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학과"(으)로 총 4,357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공룡의 직계 후손은 닭?과학동아 l2015년 01호
- 누구일까.최근 닭이 공룡과 가장 가까운 새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영국 켄트대 생물학과 다렌 그리핀 교수팀이 닭과 칠면조를 비롯해 잉꼬, 금화조 등 현존하는 새 21종의 유전체(게놈)를 비교한 결과, 닭과 칠면조의 유전체가 원시 조류와 가장 비슷한 것으로 분석됐다. 이 연구는 ‘국제 조류 ... ...
- [과학뉴스] 전쟁 때 태어난 남아는 건강하다과학동아 l2015년 01호
- 해석해 왔다. 그런데 최근 이 가설을 뒷받침하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영국 셰필드대 생물학과 비르피 루마 교수팀은 어려운 시기에 태어난 남아가 평균보다 생존율이 더 높다고 ‘영국왕립학회보B’ 12월 10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18세기 핀란드 교회 기록을 분석해 1790~1870년 태어난 신생아의 ... ...
- [Hot Issue] 두 발 괴물, 빅풋은 없었다!과학동아 l2015년 01호
- 연구팀은 샘플에 묻은 손때, 즉 표면 오염을 최대한 제거했다. 미국 뉴욕대 인류학과 토드 디소텔 교수는 ‘사이언스’와의 인터뷰에서 “연구진은 모든 표준절차를 준수해 오염의 소지를 최대한 줄였다”고 평가했다. 연구팀은 그 뒤, 샘플에 들어 있는 미토콘드리아 RNA의 염기서열을 해독했다( ... ...
- Part 2. 도시에선 고양이가 최고 포식자!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1호
- 길고양이가 도시의 ‘대장’이 된 이유는?길고양이가 많이 보이는 이유는 간단해. 도시에 잘 적응했기 때문이야. 우리 고양이들은 원래 야생에서 살았어. 산에서 흘러들어온 야생고양이와 시골에서 키우던 ‘쥐잡이’ 고양이들이 도시로 변한 자신의 영역에서 계속 번식해 사람들이 ‘코숏’이라 ... ...
- Part 4. 쓰레기가 동물을 먹여살린다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1호
- 도시의 ‘생산자’는 사람이다?놀라긴. 도시생태계의 동물들에게 가장 중요한 먹이는 바로 사람들이 버린 음식물 쓰레기야. 왜 쓰레기를 먹고 사냐고?자연생태계의 먹이사슬은 영양분을 만드는 생산자(식물), 생산자를 먹는 1차 소비자(곤충, 초식동물), 1차 소비자를 먹는 2차 소비자(육식동물)로 ... ...
- [생활] 낮에는 선생님, 밤에는 작가 수학 교사 미술가 김주희 작가수학동아 l2015년 01호
- 많았던 김 작가의 학창시절, 꿈의 공통분모는 창조성을 발휘하는 일이었다고 한다. 수학과 미술의 두 손을 잡고 창의적인 작품을 만들고 있는 김 작가의 앞으로의 모습을 기대하며 다음 만남을 기약했다. 수열의 귀납적 정의★ 수열에서 이웃하는 항의 관계를 추론하는 방법. 개별적인 항에서 ... ...
- INTRO. 상대성이론 vs 양자역학과학동아 l2015년 01호
- 달랐지만, 일반인과 물리학자 집단의 전체 투표결과는 비슷했다. 국형태 가천대 나노물리학과 교수는 “현대과학의 성과가 사회전반에 상당히 잘 알려진 것을 반영한다”고 말했다.몇 가지 눈에 띄는 차이도 있었다. 대표적으로 ‘빅뱅과 현대우주론’이 일반인에서는 4위(37%)를 한 반면 ... ...
- PART1. 에볼라 최전선으로 떠나는 한국 전사들 “두렵다. 그래도 간다”과학동아 l2015년 01호
- 받은 김 백 박사는 사실 에이즈 바이러스(HIV) 최고 전문가다. 미국 로체스터대에서 미생물학과 면역학 교수로 일했던 2년 전에는 인간의 항바이러스 단백질이 에이즈를 억제하는 메커니즘을 밝혀 과학학술지 ‘네이처’에 발표하기도 했다.김 박사는 지난 9월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에서 신약 ... ...
- [Hot Issue] 인공유산 여전한 우리나라, 여초시대는 없다과학동아 l2015년 01호
- 이뤄진다는 얘기다.특히 영남지역에서 이런 현상이 두드러졌다. 김두섭 한양대 사회학과 교수는 “영남지역은 다른 지역 보다 보수적이고 가부장적이기 때문에 남아선호 사상이 상대적으로 강하다”고 말했다. 김 교수가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이용해 인공유산 건수를 추정한 결과, 2009년 ... ...
- [과학뉴스] 인류 최초의 ‘낙서’는 50만 년 전에?과학동아 l2015년 01호
- 50만 년 전부터 낙서 수준의 그림을 그린 것으로 나타났다. 네덜란드 라이덴대 생물학과 조세핀 주덴스 박사팀은 120년 전인 1890년대에 독일 고인류학자 외젠 뒤부아가 인도네시아 자바 섬의 50만 년 전 지층에서 발굴한 민물 홍합 껍질 화석을 연구했다. 이 화석 안에는 뾰족한 물건으로 그은 듯한 ... ...
이전17517617717817918018118218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