혁신 방사선 과학 ... ...
- ‘정크 DNA’는 정말 쓰레기통에 버려야 할 개념인가?동아사이언스 l2013.05.22
- 2012년 9월 6일자 ‘네이처’가 엔코드 프로젝트의 연구결과를 소개하면서, 정크 DNA가 폐기해야할 용어라는 기사가 다음날 ‘사이언스’에 실렸다. 그러나 지난 4월 2일 ‘미국립과학원회보’에는 엔코드 결과를 비판하는 글이 실려 정크 DNA를 둘러싼 논쟁이 계속되고 있다. - 강석기 제공 “지 ... ...
- '이달의 과학기술자상' 5월 수상자 서울대 강병남 교수 선정동아사이언스 l2013.05.16
- 미래창조과학부와 한국연구재단은 “폭발적 여과전이 모형(폭발적 여과전이 : 억제하는 환경 속에서 거대 클러스트들이 갑자기 형성되는 현상을 말함)을 적용하여 고온․고압 등 극한의 열역학 환경에서 발생하는 물질의 상태변화 현상”을 밝혀낸 공로로 서울대학교 강병남 교수(姜秉南, 54세)를 ... ...
- 한국의 태양 KSTAR를 만드는 사람들_김재현 박사를 만나다KAIST l2013.05.15
- 에너지 부족 현상이 전 세계적으로 큰 화두가 되고 있다. 아직도 해결책은 찾지 못하였으나 많은 사람이 핵융합을 잠재적인 해결책으로 바라보고 있다. 수소, 중수소를 이용하는 만큼 원료가 풍족하며 원자력과 다른 안전성과 지속가능성이 있는 핵융합발전이 녹색에너지원으로 떠오르고 있는 것 ... ...
이전17417517617717817918018118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