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범위
분야
테두리
한계
범주
영토
지역
d라이브러리
"
영역
"(으)로 총 3,218건 검색되었습니다.
3. 손의 비대칭은 인류 진화의 원동력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환자들이 공통적으로 운동성 실어증을 일으킨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오늘날 ‘브로카
영역
’으로 불리는 이 자리는 언어운동을 관장하는 부위다. 그뒤 많은 과학자들이 뇌의 특정 부위와 기능을 연구해 ‘뇌지도’를 만들었다. 전체적으로 좌뇌는 주로 언어능력에 우뇌는 시각능력에 관여한다 ... ...
싸늘한 겨울밤에 나타난 흑마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명확히 그 정체를 드러낸 것은 사진기술이 좀더 발전한 뒤의 일이다. 1900년에 찍은 이
영역
의 사진이 1903년 천체물리학 저널에 실리면서 이 성운은 그 기묘한 형상 때문에 주목을 받기 시작했다. 하지만, 그때까지도 이 성운의 중요성은 전혀 인식되지 못했다. 단지 성운에 어두운 틈새가 존재한다는 ... ...
2. 심장 왼쪽에 치우친 이유있다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자세히 들여다봤다. 결절은 배아 한쪽 아래에 대략 삼각형 모양으로 움푹 들어가 있는
영역
이다. 이 속에는 섬모를 달고 있는 세포 20여개가 자리하고 있다. 연구자들은 섬모가 모두 시계방향으로 돌고 있음을 발견했다.연구자들은 섬모의 회전으로 생기는 결절 내부의 유체 흐름을 알아보기 위해 ... ...
03. 냄새 맡는 후각 유전자 찾아내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아랫부분에 있는 후각구로 신경 신호를 보내고 이곳에서 다시 뇌의 앞과 옆에 있는 후각
영역
으로 신호를 전달해 뇌가 냄새를 인식하게 된다. 후각장애 유전자 치료 기틀 마련시각과 후각을 비교해 보자. 우리는 수많은 색깔을 볼 수 있지만 실제로 시각 세포가 느낄 수 있는 색깔은 빛의 삼원색 즉 ... ...
뇌지문으로 거짓말 탐지할 수 있나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진실은 쉽게 묻혀버리곤 한다. 진실을 가려내기란 여전히 그리 쉽지 않다. 이런 양심의
영역
에 도전장을 내민 현대과학이 있다. 그 주인공은 폴리그래프, 일명 거짓말 탐지기다.하지만 첨단 과학수사장비로 불리는 이 장비는 탄생 이후 줄곧 논란의 대상이 돼왔다.‘과연 범인을 1백% 가려낼 수 ... ...
숨 못 쉬는 조산아 살릴 수 있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것이다.인공태반은 태아연구 목적으로도 활용할 수 있다. 태아의학은 아직까지도 미지의
영역
이다. 태아 자체가 접근이 쉽지 않기 때문이다. 의약품 설명서를 읽다보면 ‘임산부는 복용을 금한다’ 는 문구를 흔히 볼 수 있다. 약이 태아나 산모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연구하지 못했기 때문에 ... ...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책임연구원 문대원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보면 새로운 생각이 들지 않거든요. 기존 사례를 보지 않아야 과감하게 참신한 연구
영역
을 선점할 수 있다는 게 내 신념입니다.”문 박사는 이 사업을 통해 “나노 측정기술이 새로운 생명과학 정보를 창출할 수 있다”고 설명한다. 자신감 넘치는 그의 표정에서 진정한 융합의 파워가 선보일 새로운 ... ...
그의 뇌와 그녀의 뇌는 다르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들어 남성의 경우 좌측 측두엽의 일부분만 사용하는 반면, 여성은 우반구에 있는 다른
영역
도 함께 사용한다.하지만 이런 차이가 여성과 남성의 인식과 행동양식에 어떤 관련이 있는가에 대해서 아직 과학자들은 답을 얻지 못했다. 다만 성별에 따른 뇌의 차이와 그 차이의 발달과정을 이해하는데 ... ...
4. DNA로 나노벽돌 찍어낸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생명의 비밀이 많이 풀렸지만, 생명현상의 많은 측면이 우리에게 여전히 미지의
영역
으로 남아있다. 대표적인 것이 생명체에서 일어나는 자기조립(self-assembly)이다. 생명체는 수십억년 동안 자기조립을 통해 만들어져 각종 기능을 훌륭히 해내는 수많은 나노구조를 진화시켰다.그런데 이들은 불과 2 ... ...
작은 수의 강한 법칙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답은 31이다. 이것은 원둘레에 n개의 점을 찍은 다음, 모든 점들을 직선으로 연결해 나눈
영역
들의 개수다. 그 이후로 57, 99가 이어진다.이처럼 아무리 많은 개수의 수를 나열해 놓아도 규칙만 잘 찾으면 그 다음에 오는 수는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다. 이것을 수학자 리처드 가이는 ‘작은 수의 강한 ... ...
이전
178
179
180
181
182
183
184
185
18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