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생각
착상
의견
발안
착안
창조력
창의력
d라이브러리
"
아이디어
"(으)로 총 2,546건 검색되었습니다.
02. 이공계 진로지도 해법은 없나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일련의 설문에 ‘Yes’와 ‘No’로 답해 나온 결과를 정리해 자신의 성격과 성향을
아이디어
뱅크형(INTP), 사업가형(ESTJ) 등 16가지 유형으로 분류하고, 그에 알맞은 직업을 제시한다.김종구 선임연구원은 “진로를 결정할 때는 자신이 무엇에 재미를 느끼는지, 무엇을 잘 할 수 있는지가 중요하다”며 ... ...
"세상에서 제일 잘 튀는 공을 만들어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07호
고무의 탄성을 오히려 흡수해 버린 거지.하지만 두 물체의 결합을 시도한 김보경 친구의
아이디어
는 아주 독창적이었어. ★용수철이 없다면 무지무지 불편해∼!용수철은 의외로 많은 물건에 쓰이고 있습니다. 우리 생활 깊숙이 파고 들어 있지요. 일일이 다 소개하자면 지면이 모자랄 거예요. 지금 ... ...
아니수타인 박사를 모셔라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뭉클하게 하지 않았을까 싶다. 어쩌면 협회가 아인슈타인으로부터 민립대학 설립금 모집
아이디어
를 얻었을지도 모른다. 1922년은 아인슈타인에게는 영광의 해요, 조선 민중에게는 아인슈타인을 이해하는 해가 됐다. 그해 1월 1일 동아일보는 ‘세계에 큰 영향력을 미치는 10명’을 뽑았다. 그 중 한 ... ...
PART 02. 알레르기 잡아먹는 기생충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아니라 면역 기능이 크게 떨어진 환자들이 대상이다. 암 공격하는 기생충더욱 혁신적인
아이디어
도 있다. 아직은 가설이나 구상 수준에 그치고 있지만 실현만 되면 기생충을 인간의 좋은 친구로 격상시킬 것이다.하나가 기생충으로 암을 치료하려는 것이다. 서울대 의대 채종일 교수는 ... ...
1 기억도 부익부 빈익빈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정보를 바탕으로 새로운 지식을 만들어낸다. 하나를 가르치면 열을 아는 것, 창의적인
아이디어
가 나오는 것도 바로 이 덕분이다.그런데 기억 네트워크가 항상 올바른 방향으로 재구성되는 건 아니다. 어떤 사람이 살인현장을 목격했다고 하자. 그는 살인자가 사용한 무기만 봤고 살인자의 얼굴을 ... ...
복제양 '돌리' 만든 윌머트박사, 황우석교수에 공동연구 제안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수의과대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황 교수가 개발한 인간배아 줄기세포 복제 기술과 나의
아이디어
를 합해 현재 뚜렷한 해결책이 없는 루게릭병 치료기술을 개발하고 싶다”고 말했다.루게릭병은 운동신경이 죽고 근육이 퇴화하는 신경퇴행성 질환으로 영국의 유명한 물리학자 스티븐 호킹 박사도 ... ...
3 배움에도 때가 있다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뇌기능에서부터, 기억하고 있거나 새로 받아들인 여러 정보를 통합 분석해 창조적인
아이디어
를 내는 고차원적 뇌기능에 이르기까지 시냅스의 가소성이 관여하지 않는 곳은 하나도 없다.캐나다의 유명한 뇌신경과학자 도널드 헤브 박사는 시냅스가 서로 연결되면 하나의 회로가 만들어지는데, 이 ... ...
우주관광도 식후경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가공기술의
아이디어
를 얻자는 것. 장거리 우주여행에 맞는 식품에 대한 새로운
아이디어
가 이 대회를 통해 수집된다. 이 때문에 세계적 식품생산업체들도 매년 후원에 나서는 등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 ● 대회 참가자들은 먼저 음식물 조리부터 포장을 비롯해 장거리 우주여행에 맞는 식품처리 ... ...
"빨대로 무거운 책을 지탱하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05호
구조물이 만들어지지 않았어. 한 권조차 올리기 힘들었지만 결국 자신만의 독창적인
아이디어
로 각자 책 다섯 권을 올려놓는데 성공한 우리 예일초등학교 친구들. 과연 어떻게 성공했는지 한번 살펴보기로 할까? 무게 중심피사의 사탑이 쓰러지지 않는 이유는 바로 무게 중심에 있다. 무게 ... ...
가상공간에 세운 디자이너의 작업실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세계에서도 ‘보기 좋은 디자인은 곧 명기(名器)’로 통한다. 아무리 앞선 기술이나
아이디어
도 소비자의 세련된 감각을 따르지 못하면 살아남기 힘든 게 오늘의 현실이다. 국내 기업을 비롯해 대표적인 해외 유명 기업들이 경쟁적으로 디자인 분야에 막대한 비용을 투자하고 있다는 사실만 봐도 ... ...
이전
179
180
181
182
183
184
185
186
18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