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쪽"(으)로 총 6,767건 검색되었습니다.
- 빛을 멈추게 할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5년 11호
- 번 더 응용한다. EIT에 사용되는 루비듐은 에너지 준위가 세 개인 3준위 원자계 물질이다(87쪽 3 참조). 3준위 원자계는 두 개의 바닥 준위와 한 개의 들뜬 준위가 있다. 일반적인 루비듐은 780nm 파장의 빛에 광자를 흡수하고, 이때 얻은 에너지로 전자가 1번 준위에서 2번 준위로 이동한 뒤 다시 1번 ... ...
- [생활] 요트 과학적 스포츠의 추억수학동아 l2015년 11호
- 향해 갈 때 바람이 요트의 앞에서 불었다면, 반환점을 돈 뒤에는 바람이 요트의 뒤쪽에서 부는 상황이 된다. 좀 더 수월하게 앞으로 나아갈 수 있는 상황에서 갑자기 문제가 생겼다. 결승선까지 한 바퀴가 남은 시점에 반환점에서 바람이 사라진 것이다. 우리 요트는 바람이 불 때까지 조금도 나아갈 ... ...
- [참여] 내 손으로 날리는 다재다능 드론수학동아 l2015년 11호
- 진동이 적을 뿐만 아니라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프로펠러가 드론의 양쪽 균형을 맞추기 때문입니다.촬영용 드론에는 작은 카메라가 달려 있습니다. 이 드론이 나는 모습을 보면 아무리 조종을 잘 해도 드론이 계속 흔들리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반면 드론이 찍은 영상은 그 드론이 찍었다는 ... ...
- 깨진 원형 유물, 어떻게 복원할까?수학동아 l2015년 11호
- 알 수 있다. 위 그림은 신라 시대의 유물인 연화문수막새의 일부다. 연화문수막새의 바깥쪽 가장자리에서 서로 다른 세 점을 잡아 각각 A, B, C라고 하자. 그리고 현 AB와 현 BC의 수직이등분선을 각각 그린다. 두 수직이등분선이 만나는 점은 원의 중심(O)이며, 이를 이용해 반지름 r의 길이를 구할 수 ... ...
- [Knowledge] 꿈틀대는 강속구의 비밀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좌우로도 공이 움직이게 된다. 오른손 투수가 오른손 타자를 상대로 싱커를 던졌을 때 몸쪽으로 날카롭게 파고드는 장면을 떠올리면 이해가 쉬울 것이다.만약 언더핸드나 사이드암 투수가 직구를 던진다면 어떻게 될까. 이들은 우완 정통파 투수처럼 직구를 던지더라도 팔의 방향 때문에 회전축이 ... ...
- “디젤도 할 말 있다” 클린 디젤의 꿈과 현실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유발한다. 한 가지 재밌는 사실은 미세먼지와 질소산화물은 한 쪽이 증가하면 다른 한 쪽이 감소하는 ‘트레이드오프(trade off)’ 관계라는 점이다. 질소산화물은 온도가 높고, 산소가 많은 조건에서 잘 생성되기 때문에 온도를 낮추고 산소를 덜 넣으면 그 양이 줄어든다. 그러나 이 경우 불완전 ... ...
- [파충류의 속사정 7] 가을은 독사의 계절?과학동아 l2015년 11호
- 하지만 정말 독을 가졌을지에 대해서는 과학자들 사이에서 의견이 분분하다. 오른쪽은 호주의 페렌티에왕도마뱀. 왕도마뱀류는 뱀과 가까운 도마뱀 무리로 턱에 있는 분비선에서 독소를 분비한다.]혹시, 독을 지닌 공룡은 없었을까?오늘날의 파충류 중에서 일부가 독을 가지고 있다면, 혹시 공룡 ... ...
- 내가 칩인가, 칩이 나인가 휴먼 온어 칩(Human on a chip)!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콜라겐이나 해조류에 들어 있는 알기네이트로 하이드로젤이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한쪽에서는 뇌 신경세포와 같이, 연결부위가 엄청나게 복잡한 장기를 칩 위에 구현하려는 시도도 하고 있다. ‘브레인(뇌) 온어 칩’이 많은 사람들이 두려워하는 알츠하이머의 치료제 개발을 앞당길 수 있기 ... ...
- 세계의 지붕이 흔들!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사망자 수가 무려 15만 명이나 됐을 것이라고 해요.그러나 바로 다음 해, 하이청 서쪽에 있는 탕산시에서 발생했던 지진은 정반대 결과가 나타났어요. 과학자들은 지진을 예측하지 못했고, 24만 명이 넘는 사람이 죽는 참사가 일어났지요. 인류 역사상 두 번째로 인명 피해가 큰 지진이었답니다.지진, ... ...
- [지식] 테렌스 타오, 83년 묵은 수학 퍼즐 풀다!수학동아 l2015년 11호
- 더 나아가 복소수와 무한차원의 힐베르트 공간 위에서도 증명했다. 1과 -1이 오른쪽과 왼쪽을 나타내는 일직선이라면, 복소수에서는 방향을 사방으로 가질 수 있어 원형으로 나타난다. 앞의 만화는 에르되시 불일치 문제를 복소수로 확장한 것이다. 심지어 30km를 훨씬 더 긴 거리로 바꾸더라도 결국 ... ...
이전18318418518618718818919019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