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배낭세포
배낭
베낭
세포단체
단체
원형질체 단위
cell
d라이브러리
"
세포
"(으)로 총 4,737건 검색되었습니다.
사고뭉치가 달라졌어요! 스쿨 필하모니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5호
귀로 들어온 소리는 귀 안쪽 달팽이관에 있는 ‘유모
세포
’를 거쳐 뇌로 전달돼요. 유모
세포
는 소리를 전기 신호로 바꿔 ‘청신경’에 전달하고, 신호를 받은 청신경이 다시 뇌로 신호를 전달해 소리를 인식하게 된답니다. 뇌에 전달된 청각 신호는 변연계와 소뇌, 청각피질과 운동피질 등 다양한 ... ...
Intro. 제2의 나, 장내미생물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장내미생물이라고 부르는 박테리아가 수백조 마리나 살고 있다. 우리 몸을 이루고 있는
세포
보다 10배나 많은 숫자다. 지난 수년 동안 장내미생물에 대한 연구가 폭발적으로 늘어나면서 그 중요성이 갈수록 커지고 있다. 이제 장내미생물은 인체를 이루는 하나의 기관(organ)으로 바라보고 있다. ... ...
Part4. 인삼 약효도 장내미생물 덕분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배당체 자체가 아니라 거기에 달려 있는 당분자다. 따라서 당분자만 잘라먹고 나머지는
세포
밖으로 내보내는데 이게 장벽을 통해 흡수돼 약효를 내는 것이다. 그렇다면 이런 장내미생물이 없는 경우는 독이 될 정도로 많은 양을 섭취해도 별 문제가 없지 않을까.“그렇습니다. 무균동물에 행인의 ... ...
흉터 없이 수술한다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누르자 수술도구가 순서대로 튀어 나왔다. 환부를 잘라내고, 꿰매는 것이 가능하고, 암
세포
가 남아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자외선 진단장치까지 붙어 있다. 연구팀은 올해 안에 동물 및 카대버(시신) 수술을 해 로봇의 성능을 검증할 계획이다. 수술 조종대를 따로 둘 수 있어 원격치료도 가능하다 ... ...
[5월] 과동 데스크의 썰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소개된 ‘정상프리온이 변형 프리온으로 변환되는 과정을 저해하거나 프리온에 감염된
세포
를 치료하려는 연구’를 집중적으로 소개하고 그 의미를 분석했으면 좋았을 뻔 했다. 물론 청소년 기자가 서두에 언급한 보도 기사나 논평을 제대로 쓰기는 어렵다. 깊이 있는 분석을 추가한 기획 기사를 ... ...
뇌조절 기술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높은 마이크로파 빔을 뇌의 한 부위에 집중시키면 그 때 생겨나는 에너지가 신경
세포
를 자극할 수 있기 때문이다.네덜란드 그로닝겐대의 시에라 교수는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뇌자극 방법이 언젠가는 뇌에 바늘을 찔러 넣는 방식을 대신할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시에라 교수는 “마이크로파 빔을 ... ...
입시를 목표로 공부하지 마세요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그래서 시스템 생물학과를 선택한 것이다.일단 학부에서는 관심을 넓게 가지고
세포
사이의 신호 전달체계와 다양한 종류의 텔로미어를 연구는 게 하영 군의 목표다.“연구실 생활이 힘들다고 하는 선배들을 보면 저는 오히려 부러워요. 연구실에서 사는 게 꿈이에요. 국력을 키우려면 기초과학을 ... ...
생명과 행성의 공진화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산소 농도가 풍부해진다. 원생대 후기의 에디아카라 시기에는 몸 표면이 연약한 다
세포
생물이 많이 살았다. 다가올 고생대 캄브리아기의 생물다양성의 대폭발을 예고한 것이다 ... ...
Part1. 왜 4할 타자가 사라졌을까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진행 중인 위암 발병인자 연구를 예로 들었다.“위암 환자 20명에게서 정상
세포
와 암
세포
를 얻어 유전체를 분석하는데 이 과정에서 약 4조 개의 염기서열 정보가 생산됩니다. 이 데이터를 서로 교차 비교해서 위암 유전자를 1~2개 찾아내는데, 치료와 예방에 중요하게 씁니다.”이런 방대한 계산을 ... ...
배신자 효소 파괴하는 저격수 효소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기능을 할 때 반드시 필요한 효소지만 암
세포
에 붙으면 지나치게 활성화되면서 암
세포
의 전이와 성장, 항암제에 대한 내성, 재발을 일으킨다고 알려졌다. 연구팀은 ‘뮬란’이 미토콘드리아 안에서 활성화된 Akt를 분해한다는 것을 발견했다. 뮬란은 Akt와 결합해 단백질 분해를 유도하는 ... ...
이전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