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예측
예기
예견
전망
기대
예보
예감
스페셜
"
예상
"(으)로 총 2,095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동물들은 얼마나 똑똑할까
2017.02.28
어느 쪽 벽돌을 먼저 볼까. 유인원과 사람 모두 마지막 위치를 알고 있는 상황1의 경우
예상
대로 왼쪽 벽돌을 보는 쪽이 많았지만(10마리 가운데 8마리), 유인원만 마지막 위치를 알고 있는 상황2에서는 사람이 기억하고 있는 위치인 오른쪽 벽돌을 보는 경우가 많았다(12마리 가운데 9마리). 사람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식충식물 세팔로투스 게놈을 해독해보니...
2017.02.21
유전자, 병 발생 관련 유전자의 발현이 높았다. 이는 포충낭의 형태와 기능을 생각하면
예상
한 결과다. 즉 식충식물은 먹이를 유인해 포획하고 소화한 뒤 흡수해야 하는데 이들 발현의 변화가 각각에 기여하기 때문이다. 즉 형태형성 유전자 발현으로 잎보다 구조가 훨씬 복잡한 포충낭의 전체 ... ...
[사이언스 지식인] 구제역 O형과 A형, 혈액형 같은 건가요?
동아사이언스
l
2017.02.11
안다면 미리 예방할 수 있겠죠? 구제역 백신의 주성분은 짝퉁 VP1 단백질입니다. 침입이
예상
되는 구제역 바이러스의 VP1 단백질을 미리 체내에 주사하는 거죠. A형 항체에서 유추할 수 있는 VP1 단백질, 또는 O형에서 유추할 수 있는 VP1 단백질 등을 불활성화 시킨 채 돼지나 소의 몸 안에 넣는 겁니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털과 땀샘의 음양이론
2017.02.07
위는 정상 생쥐로 땀샘(SwG) 형태가 보이고 땀샘에서 발현하는 유전자인 SMA가
예상
대로 많이 발현돼 있다(맨 왼쪽 사진에서 빨간색). 아래는 BMP신호를 전달하는 유전자가 고장난 생쥐로 땀샘 대신 모낭(HF) 형태가 보이고 모낭에서 발현하는 K17 유전자의 발현량(왼쪽에서 세 번째 사진에서 빨간색)과 ... ...
[사이언스] 다음 선거에서 누가 이길까? 위키는 알고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2.05
비용 없이 막대한 양의 데이터를 수렴할 수 있어 예측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을 것이라고
예상
했다. 선거 당일 저녁. 연구진의 트위터 기반 알고리즘은 클린턴이 55.5%의 득표율로 우세할 것이라 예측했다. 여타 매체와 마찬가지로 결과와 상반되는 예측을 한 것이다. 오후 8시가 돼서야 트럼프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말 빨리하는 사람이 싱거운(?) 이유!
2017.01.23
중국 1위 커제 9단이 3패, 일본 1위 이야마 유타 9단도 1패다. 60전 60승을 거둔 이 괴물은
예상
대로 업데이트된 알파고였다. 1_지난 연말에서 올 연초 사이 국내 인터넷바둑 사이트에 업데이트된 알파고가 일류 기사들과 겨뤄 60전 전승을 거뒀다. 국내 1인자인 박정환 9단은 5패를 한 뒤 “알파고에게 ... ...
[지뇽뇽의 사회심리학 블로그] 계획한 것 달성하려면, 이렇게!
2017.01.21
하지만 우리는 보통 계획 단계에서 실패와 장애물을 함께 고려하지는 않는다. 그 결과
예상
보다 실제 목적지에 다다르는 데에는 훨씬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요되곤 한다. ● 어떻게 해야 할까? 결국 어떤 계획을 현실적으로 매니징하기 위해서는, 하나하나의 계획을 잘 세우는 것 못지 않게 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305] 범고래 암컷이 나이 마흔에 폐경기를 겪는 이유
2017.01.17
두 범고래무리를 이루고 있는 수백 마리의 혈연관계와 사망률을 조사한 결과 번식투쟁의
예상
대로 나이 든 암컷과 젊은 암컷이 동시에 새끼를 키울 경우 나이 든 암컷의 새끼 사망률이 1.7배 더 높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범고래는 15년 정도면 다 자라고 30대에서 40대에 폐경기가 오지만 90살까지 사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303] 현대인들에게 수탉의 울음이 필요한 이유
2017.01.04
이루어지지 않았다. 사실 동물실험 결과가 아니더라도 이런 현상이 일어날 것이라고
예상
할 수 있는데 우리의 경험을 떠올려보면 되기 때문이다. 이처럼 일주리듬과 관련해 21세기 들어 밝혀진 연구결과들은 우리의 마음을 무겁게 하지만 나름의 해결책도 제시하고 있다. 예를 들어 SCN의 생체시계는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4) 생명과학에 보는 재미를 더해 준 로저 첸
2016.12.29
지난 2016년 현재 2만906회 인용됐다. 많은 사람들이 이 업적으로 그가 노벨상도 탈 것으로
예상
했지만 정작 그는 다양한 색상의 형광단백질을 만든 업적으로 2008년 노벨화학상을 받았다. 오늘날 형광단백질 없는 생명과학 실험은 상상하기도 어려울 정도로 보편화됐다. 이런 놀라운 성과를 낸 첸 ... ...
이전
178
179
180
181
182
183
184
185
18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