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부근
이웃
주변
인근
주위
언저리
인접
d라이브러리
"
근처
"(으)로 총 2,147건 검색되었습니다.
죽어서도 영원히 사는 미이라의 수수께끼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제식이 따른다. 미이라를 만드는 곳은 사원에 부속된 건물로 한정된다. 그러나 사자의 집
근처
에 마련된 간이 장소에서 미이라가 만들어지기도 한다.시체를 미이라로 만드는 첫 과정은 썩기 쉬운 부분을 제거하는 것으로부터 시작한다. 이어서 미이라사(師)는 탁자와 같은 긴 상위에 시체를 뉘어놓고 ... ...
지중해를 지배하는 물의 별자리들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이것이 그 유명한 오즈마 계획(Project Ozma)이다. 적색편이를 관찰고래자리 델타별
근처
에 먼 은하들의 집단이 있다. 메시에 목록의 성운인 M77은 이 집단에서 가장 눈에 잘 띄는 구성원이다. 그것은 세개의 날개를 가진 프로펠러를 닮은 정면의 나선 은하다. M77은 적색편이(red shift, 赤色偏移)가 관찰된 ... ...
한국의 밤하늘, 어디가 가장 어두운가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팀장 조봉연)에서 맡았다. 서울에서도 광해의 영향을 가급적 피해보려고 한적한 양재역
근처
를 택했으나 자동차 불빛 때문에 고전. 마지막날은 새벽 1시경 윤봉길 기념관이 있는 시민공원으로 자리를 옮겨서 관측해 조금 선명한 결과를 얻었으나 분석에는 반영되지 않았다. 서울 도심에서도 자동차 ... ...
샐러리맨의 꿈 「재택근무」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실험을 하고 있다. 통산성은 도쿄 집중현상을 개선하기 위해 분산형 오피스실험으로 집
근처
에 사무실을 마련한 '위성 오피스', 단기체재형 '리조트 오피스' 등을 연구하고 있다.이 실험은 지난해 7월부터 약 9개월간 도쿄인근 도시의 2층짜리 단독주택 2채를 대상으로 하고 있다. 6가족이 2,3개월씩 ... ...
5 달·화성·목성에 진출하는 행성탐사선 외계의 신비찾아 끝없는 도전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끌기도 하였다. 즉 화성의 사이도니아 지역에서 발견된 '사람 얼굴 형상'의 지형과 그
근처
에 있는 '피라미드' 형상의 지형이 바로 그것인데, 우연히 생긴 지형이라고 보기에는 너무 재미있는 지형이다(사진참조).전문가의 분석에 따르면 '사람 얼굴 형상'은 상하 길이가 약 2.5㎞, 폭 2㎞ 정도이며, 코 ... ...
고롱고로 분화구 안의 별난 생태계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포스부루크는 자연보존을 위한 활동을 계속하고 있는데 그의 집은 탄자니아의 아루샤
근처
에 위치한 두루티 분화구의 언저리에 있다. 맑은 날에는 킬리만자로산을 볼 수 있고 두루티호수의 절경은 항시 보인다.포스부르크는 분화구의 사자들을 빠짐없이 시차별로 사진찍어 두었다. 그래서 ... ...
지리산의 식생과 환경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속도로 등산하면서 길 주변에 서식하는 식물들을 채집하고 살폈다. 버스를 타고 정상
근처
까지 간 뒤 등정을 했기때문에 노고단까지 올라가는 길은 그리 힘들지 않았다. 그러나 내려가는 길은 사정이 달랐다.지리산국립공원 관리소의 배려로 단풍으로 유명한 피아골을 하산로로 택할 수 있었다. ... ...
물병자리는 나일강의 발원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뒤로 나타나는 물병자리 물고기자리 고래자리 에리다누스자리 등을 일컫는 말)들
근처
에 있고 태양은 하늘의 이 부분에서 남쪽 바다 위의 낮은 곳에 위치한다. 바다염소의 모습이 땅과 바다의 비옥함과 어떤 관계가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그리스 신화 속에서 물병자리는 목동들의 수호신인 판(Pan)의 ... ...
은하수를 건너는 배
과학동아
l
1992년 08호
케페이드(Cepheid)형 변광성이다. 이 별의 밝기는 맨눈으로도 쉽게 확인할 수 있는데
근처
의 β별 알샤인(Alshain, 3.7등급)과 비교하면 더욱 실감이 날 것이다.신화 속에서 독수리 자리는 두가지 이야기로 전해지고 있다. 가장 잘 알려진 이야기는 신들의 제왕 제우스가 미소년 가니메데를 납치하기 위하여 ... ...
지의류 생태계의 수수께끼
과학동아
l
1992년 08호
불렀지만 지의류의 선구적 역할을 알아차렸다.한줌 푸른 지의류(lichens)가 나의 집
근처
바위 뒤에서 자라고 있다. 나는 이곳을 지날 때마다 일종의 두렵고 놀라운 마음으로 그것을 바라본다. 왜냐하면 이 작은 식물은 지구상에서 가장 오래 살아온 것이기 때문이다.그것은 분명히 고대 ... ...
이전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