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배낭세포
배낭
베낭
세포단체
단체
원형질체 단위
cell
d라이브러리
"
세포
"(으)로 총 4,737건 검색되었습니다.
'녹조라떼'위기! 4대강이 원인일까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오히려 박테리아(세균)에 가깝다. 둘 사이에는 어마어마한 차이가 있다. 조류는
세포
에 핵이 있는 진핵생물인 반면, 박테리아는 핵이 따로 없는 원핵생물이다. 참고로 사람은 진핵생물이다.더 심각한 문제가 있다. 남조류는 인체에 유해한 독성 물질을 만든다. 김 교수는 “생태계에서 우종 자리를 ... ...
비소 박테리아는 없었다!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박테리아의 사진을 보면 내부에 쌀알처럼 생긴 액포가 잔뜩 들어있다. 즉 녀석들은
세포
안으로 들어온 비소를 이 안에 농축시켜 독성을 최소화해 살아간 것이다 ... ...
극한광으로 보는 나노세계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결맞음 X선의 펄스 길이가 고작 10펨토초(1펨토초는 1000조 분의 1초)입니다. 이 시간이면
세포
소기관이 채 폭발하기도 전입니다.”노 센터장의 설명 속에서 CELA가 사용하는 빛이 극한광이어야 하는 이유를 또 다시 찾을 수 있었다. 10펨토초 정도의 짧은 시간만으로 충분한 회절 신호를 얻을 수 있을 ... ...
슈퍼컴퓨터로 치매 조기진단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대뇌 피질의 두께를 자동으로 측정하는 수학 알고리듬을 개발했다. 이 연구로 신경
세포
의 대부분이 분포된 대뇌 피질의 어떤 부분이 위축됐는지 수치와 그림으로 나타낼 수 있게 됐다.피슬 박사가 개발한 방법이 가장 먼저 적용된 분야는 역시 치매였다. 많은 연구자들이 치매 환자의 MRI 데이터에 이 ... ...
뇌에 상처를 주는 욕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8호
더 많은 수의 ‘뇌
세포
연결선(시냅스)’들이 우리 뇌를 빼곡히 채우고 있는 걸요. 뇌
세포
들을 서로 이어 주는 이 연결선을 따라 정보가 흐르고, 기억이 저장되는 거예요. 그런데 초등학생 때는 이 시냅스가 한창 만들어지는 중요한 시기라는 사실! 욕을 많이 사용하면 우리 뇌가 욕설과 관련된 ... ...
팔방미인, 보로노이 다이어그램
수학동아
l
2012년 08호
경로 찾아내는 보로노이 다이어그램! 일상생활의 편리와 아름다움을 넘어 보이지 않는
세포
나 분자와 같은 작은 자연의 세계를 이해하는 데에도 보로노이 다이어그램이 쓰이고 있다.예를 들어 보로노이 다이어그램을 이용하면 단백질 구조를 정확하게 알 수 있다. 분자를 이루고 있는 원자의 ... ...
Part 2. 허파꽈리가 칩속에서 헐떡헐떡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IL-2를 투여했을 때 실제 폐부종이 생기는지 관찰했다. 병원균 실험과 마찬가지로 폐
세포
쪽에 폐부종 현상이 발생했다. 연구팀은 다시 허파꽈리 칩에 다른 다양한 약물을 넣고 테스트를 진행했다. 이 과정을 반복한 결과, 항암제를 넣었을 때 조직 손상을 막는 단백질을 발견했다. 지금은 이 단백질을 ... ...
영국, 세 부모 아기 허용하나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세포
내 소기관으로 어머니한테서만 유전된다. 미토콘드리아의 DNA가 핵이 아닌 난자의
세포
질에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아버지와 어머니의 유전자, 그리고 또 다른 여성 난자 기증자에게 미토콘드리아 유전자를 물려받은 아이는 부모가 셋이 되기 때문에 윤리적 문제가 부각되고 있다 ... ...
Part 2. 감기약 먹었는데 왜 변비가 올까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수도 있다.제산제는 속이 쓰릴 때마다 먹곤 하는데 대체로 위에서 위산 분비를 담당하는
세포
에 작용한다. 위산 분비를 줄여주거나 이미 분비된 위산을 중화시켜준다. 하지만 장기적으로 복용하면 마그네슘이 포함된 제산제는 설사를, 알루미늄이 포함된 제산제는 변비나 소화불량을 일으킬 수 ... ...
당 권하는 사회, 몸은 병들어간다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글리코겐으로 바뀌어 간에 저장된다). 이렇게 만들어진 지방은 혈관을 타고 지방
세포
에 축적돼 비만을 일으킨다. 이 과정에서 일부 지방은 간에 머물러 지방간을 유발할 수 있다. 또 인슐린저항성이 생겨 당뇨병으로 이어진다. 과당은 단백질에 달라붙으며 활성산소를 내보내 염증반응을 일으키기도 ... ...
이전
178
179
180
181
182
183
184
185
18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