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학과"(으)로 총 4,357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➊ 건강한 경쟁이 건강한 숲을 만든다수학동아 l2015년 04호
- 헝가리의 생물학자 애리스티드 린덴마이어다. 그리고 훗날 미국 매사추세츠공대 언어학과 노엄 촘스키 교수가 알고리즘을 보강하고, 영국의 유명한 수학자 스티븐 울프램이 수학 패턴을 만들어 이 프로그램은 한 단계 더 발전했다.이처럼 나무의 성장을 재현하는 프로그램을 이용하면, 나무의 ... ...
- Part2. 거짓말 잘하는 사람이 살아남았다과학동아 l2015년 04호
- 속임수라고 다 같은 속임수는 아니다. 급이 다른 속임수가 여럿 있다. 미국 클라크대 심리학과 로버트 미첼 교수는 자연에 존재하는 속임수를 네 단계로 나눴다. 가장 단순한 첫 번째 단계는 생긴 걸로 속이는 기만행위다. 등에가 꿀벌 무늬를 흉내 내는 게 여기 해당한다. 두 번째는 다른 생물이 ... ...
- 낮은 기온에서 더 활발한 감기 바이러스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3호
- 낮을 때 감기에 더 걸리기 쉽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어요.미국 예일대학교 면역생물학과 아키코 이와사키 교수 연구팀은 각각 다른 온도의 환경에서 바이러스가 얼마나 잘 번식하고 활동하는지 실험했어요. 쥐의 기도에서 상피세포를 떼어내, 하나는 체온과 비슷한 약 37℃에서 배양시키고, 다른 ... ...
- [수학뉴스] 막대 사탕, 2500번을 핥아야 다 먹는다!수학동아 l2015년 03호
- 것이지요.이번 연구는 바다와 같이 흐르는 물이 어떻게 지형을 바꾸는지 연구하는 지질학과 화학 물질의 용해를 연구하는 화학 분야에 도움이 될 전망입니다 ... ...
- [참여] 2015 제1차 미래창조과학부 SW 창의캠프 손끝에서 펼쳐지는 상상의 세계수학동아 l2015년 03호
- 프로그래밍 능력, 수학과 과학뿐만 아니라 영어와 국어, 타인과 소통할 줄 아는 인문학과 윤리의식까지 갖춰야 좋은 소프트웨어를 만들 수 있다는 얘기다.“소프트웨어는 전부 알고리즘으로 이루어져 있죠. 알고리즘의 기반 지식이 바로 수학입니다. 문제를 논리적으로 해결하는 정보과학적 사고의 ... ...
- PART1. 고교생 100명이 묻고, 공대생이 답하다과학동아 l2015년 03호
- 보던 공대는 최첨단 기술을 창조해내는 그런 곳이었습니다. 저도 입학 전에는 바이오뇌공학과 같은 최신 연구를 하겠다고 생각했어요. 막상 공대에 들어와서 보니 이런 최신 연구가 최신이 아니더라고요. 바탕이 되는 기초학문을 공부해야 하고 그 과정이 정말 힘들고 지루하다는 걸 알았습니다. ... ...
- [이달의 사물] 구글과학동아 l2015년 03호
- 작전이 논의되는 걸 봐서, 이 행사에 전문가들도 관심이 적지 않다. 당시 충남대 천문우주학과 이유 교수는 “달에 있는 화산성 동굴이 거주지로 최적”이라며 탐사로봇의 아이디어를 제시하기도 했다.구글이 허언증에 걸린 것은 아니라는 걸 지난 1월 말 알 수 있었다. 중간 점검 결과를 바탕으로 첫 ... ...
- [Hot Issue] 인류, 예술가가 되다과학동아 l2015년 03호
- 시도했다는 논문이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에 발표됐다. 스페인 후엘바대 지질및고고학과 호아킨 로드리게즈-비달 박사팀은 스페인 지브롤터 부근의 동굴 벽에서 네안데르탈인이 남긴 것으로 추정되는 체크 무늬를 발견했다. 3만9000년 전의 유적이며 의도적으로 뾰족한 물체로 조심스레 새긴 ... ...
- [Life & Tech] 식중독 바이러스가 면역력 높인다?과학동아 l2015년 03호
- can replace the beneficial function of commensal bacteria).’ 바이러스 전문가인 정용석 경희대 생물학과 교수에게 의견을 물었다.“무척 흥미로운 연구입니다. 바이러스가 장내세균처럼 우리 몸에 긍정적인 효과를 줄 수 있다는 뜻이에요.”“바이러스가 우리 몸에 좋은 역할을 할 수 있다고요?”깜짝 놀라 .. ...
- [Knowledge] 지상에서 운용되는 우주기술과학동아 l2015년 03호
- 만드는 기술)과 DIY생물학의 대중화로 활용이 정점에 달했다는 것이다. 한국은 특히 생물학과 재료과학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2006년부터 미국항공우주국(NASA)은 ‘진새트-1(GeneSat-1)’ 등, 정육면체 세 개 크기(3U)의 위성으로 생명과학을 연구하기 시작했어요. 주로 우주환경에서 생명체가 ... ...
이전17117217317417517617717817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