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생각
착상
의견
발안
착안
창조력
창의력
d라이브러리
"
아이디어
"(으)로 총 2,546건 검색되었습니다.
에너지 독립국가 건설하는 화학자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논문으로 발표하지 않은 게 대부분이다. 평생 숨 쉴 틈 없이 한 길만을 달려온 그였지만
아이디어
가 안 떠오르거나 실험이 실패할 때면 시를 읽으며 마음을 가라앉히는 낭만도 있다. 사실 책장에 제일 많이 꽂힌 것은 전공서적이 아니라 시집이다. 모은 시집만 700여권에 달한다.도시락을 거의 ... ...
예술과 과학의 화려한 만남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설명했다. 찰랑거리는 수면은 ‘사막’이라는 망사 천을 이용해 제작했다.간단한
아이디어
로 시각적 효과를 높이는 방법도 사용된다. 산과 강이 그려진 배경 앞에서 무용수들이 춤을 추고 있다. 막을 무대 바닥 앞쪽으로 당기며 흔들자 물결이 일렁이는 듯하다. 이번엔 아이다를 사랑하는 이집트 ... ...
"잠수함을 만들어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11호
막아 역사를 왜곡하려고 했던 세눈마신의 음모는 결국 과학해결사 친구들의 기발한
아이디어
때문에 실패하고 만 거야. 자랑스런 우리 역사는 우리 과학의 힘으로 지킨다고∼! 과학해결사 파이팅!!우리 학교는 과학동산과학발명영재의 꿈을 키워가는 서울 수색초등학교서울수색초등학교(교장 ... ...
2. 다재다능한 중매쟁이 촉매 개발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일련의 금속촉매를 만들었다. 이들을 바탕으로 자리교환 반응의 촉매에 대한 기본
아이디어
가 나오기 시작했다. 1975년 MIT로 자리를 옮긴 슈록 교수는 계속해서 분자구조와 성질을 다양하게 조절하며 촉매를 고안했다.그러던 1990년 그는 이전보다 훨씬 자리교환 반응을 잘 일으키는 몰리브덴(Mo ... ...
"살찐 게슈타포 구출대작전!"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10호
그에게 아인슈타인박사님은 이런 말을 하는데….“내가 뭐 한 게 있나. 오히려 멋진
아이디어
를 내준 과학해결사 친구들에게 고마워하라고. 과학의 힘이 자네를 구해 준 거니까 말일세∼!”우리 학교는 과학동산미래의 여성 과학자를 키우는 창일초등학교서울창일초등학교(교장 전영세)는 서울시 ... ...
과학발전의 밑거름 - 노벨상 사이버 박물관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관련 사이트 및 자료를 얻을 수 있는 ‘에너지도서관’, 과학박람회를 위한 에너지 관련
아이디어
와 정보를 나누는 ‘과학프로젝트’, 프랭클린과 에디슨 등 에너지와 관련된 과학자를 소개하는 ‘최고과학자’ 등 20여 코너로 구성돼 있다.특히 ‘에너지절약’ 코너는 실생활에서 무의식적으로 ... ...
레고 블록같은 분자를 디자인 한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10호
보면 어느 순간 예술과 비슷하다는 걸 느낍니다. 과학에서 필요한 창의력이나 직관,
아이디어
는 예술에서의 그것과 비슷합니다. 이처럼 어린 시절에 배우고 경험한 다양한 활동들은 인생을 살아가는 데 튼튼한 기반이 됩니다. 마치 집을 지을 때 바로 기둥을 세우고 지붕을 얹는 것이 아니라, 먼저 ... ...
4. 우주는 뻥튀기한 것이다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순간 태어난 셈이다.생각할 수 있는 가장 짧은 시간우주가 빅뱅에서 시작됐다는
아이디어
는 미국 천문학자 에드윈 허블의 관측 결과에서 나왔다. 1929년 허블은 당시 세계 최대 망원경으로 여러 은하를 관측해 은하들이 거리가 멀수록 더 빠르게 멀어진다는 사실을 발표했다. 즉 우주가 팽창한다는 ... ...
연구에서 인생 배우는 뇌혈관 탐험가 - 서울대 약학과 교수 김규원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교수는 환경이 열악하다고 연구를 못하는 건 아니라며 격려했다. 김 교수는 “어려울 때
아이디어
도 많이 얻고 힘이 됐던 좋은 선배였는데 몇 년 전 뇌출혈로 세상을 떠났다”며 말끝을 흐린다. 혈관에서 뇌로, 눈으로고생 끝에 낙이 온다고 했던가. 2000년 서울대로 자리를 옮긴 뒤 김 교수는 ... ...
무한 에너지 꿈꾸는 빛의 마술사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생기는 위치와 시간을 조절해 반사된 빔과 원래 레이저 빔의 위상을 정교하게 맞추는 새
아이디어
를 냈다. 빔의 위상이 같아지면 에너지가 강력히 증폭돼 초고온 상태를 만들 수 있다.연구팀은 실험 끝에 2002년 이 문제를 해결했고, 이를 학회에 수차례 발표해 주목을 끌었다. 지난 3월에는 더 정교한 ... ...
이전
177
178
179
180
181
182
183
184
18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