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자신
자아
자체
도자기
도기
자기자신
본인
뉴스
"
자기
"(으)로 총 3,757건 검색되었습니다.
거대한 MRI 장비 크기 절반 이하로 줄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6.27
해상도와 직접적인 관계가 있는
자기
장을 만들어내기 위해 초전도 전자석을 활용한다.
자기
장이 클수록 화질이 좋아진다. 초전도 전자석은 같은 단면적의 구리선과 비교했을 때 훨씬 많은 전류를 흘릴 수 있다. 하지만 초전도 전자석은 일정 전기량 이상에서 발열하면서 타게 된다는 단점이 있다. ... ...
이질적인 소재의 경계에서 제조혁명 씨앗 찾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6.25
김 단장은 “모든 전선엔 전류가 흐르면
자기
장이 발생하는데, 송전선의 버려지는
자기
장만으로 전기를 충전해 전선을 오가면서 안전성을 반영구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기술”이라며 “스마트 건물이나 수송기기에도 활용될 수 있어 향후 사물인터넷(IoT)를 비롯한 4차 산업혁명에 꼭 필요한 ... ...
“경계에서 꽃을 피워라” 소재에서 바이오까지 융합, 또 융합
동아사이언스
l
2019.06.24
등을 개발 중이다. 연구단이 개발한 실시간 휴대용 고해상도 근적외선 뇌 영상장치는
자기
공명영상(MRI)이나 컴퓨터단층촬영(CT)에 버금가는 해상도로 뇌를 실시간 관찰하는 길을 열었다. 국내외 의사 50여 명이 연구에 활용 중이다. 동시에 12기 이상을 충전시키는 무선충전기술, 플라스틱을 이용한 ... ...
사랑이 식었다는 증거
팝뉴스
l
2019.06.22
시선을 사로잡은 사진이다. 남녀가 샌드위치를 나눠먹으려 한다. 그런데 다퉜다.
자기
가 조금더 많이 먹기를 바랐던 것이다. 둘은 정확히 반으로 나누기로 합의를 본 후에 줄자를 이용하기에 이른다. 사랑이 뜨거울 때는 이렇지 않다. 상대가 먹는 것만 봐도 행복하고 배가 부르다. 사랑이 식으면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당신 내민 작은 손길이 누군가에겐 '희망'이다
2019.06.22
온라인에서 지뇽뇽이라는 필명으로 활동하고 있다. 현재는 미국 노스캐롤라이나대에서
자기
자신에게 친절해지는 법과 겸손, 마음 챙김에 대한 연구를 하고 있다 ... ...
한국물리학회 ‘플라스마물리학 신진과학자상’에 유민구 씨
동아사이언스
l
2019.06.21
형성 과정 한국이 밝혔다) 유 연구원팀은 이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핵융합로의 복잡한 전
자기
장 구조를 쉽게 해석할 수 있는 방법도 제시했다. 이를 통해 국제열핵융합실험로(ITER) 등 미래 핵융합장치의 초기 시동 시나리오를 설계하고 최적화하는 데 큰 파급력을 낼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유 ... ...
생물처럼… 몸속 ‘피’ 흐르는 로봇 물고기가 스르르 헤엄쳤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6.21
공급한다. 로봇 물고기는 아직은 실제 물고기처럼 민첩하지는 못해도 스스로 1분에
자기
몸길이의 1.56배(약 62cm)를 헤엄치는 데 성공했다. 재충전을 하지 않고 37시간 동안 헤엄친다. 소프트 로봇은 주로 실리콘이나 고무처럼 부드럽고 유연한 소재로 만든다. 형태를 마음대로 바꿀 수 있어 사람의 ... ...
방사능 폐수 속 헤엄치면서 세슘만 잡아먹는 미세로봇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6.19
수 있어 작업자가 방사선 노출을 최소화할 수 있다. 세슘을 제거한 이후에도 미세 로봇만
자기
장으로 회수해 방사성폐기물로 분리해 처분할 수 있어 효율성을 높였다. 박 선임연구원은 “미세 수중로봇은 방사성 폐수 처리에 획기적인 발전을 가져올 뿐 아니라 수계 환경 정화와 산업 폐수 ... ...
산림황폐 없고 온난화까지 해결···'강한' 3세대 바이오매스에너지가 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6.19
볼 수 없고 현미경을 통해 보이는 이 초록색 생물은 물속을 자유로이 부유하며
자기
몸무게 2배 정도의 이산화탄소를 흡수해 광합성에 이용한다. 이 생물의 이름은 ‘미세조류’다. 미세조류는 2000년대 이후 온실가스 저감과 에너지 분야에서 가능성을 인정받아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 ...
스마트폰이 말했다 "눈 감고, 명상 시작합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6.17
개선되는 모습을 보였다. 연구팀은 참가자들의 뇌 활동을 뇌전도(EEG)를 통해 검증했다.
자기
통제력과 집중력을 관장하는 내측 전두엽 피질과 측면 전두엽 피질이 활성화되는 것을 관찰했다. 참가자들은 단기기억력도 약 30% 이상 상승됐다. 지글러 교수는 “많은 사람들이 복잡한 현대 기술로 인해 ... ...
이전
177
178
179
180
181
182
183
184
18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