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날짜
일시
뉴스
"
일자
"(으)로 총 5,210건 검색되었습니다.
'작은 지진도 다시보자' 포항지진 조사단 새 지열발전 위해관리법 제시
동아사이언스
l
2019.05.24
엘즈워스 미국 스탠퍼드대 교수 등 국제 자문위원 6명과 함께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23
일자
에 ‘유체 주입에 따른 유발지진 위해 관리’라는 제목의 정책 특별 기고(Policy Forum)를 발표했다. 기고에서 조사연구단은 “포항 지진은 유발지진 발생과 관련한 기존의 경험 가설이 틀렸음을 말해주는 ... ...
1만배 커진 롤러블 디스플레이용 ‘화이트 그래핀’ 합성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19.05.23
성공했다고 23일 밝혔다. 이번 연구결과는 세계 최고 권위 국제학술지 ‘네이처’ 23
일자
에 발표됐다. 단결정은 원자의 배열과 배향이 규칙적인 소재를 뜻한다. 열∙전기 전도도가 우수해 전자기기에 적용하면 적은 전력으로도 높은 성능을 낼 수 있다. h-BN은 붕소(B)와 질소(N)가 삼각형 형태로 놓인 ... ...
의료용 동위원소로 나노의약품 체내 면역 안정성 측정
동아사이언스
l
2019.05.22
기술을 개발했다고 22일 밝혔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사이언티픽 리포트’ 15
일자
에 발표됐다. 나노의약품은 마치 탄도미사일처럼 몸 속 목표지점을 향해 접근해 약물을 전달하는 기술이다. 암 진단과 치료에 적합하지만, 몸 속에서 외부 이물질을 공격하는 면역시스템 때문에 몸 속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생명의 기원 밝혀질 수 있을까
2019.05.21
생물로의 도약의 폭이 꽤 줄어들 수도 있다. 네이처 제공 학술지 ‘네이처’ 5월 2
일자
에는 두 가지 분자와 철이온이 존재할 때 세포호흡의 핵심인 ‘TCA 회로’를 이루는 11가지 분자 가운데 9개 분자가 비생물 과정으로 만들어질 수 있음을 보인 연구결과가 실렸다. 참고로 세포에서는 TCA 회로를 ... ...
양자점과 OLED 결합한 차세대 발광소자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5.21
발광소자를 개발했다고 21일 밝혔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나노스케일' 5월 2
일자
에 게재됐다. 양자점은 10nm(나노미터) 크기의 작은 반도체 결정체로 스스로 빛을 낸다. 현재 차세대 디스플레이 QLED로 주목받는 소자다. OLED는 형광성 유기화합물에 전류를 흐르게 하면 빛을 내는 성질을 ... ...
돌연변이 DNA 찾아 고치는 새로운 효소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19.05.21
알아냈다고 21일 밝혔다.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케미컬바이올로지' 온라인판 17
일자
에 게재됐다. 사람을 비롯한 모든 생명체는 유전정보를 DNA 형태로 담고 있다. DNA가 복제를 하는 과정에서, 또는 환경적인 요인으로 인해 DNA에는 돌연변이가 발생할 수 있는데 세포는 이를 스스로 ... ...
지구는 외핵운동, 목성은 바람 때문에 자기장 변화 겪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5.21
비슷하게 ‘영년 변화’를 겪는다는 연구결과를 국제학술지 ‘네이처 우주학’ 20
일자
에 발표했다. 영년 변화는 자기장이 오랜 시간에 걸쳐 서서히 변하는 현상을 뜻한다. 목성은 태양계의 5번째 궤도를 돌고 있는 태양계에서 가장 거대한 행성으로 지구의 약 11배에 이른다. 목성은 지구의 ... ...
갓 태어난 내 아기 머리 뾰족한 이유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5.18
분만 전후 3차원 MRI 촬영을 한 뒤 두개골 변화를 추적해 국제학술지 ‘플로스원’ 15
일자
에 발표했다. 연구 결과 두개골의 형태는 태아가 자궁을 떠나 산도로 들어서는 시기인 '분만 2기'에 집중적으로 변화시킨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연구한 7명 모두 이 시기에 두개골이 변화했다. 두개골이 ... ...
방사선 치료 뒤 조직 변화, MRI 응용해 측정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5.18
IEEE)에서 발간하는 의공학 및 의료영상분야 국제학술지 ‘의료영상회보 4월 29
일자
에 발표됐다. 방사선 치료 전후의 뇌 영역 신호를 비교했다. 사진제공 ... ...
먹이 못 먹은 펭귄 똥에서 생존의 비결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5.17
최초로 확인하는 데 성공했다고 17일 밝혔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플로스원’ 8
일자
에 발표됐다. 남극의 펭귄은 매년 번식을 마치고 겨울이 되기 전 2~3주 가량 깃갈이를 한다. 이 기간에는 물 속을 헤엄칠 수 없어 스스로 먹이를 먹지 않는 일시적 단식을 한다. 연구팀은 단식이 펭귄의 몸 속에 ... ...
이전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