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울나라
대한민국
모국
국내
뉴스
"
우리나라
"(으)로 총 3,687건 검색되었습니다.
“광주과학기술원 ‘GI 캠퍼스’를 4차 산업혁명 요람으로”
동아사이언스
l
2017.06.14
캠퍼스를 통해 혁신이 일어나고 이런 움직임이 다른 과학기술원과 대학으로 확산된다면
우리나라
가 창의혁신 국가로 나아갈 수 있다는 뜻이다. GIST의 GI 캠퍼스가 내딛는 발걸음에 주목해 보자 ... ...
유전자변형생물체 수입승인량, 2년 연속 5% 감소
동아사이언스
l
2017.06.13
시험‧연구 목적으로 들어온 LMO는 총 3573건으로 전년 대비 65%나 상승했다. 같은 목적으로
우리나라
에서 개발한 LMO를 해외로 반출한 숫자도 159건으로 2014년 14건에 비해 크게 증가했다. 장호민 바이오안전성정보센터장은 “이번 통계 발표가 2016년 한 해 동안 유전자변형생물체의 국내외 동향을 ... ...
국립과천과학관 광물특별전 ‘광물! 그 아름다움과 가치‘ 열어
동아사이언스
l
2017.06.13
외형을 가진 광물 200여 종을 한 자리에서 살필 수 있다. 특히 ‘아름다운 광물’과 ‘
우리나라
의 광물’ 코너에서는 민 자연사 연구소와 세계광물보석박물관이 보유하고 있던 가공된 보석보다 아름다운 광물과 암석을 전시해 관람객의 눈길을 끌고 있다. 오가희 기자 solea@donga.com 제공 김선호 ... ...
한국형 중이온가속기 ‘라온’ 핵심장치 성능시험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17.06.12
구축 중인 중이온가속기 ‘라온(RAON)’의 저에너지구간 초전도가속모듈. - IBS 제공
우리나라
가 중이온가속기 핵심 장치인 ‘저에너지구간 초전도가속모듈’의 성능시험에 성공했다. 이로써 한국은 미국, 독일, 일본 등에 이어 세계 8번째로 초전도가속모듈을 자체적으로 설계, 제작하고 성능 ... ...
[이상엽 KAIST 교수 칼럼]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위한 교육
2017.06.12
들라고 하면 디지털 시대에 부응하지 못했기 때문”이라고 했다. GIB 제공 이 시대에
우리나라
에 가장 필요한 것은 ‘교육혁신’이다. 미래를 대비하려면 거기에 알맞은 인재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한국의 현실은 ‘입시를 위한 교육’에 머물러 있다. 시험에 필요한 지식과 정보의 전달과 ... ...
[백개사전 07] 여우를 닮은 ‘미니미 개’, 포메라니안
동아사이언스
l
2017.06.11
보다는 원래 좀 잘 짖는 개입니다(웃음). 포메라니안의 인기가 높아지면서
우리나라
에서는 자연스럽게 분양가격이 치솟았습니다. 항간에서는 ‘포메라니안인 줄 알았는데 자라고 보니 스피츠였다’며 속았다는 사람도 있습니다. 강아지일 때 포메라니안과 스피츠는 그만큼 닮았습니다. 다 커도 ... ...
[수(獸)페셜리스트] “동물도 사람처럼 미리 암을 조기에 발견해야 치료가 됩니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6.11
27억 원. 동물병원에 방문하는 대신 약국에서 싼 값에 약을 사 직접 예방 주사를 놓겠다는
우리나라
에서 수의사가 설비를 만드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다. 한 센터장도 한국동물암센터에서 자체적으로 마련하는 것은 어렵다고 털어놨다. “대신 방사선 치료가 필요한 동물은 연구 업체와 업무 협약 ... ...
“자율공모형 기초연구 지원 늘려야 과학강국으로 발돋움”
동아사이언스
l
2017.06.09
하자는 방향으로 정해져 논의가 되고있다"고 설명했다. 윤 과장은 “하지만
우리나라
가 기초연구에 투자한 지는 20년 밖에 안 됐고, 좀 더 투자를 늘리고 시간을 축적해 갈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 적은 기초연구비 해외 인력유출로 이어져 이어진 토론에서 전문가들은 젊은 과학도가 ... ...
“소줏고리 원리를 알아내야, 한국형 증류기를 만들 수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6.09
문화재보존학과 교수, 정대형 발효미생물산업진흥원장이 참가했다. 정대형 원장은 “
우리나라
와 일본에는 청국장과 낫토라는 비슷한 전통 제품이 있지만 현재 두 제품이 세계에서 갖는 위성은 전혀 다르다. 글로벌 시대에는 지금까지 갖고 있던 시각을 바꿔 우리만의 전통이 아닌 세계인이 ... ...
‘티끌 물’ 모아 ‘큰 가뭄’ 잡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6.09
때문이다. 물을 한 번 내리는 데 최대 12L까지 든다. 환경부 상수도 통계에 따르면 2015년
우리나라
1인당 가정용수 사용량은 하루 약 180L. 하루에 변기 물을 5번만 내려도 60L가 필요하다. 기존 변기는 S자형 관과 사이펀 현상을 이용해 오물을 흘려보낸다. 사이펀은 용기를 기울이지 않아도 높은 곳에 ... ...
이전
175
176
177
178
179
180
181
182
18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