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부근
이웃
주변
인근
주위
언저리
인접
d라이브러리
"
근처
"(으)로 총 2,147건 검색되었습니다.
한반도 숲 식물들의 세력다툼
과학동아
l
1993년 04호
그런 인간 간섭에 적응력이 뛰어난 소나무는 그 생육 면적을 확장해 갔다. 부락
근처
숲정이에서도 땔감용으로 가장 적절한 소나무가 가축식물로 이용되었다는 가설을 뒷받침한다.또한 이러한 사실은 "정착농경에 의한 주변 삼림 자원의 고갈로 청동기를 사용할 수 밖에 없는 문화적 변천을 ... ...
25년만에 모습 드러낸 인왕산의 지형·지질
과학동아
l
1993년 04호
같은 지각운동의 결과, 지하 깊은 곳에 있던 많은 양의 마그마가 관입돼 지표
근처
에 대규모적인 하나의 암석덩어리(巖體)를 형성하는 것을 말한다.서울화강암으로 구성된 산지들인 도봉산 수락산 북한산 불암산 북악산 인왕산 등은 20㎞에 이르는 하나의 암체, 즉 저반을 이루고 있다. 이러한 대규모 ... ...
③ 보이지 않은 우주의 소리를 찾아서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같이 전파의 강도가 센 곳과 약한 곳이 등고선으로 그려진다. (사진2)는 오리온자리
근처
의 한 암흑성운을 전파로 관측한 결과다.전파 관측에서의 또 하나의 어려운 문제는 우주에서 오는 전파의 세기가 극히 약하다는 것이다. 상상이 되지 않는 이야기지만 대덕전파망원경으로 감지할 수 있는 ... ...
러시아 「인공 달」의 정체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미국과 옛소련의 과학자들에 의해 구체적으로 추진되기 시작했다. 이 우주거울은 극권
근처
에서 나타나는 장기간의 북극야(北極夜) 기간동안 조명효과를 제공할 수 있을지도 모른다는 가능성 때문에 특히 옛소련에서 중요한 관심의 대상이 되었다.러시아인들이 이 우주거울 개발계획에 대해 ... ...
목성의 줄무늬와 대적반에 초점을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폴룩스와 힘을 합치려는 듯 그들 쪽으로 접근하기 시작한다.이 때의 화성은 이미 천정
근처
에 떠있기 때문에 해가 진 후 하늘이 어두워지기 시작하면 관측을 시작할 수 있다. 자세한 표면무늬나 극관의 관측은 중구경 이상의 망원경을 갖고 있지 않는 한 힘들다. ■새벽 하늘의 토성이달 20일 이후 ... ...
초고속선 개발 경쟁시대 왔다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표면과 물의 마찰에 의한 저항)이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조파저항은 수면
근처
의 선체형상과 관계되므로 조파저항을 줄이기 위해서는 수면과 만나는 선체형상이 가능한 한 작도록 해야 한다. 즉 선체를 수면 위로 부양시키거나 혹은 수면 밑으로 잠수시켜야 한다. 마찰저항도 ... ...
"해양연구의 중요성 실감"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해양탐사계획을 세운 적이 있는데 여러가지 사정상 무산됐어요. 시간이 나면 학교
근처
무창포에 가서 플랑크톤이라도 직접 채집해 봐야겠어요.이재혁:생물교사들은 다른 과목에 비해 현장조사 기회가 많지만 이런 기회가 자주 있는 것은 아니지요. 학교로 돌아가면 아마 해양 관련 단원은 자신있게 ... ...
물과 빛으로 쇠를 자른다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표면온도가 수천℃에 달하기 때문에 재료는 이 열에 의한 영향을 받는다. 즉 절단부
근처
의 0.1㎛ 정도는 딱딱하게 경화되는 것이다.워터제트절단시스템에서는 연마재가 소모재이고 노즐도 자주 교환해야 하기 때문에 레이저절단보다 운전비가 비싸진다. 예로 6㎜ 두께의 강재를 워터제트로 ... ...
롤러코스터의 하이테크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오늘날과 같은 형태의 롤러코스터가 제작된 것은 1880년대에 이르러서였다. 미국 뉴욕
근처
의 코니아일랜드에 선로와 도약장치(lift)를 갖춘 본격적인 롤러코스터가 첫 선을 보인 것. 그로부터 1세기가 지나도록 롤러코스터가 대중의 인기를 꾸준히 받고 있는데 그 비결은 무엇일까. 아마도 뭔가 ... ...
2. 화학의 혁명, 우주 원소 가족 103종 발견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현실적으로 별 의미가 없는 원소인 것만은 틀림없다. 일단의 과학자들은 원자번호 114
근처
에 원소의 의미를 부여할 수 있는 수명을 가진 무거운 원소가 존재할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지만, 많은 실험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새로운 원소는 아직 발견되지 않고 있다 ... ...
이전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