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한국인
스페셜
"
한국사람
"(으)로 총 1,878건 검색되었습니다.
“가을되면 신종 플루 변종 나올 수도”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요즘 신종인플루엔자A(H1N1)가 이슈가 되고 있지요. 한국에서 백신(예방약)을 개발했다는 이야기도 들었어요. 하지만 인플루엔자는 지속적으로 변종이 나옵니다. 다가올 가을과 겨울을 조심할 필요가 있습니다.” 한국인 재미 화학자로 세계에서 유일한 먹는 독감 치료제 ‘타미플루’를 개발하는 ... ...
“의료현장 요구 연구로 이어가야”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방사익 성균관의대 성형외과 교수 사진 제공 삼성서울병원 얼굴과 몸에 깊은 상처를 간직한 채 살아가는 사람들이 있다. 방사익 성균관대 성형외과 교수는 이런 환자를 볼 때마다 안타까운 마음을 감출 수가 없었다. 불필요한 지방을 뽑아내 상처에 이식하는 방법이 있지만 살아서 정착하는 비 ... ...
“바이오 전담 부처와 장관 있어야”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정책입안 현장에 BT 전문가가 없다. 현실을 반영한 정책이 나올리 만무하다. 사람이 없는 것이 아니다. 통일된 목소리가 없다.” 9일 포스텍에서 진행된 ‘제7회 생명공학정책연구포럼’에 한나라당 배은희 의원이 주제발표자로 나섰다. 그는 정책입안 현장에서 부터 BT분야 전문가들이 적극적으 ... ...
“생명공학 산업화, 포스코·삼성같은 일류기업 나서야”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페니실린 발견은 영국이 했지만 상용화에 성공한 것은 미국이다. 구연산을 팔던 화이자는 페니실린 대량 생산에 성공해 세계 1위 기업이 됐다. 화이자의 뒤에는 원자폭탄 개발에 맞먹는 투자를 감행한 미국 정부가 뒤에 있었다. 세계 1위 기업을 만들기 위해서는 정부의 투자와 조정역할이 무엇보 ... ...
“융합형 뇌 연구는 시대의 흐름…대형 연구소 세워야”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1998년 시행된 뇌연구촉진법 가운데 1단계인 초기 10년 계획이 지난해 끝났다. 올해부터 한국뇌연구원 설립을 위한 2단계 계획이 시작되지만 정권 교체와 경기 침체가 맞물려 시행이 차일피일 미뤄지고 있다. 세계 각국에선 ‘소(小)우주’라 불리는 뇌 융합 연구가 한창 주가를 높이고 있지만 국내 ... ...
“유전체 연구분야 국가위상 높여야…통합조정기관 설립 필수”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지난해 말 한국인의 유전체(게놈) 지도가 처음으로 완성됐다. 피 검사 한번으로 앞으로 자신에게 발생할지 모를 질병을 예측하는 시대가 오게 됐다고 당시 떠들썩했다. 개인별 맞춤의학 시대를 열 수 있는 유전체 연구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 지금, 연구를 주도한 김성진 가천의대 이길여암당뇨 ... ...
“한국 나노산업엔 디딤돌 필요… 색다른 관점으로 상용화 이끌어야”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박종구 나노융합2020사업단장은 나노기술이 상용화에 성공하려면 다양한 분야가 융합해 색다른 관점을 제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나노융합2020사업단 제공 “우리나라의 나노기술 수준은 세계 4위권, 산업화할 수 있는 능력은 세계 1위입니다. 하지만 이런 역량을 기업의 경쟁력과 연결할 ‘플랫 ... ...
나노 원천기술 개발 비결은? “공동연구가 해법이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2012년에 나노기술을 접목해, 유전자 칩 기술을 개발한 적이 있어요. 세포 내에 있는 나노단위 미세 구조를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기술이었는데, 이 기술은 국내 한 특허사업화 전문기업에 고가로 팔렸어요. 나노기술을 접목해 흔한 유전자 칩 기술을 업그레이드 한 결과죠.” 나노(NANO)란 ‘10억분 ... ...
세상을 바꾸고, 미래를 선도하는 혁신기술_반도체의 어제와 오늘 그리고 내일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1948년, 트랜지스터의 발명은 전 세계를 요동치게 만들었고 이후 IT업계의 판도를 완전히뒤바꾸어 놓았다. 집적회로 개발 이후 반도체 기술은 빠르게 발전했으며 금새 생활 곳곳에 반도체가 사용되지 않은 곳이 없는 ‘반도체 시대’가 열렸다. 이와 함께 인텔, 삼성 등의 기업들은 최신 반도체를 속 ... ...
“바이오 인재 양성은 학교책임? 산학연 모두의 몫!”
동아사이언스
l
2013.04.29
이상기 순천향대 교수 “바이오 분야는 다른 어떤 분야보다 연구개발(R&D)로 승부를 걸어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 가장 중요한 것은 바로 전문 인력 양성입니다.” 이상기 순천향대 의료생명공학과·의약공학과 교수(62·사진)는 오랜 연구소 생활과 바이오기업 창업 경험을 들며 인재의 필요성을 강조 ... ...
이전
177
178
179
180
181
182
183
184
18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