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예측
예기
예견
전망
기대
예보
예감
스페셜
"
예상
"(으)로 총 2,095건 검색되었습니다.
[사이언스 지식IN] 北 신형 ICBM 화성 15형, 워싱턴까지 타격한다고요?
동아사이언스
l
2017.11.29
북한에서 1만㎞ 가량 떨어진 미국 동부 워싱턴 지역까지 도달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
돼 많은 우려를 낳고 있습니다. 군 당국은 오전 브리핑에서 “고각이 아닌 정상각으로 발사할 때 사거리가 최대고도보다 3배 가량 늘어나는 것을 감안하면, (이번 미사일은) 1만 3000㎞이상 날아가는 ICBM급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노세보 효과의 뇌과학
2017.10.17
같이 해석했다. 즉 두 제품 가운데 비싼 크림을 바른 사람들은 부작용이 더 클 것이라고
예상
할 경우 rACC의 활성이 낮아지고 그 결과 rACC의 억제 작용에서 벗어난 PAG의 활성이 커지면서 척수의 통증 회로도 활성이 커진다는 것이다. 연구자들은 노세보 통각과민 효과에 관여하는 이 회로를 ‘rACC-PAG ... ...
[강석기의 과학카페] 2017 노벨상 발표를 지켜보며 떠오른 두 명의 로널드
2017.10.10
per 유전자의 어디가 고장이 났는가를 밝혀내는데, 벤저와 코놉카가 1971년 논문에서
예상
한 그대로였다. 그 뒤 세 사람은 생체시계 작동 메커니즘을 규명했고 관련 유전자들을 추가로 발견했다(자세한 내용은 노벨위원회가 발표한 2017 노벨생리의학상 수상 사유 번역 기사 ‘생체 시계의 비밀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한석봉 모친이 초롱불을 끄고 떡을 썬 까닭은...
2017.09.26
경지에 올랐다. 한호의 ‘증류여장서첩’. ● 마이클 조던은 농구천재가 아니다!
예상
대로 책에는 재능만 믿고 노력을 안 하거나 재능이 없다고 생각해 시도조차 안 한 사람들의 이야기와 함께 숱한 실패에도 좌절하지 않고 이를 자양분으로 삼아 꾸준히 노력해 성공한 사람들의 이야기가 나온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게놈편집으로 흰 나팔꽃 만들었다!
2017.09.12
크리스퍼/캐스9으로 망가뜨리는데 성공한다면 색소를 못 만들어 흰 꽃이 필 것이라고
예상
했다. 사실 흰 나팔꽃은 1631년 그려진 그림 속에서 처음 등장했다. 즉 일본에 나팔꽃이 소개된지 대략 850년 뒤에 변종이 등장한 것이다. 이후 게놈 분석을 통해 DFR-B 유전자의 돌연변이로 효소가 작동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객성과 신성과 초신성
2017.09.05
일치하면 두 백색왜성이 충돌하며 폭발한 초신성이고 파란빛과 자외선 영역이
예상
치보다 좀 더 많으면 동반성에서 물질을 받은 백색왜성이 폭발한 초신성이다. 미국 라스컴브레스천문대 등 미국과 덴마크의 공동연구자들은 지난 3월 10일 관측한, 지구에서 5500만 광년 떨어진 나선은하 NGC 5643에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플라스틱을 분해하는 애벌레가 있다고?
2017.08.15
매립되거나 버려졌다. 바다가 플라스틱 쓰레기로 몸살을 앓고 있는 이유다. 여기까지는
예상
하지 못한 사실도 아니었지만 플라스틱 생산량 추이를 보니 좀 충격적이었다. 1950년 세계 플라스틱 생산량은 200만 톤에 불과했지만 65년이 지난 2015년에는 3억 8000만 톤에 이르러 연평균 8.4%의 폭발적인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생쥐의 앞발이 손이 되지 못한 사연
2017.08.01
잘 발달해 있는 반면 다른 포유류에서는 이 연결이 부실한 것으로 밝혀졌다. 어찌 보면
예상
한 내용이다. ● 정교함을 스스로 버려 미국과 중국, 일본의 공동연구자들은 이 회로가 기존에 추측처럼 진원류의 진화과정에서 나타난 것인지 아니면 포유류의 진화 과정에서 나타났지만 많은 종에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에너지, 당분간은 천연가스에 기대야 할까...
2017.07.11
전후해 이산화탄소 발생량이 정점을 칠 것이라는, 즉 그 뒤 감소세로 돌아설 거라는 당초
예상
과는 달리 지난 3년 사이 이산화탄소 발생량이 증가세를 멈췄고 어쩌면 2016년을 정점으로 올해부터 감소세로 돌아설 지도 모른다고 예측하고 있다. 지구촌의 이산화탄소 발생량이 줄어든 경우는 이미 세 ... ...
육아 로봇이 아이 떨어뜨리면 누구 책임일까?
동아사이언스
l
2017.07.09
가족은 누구에게 책임을 묻는 소송을 제기해야 할까. AI의 발달과 함께 발생할 것으로
예상
되는 사회적 문제들이 우리 사회를 걱정에 휩싸이게 하고 있다. 이번 주 ‘사이언스’엔 자율주행, 가상현실(VR) 등 AI가 접목된 분야에서 발생할 수 있는 새로운 문제점들에 대해 제시하는 편집후기(Editorial ... ...
이전
176
177
178
179
180
181
182
183
18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