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자신
자아
자체
도자기
도기
자기자신
본인
뉴스
"
자기
"(으)로 총 3,757건 검색되었습니다.
‘신의 입자’ 입증한 CERN, 업그레이드 현장에 가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7.04
모습 같았다. 그는 “LHC의 내부를 실제로 본 사람은 많지 않다”며 “가동 중에는 강한
자기
장 때문에 접근이 불가능하다”고 말했다. ●한국 CMS팀, 뮤온 검출기 업그레이드 주도해 유럽입자물리연구소 대형강입자충돌기.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공 LHC는 2018년 12월까지 제2차 가동(Run2)을 ... ...
아기별은
자기
장 ‘그물’의 방해를 뚫고 자란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7.03
쌍극분출류, 붉은색은 멀어지는 분출류로 원반에 수직이다. 녹색 선의 방향이
자기
장의 방향이다. 아기별 주위에서 쌍극분출류에 수직인 방향으로 급변하고 있다고 해석된다. 사진제공 한국천문연구원 ... ...
출범 8년 배출 스타트업만 29개…스마트 융합기술로 유니콘 기업의 요람을 꿈꾼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7.03
기술’이 꼽힌다. 연구단이 개발한 실시간 휴대용 고해상도 근적외선 뇌 영상장치는
자기
공명영상(MRI)이나 컴퓨터단층촬영(CT)에 버금가는 해상도로 뇌를 실시간 관찰한다. 기존 CT나 MRI 장비는 고정식으로 이동이 어려우나 연구단이 개발한 영상장치는 500g에 불과하다. 근적외선을 이용해 뇌혈관 ... ...
최고과학기술人 장석복 교수"랭킹 집착 말고 남이 안하는 새 영역 개척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19.07.02
기준점을 적용해 기초과학 연구를 진행해야 한다”며 “미국의 경우는 5~10% 연구자가
자기
만의 영역을 가지고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이런 부분은 다음 단계로 넘어가기 위한 중요한 요소”라고 설명했다. 장 교수 역시 과학의 새로운 영역을 개척하고 있다. 그는 기초과학 분야인 ‘탄소-수소 ... ...
사람 닮은 로봇을 보면 공포심 생기는 이유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7.02
인형이 사람과 닮을수록 그에 대한 호감도가 증가하다가, 어느 정도에 도달하면 갑
자기
강한 거부감으로 바뀐다며 ‘불쾌한 골짜기’로 설명했다. 하지만 로봇의 외모와 행동이 사람과 거의 구별할 수 없을 정도가 되면, 사람이 사람을 대할 때만큼 로봇에 대해 상당히 호감을 느낄 것으로 예측했다. ... ...
가장 세밀한
자기
공명영상 기술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7.02
성공했다. 이는 기존 분자 수준
자기
공명영상보다 100배 높은 해상도로 원자 1개의 또렷한
자기
공명영상을 최초로 촬영한 것이다. 연구진은 이번에 개발된 기술을 이용해 단백질이나 양자시스템처럼 복잡한 구조 속에 있는 원자 하나하나의 스핀 상태를 시각화하는 연구를 진행할 계획이다. ... ...
“무어의 법칙 한계를 뛰어넘어라”… 차세대 정보저장 기술개발 각축
동아사이언스
l
2019.07.01
등 여러 특성을 갖고 있다. 그중 하나가 ‘스핀’이라고 불리는 양자역학적 특성이다.
자기
장의 방향을 가리킨다. 입자가 마치 빙글빙글 도는 것같이 측정된다고 해서 ‘회전’이라는 뜻의 스핀으로 불리지만 실제로 전자가 돌고 있는 것은 아니다. 기존 전자공학에 스핀의 특성을 더한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나는 비록 실패했지만 너는 다를 거야"
2019.06.29
온라인에서 지뇽뇽이라는 필명으로 활동하고 있다. 현재는 미국 노스캐롤라이나대에서
자기
자신에게 친절해지는 법과 겸손, 마음 챙김에 대한 연구를 하고 있다 ... ...
자연에 없는 '마법의 물질’을 설계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6.28
드물다. 원하는 특성을 내는 구조물을 설계하는 일도 어렵다. 이 단장은 “전기적 성질과
자기
적 성질을 설명하는 복잡한 물리학 방정식(맥스웰방정식)을 이용해 계산을 하는데, 하나의 조건을 바꾸면 다른 조건도 바뀌는 등 매우 난해하다. 때로는 문제 하나를 해결하기 위해 슈퍼컴퓨터를 ... ...
간세포에 숨어든 말라리아 생존 비결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6.28
수 있는 방법을 찾고 있었다. 연구팀은 말라리아 원충이 사람의 간세포를 빼앗아
자기
은신처로 쓰는 만큼 유전자도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추측했다. 그래서 사람의 간세포에 RNA 조각들을 넣고 말라리아 원충에 감염시킨 뒤 관찰했다. 이 RNA 조각이 서로 상보하는 유전자에 가서 들러붙으면 그 ... ...
이전
176
177
178
179
180
181
182
183
18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