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오른쪽"(으)로 총 2,779건 검색되었습니다.
- 세계적 구조생물학자 김성호 UC버클리 교수 "게놈 해독 통해 한국인 암 연구하겠다"동아사이언스 l2018.02.20
- 송도에서 만난 세계적 구조생물학자 김성호 미국 UC버클리 화학과 명예교수(오른쪽)과 이민섭 이원다이애그노믹스 대표. 이들은 인천대와 함께 게놈 해독을 통해 한국인 특화 암 발병 예측을 시도할 예정이다. - 윤신영 제공 악수를 하기 위해 내민 여든 살 노학자의 손은 힘이 넘쳤다. 이달 13일 인천 ... ...
- 윤성빈 스켈레톤 금메달 안겨준 DNA 맞춤 과학훈련법과학동아 l2018.02.16
- 다리 근육에 균형을 잡아 줄 필요가 있었다. 근육량을 측정해보니 왼쪽 다리의 근육이 오른쪽보다 20%가량 더 발달해 있었기 때문이다. 또 허벅지 앞쪽의 넙다리네갈래근(대퇴사두근)이 100일 때 뒤쪽 햄스트링의 근육량이 70 정도면 가장 높은 경기력을 발휘하면서 동시에 부상의 위험도 줄일 수 ... ...
- [동화작가, 남극에 가다⑤] 지구 끝에서 만난 사람들2018.02.14
- 있다. 남극의 관문격인 칠레 푼타아레나스의 아르마스 광장엔 마젤란 동상이 있는데, 오른쪽 발만 반질반질하다. 마젤란의 발을 만지면 남극에 다시 오게 된다는 속설은 사람들의 발걸음을 멈춰 세운다. ‘마젤란 발’의 전설이 유난히 잘 통해서일까 세종기지에선 한 번 오기도 어렵다는 남극에 ... ...
- “카카오 열매 수입해 직접 초콜릿 만들어요”동아사이언스 l2018.02.13
- 윤형원(36), 고우림 카카오다다 대표(31)를 만났다. 카카오다다의 공동 대표인 윤형원 씨(오른쪽)와 고우림 씨. 이들은 카카오 열매를 수입해 열매를 가공하는 것부터 초콜릿 완성품까지 만든다. - 카카오다다 제공 “우리나라에서 초콜릿을 만들려면 벨기에 같은 나라에서 작업용 초콜릿(커버처 ... ...
- 컬링 선수의 빗자루질 뒤에 물리학이 있다 2018.02.12
- 스톤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왼쪽으로 휘어지고,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오른쪽으로 휘어집니다. 컬링 스톤의 운동마찰력과 회전 움직임 - 국민체육진흥공단 스포츠과학/컬링의 개요(김태완 저) 컬링 스톤이 얼음에 미끄러져 내려갈 때 두 가지 외부 힘의 영향을 받습니다. 스톤의 ... ...
- 지진 조기 탐지의 진화...위성 정보로 대형 지진 정밀 분석동아사이언스 l2018.02.09
- 검증했다. 왼쪽 사진의 별표가 진원이고 주변 동심원이 지진에 의한 지층의 움직임이다. 오른쪽이 측지경보시스템으로 재현한 지진이다. 진원도 거의 정확히 밝혔고 규모(8.89)도 가상지진의 규모(8.95)와 비슷하게 추정했다. - 지구물리연구저널 제공 크리스틴 룰 미국 버클리 캘리포니아대 ... ...
- 대만 지진에 무너진 호텔, 아래는 ‘단층대’ 있었다동아사이언스 l2018.02.07
- 설명했다. 미룬단층 지질도(왼쪽)와 지진으로 무너진 마샬호텔(統帥大飯店) 위치(오른쪽)를 나타낸 지도. 미룬단층은 점선으로, 호텔 위치는 빨간 점으로 표시돼 있다. - 대만 경제부중앙지질조사소 및 Google 지도 제공 이어 리 교수는 “대만은 1999년 이후 내진설계 기준을 최대지반가속도 0.33g로 ... ...
- 일론 머스크가 타던 테슬라 전기차, 7일 ‘팰컨헤비’ 로켓 타고 화성 간다동아사이언스 l2018.02.06
- 현지시간) 스페이스X의 대형 로켓인 ‘팰컨헤비’에 실려 화성을 향해 발사될 예정이다(오른쪽). - 일론 머스크 트위터·스페이스X 제공 머스크가 트위터에 공개한 빨간색 로드스터의 운전석에는 흰색 우주복을 입은 우주인 마네킹 스타맨이 한 손은 차문에 걸치고 다른 한 손은 핸들을 잡은 채 앉아 ... ...
- “출구에 더 가까운 사람 구할 것”…정말 AI 로봇 소피아의 생각일까?동아사이언스 l2018.01.31
- ‘4차 산업혁명, 로봇 소피아에게 묻다’를 주제로 열린 대담회에서 소피아(오른쪽)가 박영선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질문에 답변을 하고 있다. 왼쪽은 개발사 핸슨로보틱스의 데이비드 핸슨 최고경영자(CEO). - 동아일보DB 제공 “대형 화재 현장에 있다고 가정하겠습니다. 불 속에서 노인과 어린이 중 ... ...
- 인류 문명 만든 일등공신, 뇌 크기 아닌 뇌의 ‘모양’동아사이언스 l2018.01.29
- 화석인 ‘제벨 이르후드 1호’의 뇌를 두개골 안쪽 구조를 바탕으로 복원한 것이고, 오른쪽은 3만5000년 전의 인류 뇌를 복원한 것이다. 초기에 납작하던 뇌가 후기로 올수록 정수리 뒤가 솟아올라 둥글어졌다. - 막스플랑크 진화인류학연구소 ... ...
이전18218318418518618718818919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