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날짜
일시
뉴스
"
일자
"(으)로 총 5,211건 검색되었습니다.
깜빡이는 빛과 소리 들려주자 치매 증세가 완화됐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5.08
치매 증세가 개선된다는 사실을 밝혔다. 연구 결과는 뇌과학 분야 국제학술지 ‘뉴런’ 7
일자
에 발표됐다. 연구팀은 일정 시간이 지나면 치매가 오도록 유전자를 조작한 두 종류의 실험용 알츠하이머 치매 쥐를 대상으로 1초에 40회 깜빡이는 빛을 하루 한 시간, 총 3~6주 동안 비췄다. 그 뒤 이 쥐와 ... ...
표적 항암치료제 내성문제 해결할 새로운 바이오마커 5종 발굴
동아사이언스
l
2019.05.07
제시했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유럽생화학회저널‘ 지난달 7
일자
에 발표됐다. 조광현 교수 연구팀의 이번 연구결과는 ‘유럽생화학회저널(FEBS Journal)’의 4월 7
일자
표지논문으로 선정됐다. KAIST 제공 ... ...
좋은 기억이 나쁜 기억보다 잘 떠오른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5.06
이용하면 우울증을 치료할 수 있을 것이라는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네이처 인간행동' 6
일자
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실험참가자 279명에게 랜덤으로 승패가 갈리는 컴퓨터 게임을 하게 했다. 이 게임은 승패에 따라 점수를 얻거나 잃는데, 한 라운드가 끝날 때마다 생물 또는 무생물의 이미지가 ... ...
어린시절 무심코 먹은 항생제가 거식증·폭식증 유발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5.06
발생시킬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미국의사협회 정신의학회지' 4월 24
일자
에 발표했다. 그간 학계에서는 식이장애가 유전적인 요인과 스트레스, 불안 등 정신적인 요인 때문에 발생한다고 추측했다. 연구팀은 덴마크에서 1989년 1월 1일부터 2006년 12월 31일 사이 태어난 여자 청소년 5 ... ...
혼자 사는 사람은 정신장애 겪을 위험이 2배 높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5.02
생길 위험이 크며, 그 주요 원인이 외로움이라는 연구결과를 국제학술지 '플로스원' 1
일자
에 발표했다. 지금까지 학계에서는 노인이 혼자 사는 경우 정신장애가 얼마나 많이 발생하는지에 대해 주로 연구했었다. 쟈콥 연구원팀은 고령뿐 아니라 젊은 층에서도 독거가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칠 ... ...
반도체에 ‘그래핀 고속도로’ 깔았더니…신호전달 효율↑
동아사이언스
l
2019.05.02
말했다. 연구 결과는 소재 분야 국제학술지 '평셔널 어드밴스드 머티리얼스' 2월 8
일자
에 게재됐다. 장재은 DGIST 정보통신융합전공 교수(오른쪽)와 양재훈 연구원이 연구실에서 포즈를 취했다. 사진제공 DGIST ... ...
머리카락 이용해 습도 측정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5.02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센서스 앤 액추에이터스’ 지난달 23
일자
에 발표됐다. 그림 3(a) 는 머리카락 공진기의 주파수 측정을 위한 광학 측정 장비와 습도 조절 챔버의 개략도이다. 그림 3(b)는 상대 습도가 57에서 24 %로 감소할 때 머리카락 공진기의 정규화 된 진폭 ... ...
티베트 고원지대 차지한 첫 인류는 ‘데니소바인’
동아사이언스
l
2019.05.02
6만 년 전에 살던 데니소바인이라는 사실을 밝혔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1
일자
에 발표됐다. 데니소바인은 러시아 알타이 지역의 데니소바 동굴에서 발견된 뼛조각의 DNA를 해독하는 과정에서 존재가 처음 알려진 고인류다. 2010년 스반테 패보 독일 막스플랑크 진화인류학연구소장팀의 ... ...
알츠하이머와는 다른 새로운 치매 유형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19.05.01
다른 경로로 새로운 유형의 치매가 발생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브레인' 30
일자
에 발표했다. 학계에서는 기억력과 사고력, 인지력을 잃는 질환을 모두 치매라고 부른다. 그 중 가장 흔한 알츠하이머 치매는 신경세포에 비정상적인 단백질인 베타아밀로이드와 타우가 쌓여서 ... ...
‘이것’ 넣으면 영하 263도에서도 물 안 얼어
과학동아
l
2019.05.01
극저온에서도 얼지 않는 물을 개발했다고 국제학술지 ‘네이처 나노테크놀로지’ 4월 8
일자
에 발표했다. 이를 극저온 전자현미경에 적용하면 세포를 온전한 상태로 관찰할 수 있다. 연구팀은 구멍의 지름이 1nm(나노미터·1nm는 10억분의 1m)보다 작은 그물망 구조를 형성하며 응집하는 성질을 가진 ... ...
이전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