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범위
분야
테두리
한계
범주
영토
지역
d라이브러리
"
영역
"(으)로 총 3,218건 검색되었습니다.
3. 진화론 알아야 세상이 보인다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사람들은 곧 깨달았다. 진화론은 생물종이 생기고 사라지는 과정을 설명하는 원래의
영역
을 훨씬 넘어선 그 무엇이라는 것을. 일단 진화론의 세례를 받은 이들은 결코 그 이전의 관점으로 세상을 바라볼 수 없게된 것이다.진화의 상흔을 간직한 몸커다란 원을 배경으로 팔과 다리를 벌린 채 서있는 ... ...
우리나라는 밤하늘 어디쯤 있을까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소형 쌍안경에서 한 시야에 고스란히 들어온다. 저 넓은 밤하늘에서 고작 한뼘도 안되는
영역
이라니!우리나라가 속하는 이 지역은 살쾡이자리다. 그리 유명한 별자리가 아니어서 제대로 그릴 수 있는 사람이 드물겠지만 이 별자리는 게자리 바로 위에 위치해 있다. 안타깝게도 우리나라가 속한 ... ...
혜성, 스키장 밤하늘을 가로지르다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밤하늘 중앙을 남쪽에서 북쪽으로 가로지르는 궤도를 갖고 있다. 1월 초순 황소자리
영역
에서 시작해 1월 하순까지 페르세우스자리로 이동한다. 그후로도 이 혜성의 북상이 지속돼 3월 8일 경이 되면 북극성 주변을 지나가게 된다. 이때 혜성 밝기는 다시 어두워져 6등급대가 된다. 이를 감안한다면 이 ... ...
동굴에서 새로운 종 발견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燕下反射) 등이 소실된다 안면에 분포하는 삼차신경 지각지(知覺枝)
영역
에 돌발적으로 일어나는 신경통의 총칭 뇌종양·뇌동맥류(腦動脈瘤), 부비강(副鼻腔)의 염증이나 악성종양, 충치·바이러스 감염증·전신성 대사질환 등이 원인일 수 있으나 원인불명의 것이 많다 입체적으로 소자를 배치한 IC ... ...
8. 천재성 뒤의 숨은 공로자들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좀다른 경우다. 민코프스키는 당시 정수론에 기하학적 방법을 도입해 새로운
영역
을 개척한 연구로 유명한 인물이다.취리히 연방공대에서 아인슈타인은 아돌프 후르비츠와 헤르만 민코프스키와 같은 당대 저명한 수학자들에게 수학을 배울 기회가 있었다. 하지만 아인슈타인은 직접적인 실험에 ... ...
얼굴인식 메커니즘 밝혀져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차이가 있을 때 활발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첫번째 쌍과 세번째 쌍의 경우인데, 이
영역
이 얼굴의 특징을 분석하는데 관여하고 있음을 시사한다.귀 뒤쪽에 있는 ‘오른쪽방추이랑’은 세번째 쌍을 보았을 때 활발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두 대상을 서로 다른 사람으로 인식할 때 민감한 것이다. 한편 ... ...
인류와 가장 가까운 새, 닭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닭을 키우게 된 것은 새벽, 일정한 시간이 되면 울어대는 닭의 습성 때문. 수탉이 자기
영역
을 주장하는 행동이다.오 교수는 “선사시대 우리 조상들은 맹수가 어슬렁거리는 밤을 두려워했다”며 “그들에게 밝은 낮의 시작을 알리는 닭의 울음소리가 무척 반갑게 들렸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 ...
2. 빛보다 빠른 것은 없을까?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일반상대성이론을 느끼기는 어렵다. 하지만 우주와 같은 거시세계, 즉 중력이 강한
영역
의 물리세계에서는 일반상대성이론이 유일한 해설가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상대성이론 탄생 100주년 1. 내가 특수상대성이론을 만들기까지 2. 빛보다 빠른 것은 없을까? 특수상대론 쉽고, 일반상대론 ... ...
대형유인원 화석 및 진화 지도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영향이 없다원자력 시설이나 방사선 작업장 등에서 방사선원(放射線源) 주위의 국한된
영역
을 막아 외부로 누출되는 방사선을 차단하는 조치 구조재나 기기(機器)의 방사선 손상 · 발열 · 방사화 등을 경감시키고 방사선 측정기에 대한 방사선 백그라운드(측정대상인 시료 외에서 오는 방사선)를 ... ...
뇌는 바디랭귀지에 민감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보이는 자세는 편도 같은 감정
영역
의 활동을 증가시킴과 동시에 동작과 지각에 관여하는
영역
의 활동도 활발해졌다. 즉 두려움에 대한 신호를 접하면 바로 도망칠 준비를 할 수 있게 뇌가 준비하는 셈이다.이번 연구결과는 뇌가 얼굴표정에만 반응하는 것이 아님을 보여주고 있다. 즉 뇌는 대상의 ... ...
이전
177
178
179
180
181
182
183
184
18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