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오른쪽"(으)로 총 2,779건 검색되었습니다.
- [섭섭박사의 메이커스쿨] 슛~골인! 축구 로봇 만들기 어린이과학동아 l2017.12.28
- 로봇과 부딪히거나 땅에 떨어져도 분리되지 않는답니다. 축구로봇의 리벳은 실제 리벳(오른쪽)을 본떠서 만들었다. - 어린이과학동아 제공 내가 만든 로봇으로 3:3 축구 대결! 어린이과학동아 제공 기자단 친구들은 축구 로봇을 완성한 뒤, 태블릿에 앱을 깔고 블루투스로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오메가3 지방산, 몸에 좋은 것만은 아니다2017.12.27
- 나가고 내피세포 사이가 벌어져 혈장이 샌다. 그 결과 당뇨망막병증으로 이어진다(오른쪽). - 네이처 제공 ● 콜레스테롤 기능 방해해 우리 몸을 이루는 수많은 세포들은 형태를 유지하기 위해 다양한 방식으로 서로 접착하고 있다. 망막에 있는 모세혈관의 벽을 이루는 내피세포들끼리는 VE-카데린 ... ...
- 장내미생물이 알려주는 내 몸 사용 설명서과학동아 l2017.12.22
- 혈액을 채취한다”고 설명했다. 유해한 미생물(왼쪽)과 이들이 분비한 나노 소포체(오른쪽). 위는 폐렴구균, 아래는 황색포도상구균이다. - NIAID, MD헬스케어 제공 나노 소포체는 세포의 외막에서 분비되는 20~200nm(나노미터·1nm는 10억 분의 1m) 크기의 작은 물질로, 세포 사이에서 정보를 전달하는 ... ...
- [과학&기술의 최전선] 암 치료의 새 흐름, 면역 치료동아사이언스 l2017.12.15
- 못하게 막는 식으로 경찰인 면역세포의 체포를 돕는다. 면역세포(왼쪽)와 암세포(오른쪽)가 결합한 모습을 나타낸 그림. 암세포는 면역세포와 결합함으로써 면역세포의 기능을 떨어뜨리는데, 면역관문억제제가 그 과정을 방해해 암 퇴치를 돕는다. - 네덜란드암연구소 제공 이 방식으로 처음 ... ...
- ‘귀염둥이’ 수달, 수백만 년 전엔 무시무시한 포식자과학동아 l2017.12.13
- 수달(왼쪽)과 고대 수달(오른쪽)의 턱뼈 비교. - Z. Jack Tseng 제공 가끔 한강이나 도시의 호수 등 도심에서 발견되는 야생동물인 수달은 동물계 대표 ‘귀염둥이’다. 그런데 최근 미국 과학자들이 고대에는 수달이 지금과 달리 턱이 훨씬 강하고 포악한 육식동물이었을 것이라는 연구결과를 내놨다. ... ...
- 공장 자동화 다음은? 선 없는 ‘스마트팩토리’ 올까 동아사이언스 l2017.12.07
-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가 개발한 스마트팩토리 기지국 시연을 하고 있다. 오른쪽에 보이는 기기가 새로 개발한 기지국이며, 가운데 연구원 옆의 작은 검은 장치가 단말기다.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제공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이 스마트폰에 이용되는 이동통신 기술을 응용해 공장을 원격 ... ...
- 강석기의 과학카페ㅣ기다리다 지친 과학자, 반합성(semi-synthetic) 생명체 만들다!2017.12.06
- 이를 온전히 복제하고 전사하게 만드는데 성공했다. 왼쪽은 세 번째 염기쌍(X:Y)이고 오른쪽은 기존 염기쌍(A:T)의 구조다. - 네이처 제공 A:T, G:C에 이어 세 번째 DNA염기쌍으로 등극한 분자는 5NaM과 5SICS로, 연구자들은 이 두 분자가 소수성 상호작용을 통해 안정적인 염기쌍을 이룬다는 사실을 2008년 ... ...
- [싱크홀 전쟁] 도심 속 지뢰 싱크홀, 한국은 IoT로 막는다동아사이언스 l2017.11.30
- 맨홀커버형 안테나(왼쪽)와 맨홀 속 상수도관 제수벨브에 부착하는 누수 확인 센서(오른쪽) 사진. - UGS융합연구단 제공 연구단이 개발한 핵심 기술은 이 센서와 연결된 안테나다. 맨홀 뚜껑 속에 매립하도록 만든 이 안테나는 땅속 센서가 감지한 정보를 가로등에 설치한 기지국으로 무선 ... ...
- 왼손잡이의 비밀, 아프리카 물고기가 밝힌다 동아사이언스 l2017.11.29
- 교차돼 있다"며 "왼손잡이형 시클리스 왼쪽눈으로 먹이를 봐야하기 때문에 오른쪽 시개시신경이 더 큰것으로 추정한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이와 달리 유전자 발현율이 좌뇌에서 컷던 것은 행동특성이외의 시각처리 기능이 좌뇌에 집중됐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뇌 속 좌우 쌍으로 존재하는 ... ...
- 12월 4일, 올해 가장 큰 보름달 더 크게 보는 방법은?동아사이언스 l2017.11.29
- 2월 4일 뜨는 큰 보름달(오른쪽)과 지난 6월 9일 뜬 작은 보름달(왼쪽) 크기 비교 사진. 두 달의 크기는 14% 정도 차이나는 것으로 알려졌다. - 한국천문연구원 제공 올해 가장 큰 보름달은 언제 뜰까? 며칠 안 남았다. 12월 4일 월요일, 새벽 0시 47분이다. 올해 뜬 가장 작은 달에 비해선 14% 더 크다. ... ...
이전18518618718818919019119219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