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학과"(으)로 총 4,357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에볼라, 감염 초기에 찾아낼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4년 12호
- 피가 나오기 시작해야 에볼라에 감염됐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최근 보스턴의과대 미생물학과 존 코너 교수는 에볼라 바이러스를 감염 초기에 발견할 수 있음을 시사하는 논문 한 편을 ‘BMC-유전체학’ 11월 6일자에 발표했다. 코너 교수는 바이러스를 직접 찾기보다는 우리 몸의 면역체계를 ... ...
- [과학뉴스] 교란 초음파 쏘는 박쥐과학동아 l2014년 12호
- 적의 미사일 등을 교란하기 위해 전파를 쏘는 기술을 뜻한다. 미국 메릴랜드대 생물학과 아론 코코란 교수팀은 브라질 큰귀박쥐(Tadarida brasiliensis)가 곤충을 사냥할 때 상대 박쥐에게 음파를 쏴서 방해한다는 사실을 밝혀 ‘사이언스’ 11월 7일자에 발표했다.연구팀은 카메라와 특수 초음파 마이크를 ... ...
- [과학뉴스] 들쭉날쭉 CO2 농도, 범인은 농사과학동아 l2014년 12호
- 이산화탄소를 흡수하지 않아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가 높아진다. 보스턴대 지구환경학과 마크 프라이들 교수는 “경작지의 면적은 일정해도 기술이 발달하면서 면적당 수확량은 늘어난다”며 “농업 기술의 발달은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의 계절 편향성을 더 심해지게 만들었다”고 말했다 ... ...
- [잘 가르치는 대학이 뜬다 1] 숭실대과학동아 l2014년 12호
- 전통에 안주하지 않고 새로운 흐름에 도전하는 것이 아닐까. 우리나라 최초로 컴퓨터학과를 만든 숭실대는 전통에만 안주하지 않고 또 다른 도전을 하고 있다. 봉천고개를 오르락내리락하며 기자가 만난 사람들은 역시 ‘숭실’이라는 이름에 걸맞은 사람들이었다 ... ...
- 주머니 속 동전 줄이기!수학동아 l2014년 12호
- 1600원짜리 물건을 사려는데 동전이 400원밖에 없다. 어쩔 수 없이 1000원을 깼다. 거스름돈 400원까지 받고나니 주머니가 무거워졌다. 이처럼 동전은 불편하다. 사람들은 동전을 꺼린다. 웬만큼 모아선 살 만한 물건도 없고, 값어치에 비해 동전이 들고 다니기 무거운 탓이다. 그렇다고 동전을 없앨 수 ... ...
- [체험] 스튜디오 지브리 입체조형전 전시관에 숨겨진 비밀을 파헤치다!수학동아 l2014년 12호
- 같은 교육을 받을 수 있다. 전시기획과 관련된 학과에는 전시학과, 컨벤션학과, 관광경영학과 등이 있다. 하지만 반드시 대학에서 전시를 공부해야만 전시기획자가 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한국전시전문가협회, 한국무역협회 등에도 전시기획자 양성과정이 개설돼 있기 때문이다. 전시기획과 ... ...
- [과학뉴스] 덩치 크다고 싸움 잘하는 거 아니다과학동아 l2014년 11호
- 동물이나 덩치 큰 쪽이 싸움에 유리하다고 생각하기 쉽다. 그런데 캐나다 퀸즈대 생물학과 폴 마틴 연구원이 새들의 싸움을 관찰한 결과, 꼭 그렇지만은 않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마틴 연구원은 새 246종이 서로 싸우는 모습을 2만3362회 관찰한 결과 특이한 점을 발견했다. 가까운 종에서는 덩치 큰 ... ...
- [knowledge] 핵쓰레기 묻을까? 태울까?과학동아 l2014년 11호
- 이 중성자로 문제의 핵종을 태워 안전하게 변환시킨다. 홍승우 성균관대 물리학과 교수는 “노벨상 수상자인 유럽입자물리연구소(CERN)의 카를로 루비아 박사에 의해 효과가 검증됐다”며 “334t의 납 구조물을 이용해 실험한 결과, 미량 악티늄 핵종의 제거가 가능했다”고 말했다.가속기 방식은 ... ...
- EPILOGUE 이그노벨상과학동아 l2014년 11호
- 잘 연구해도 세계적인 상을 받을 수 있다. 체코생명과학대 경영게임·야생생물학과 블라스티밀 하르트 연구팀은 개가 똥 싸는 모습을 2년 동안 참을성 있게 지켜봤다. 37종의 개 70마리가 대변 1893번, 소변 5582번 싸는 걸 지켜본 결과, 개들이 자기장의 남북방향으로 변을 본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 ...
- [hot science] IQ떨어지는 인류, 혹시 바보가 되는 중?과학동아 l2014년 11호
- 연구 결과도 그의 주장을 뒷받침한다. 2011년, ‘사이언스’에 실린 미국 컬럼비아대 심리학과 벳시 스패로 박사팀의 연구에 따르면, 어려운 문제를 접한 사람들은 자동적으로 검색부터 떠올렸다. ‘검색형 인간’이 된 것이다. “검색만 잘 하면 되지, 그게 뭐가 문제일까? 도서관에서 책 찾는 것과 ... ...
이전17717817918018118218318418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