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면
측
페이지
장
페이쥐
편
d라이브러리
"
쪽
"(으)로 총 6,767건 검색되었습니다.
야행성 VS 주행성 동물들이 보는 세상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9호
초점거리를 줄이고 렌즈의 크기를 크게 만들어야 하거든요. 어느 한
쪽
을 높이면 다른
쪽
이 낮아진답니다.동물의 눈도 마찬가지예요. 해상도를 높이면 감광도가 떨어지기 마련이지요. 그런데도 사람이 좋은 시력을 가지고 있는 비결은 눈의 크기 덕분이에요. 눈이 크면 초점거리가 늘어나 해상도가 ... ...
PART3. 외계행성 탐사 전성시대
과학동아
l
2015년 09호
중심별을 찾을 수 있죠.” 동아리를 담당하는 조용현 과학교사(위 사진에서 맨 왼
쪽
)는 학생들이 장비를 설치하는 과정을 도우며 이 같이 설명했다.외계행성은 그 자체만으로 빛나지 않기 때문에 항상 중심별인 항성을 먼저 찾아야 한다. 그런 뒤 외계행성이 중심별인 항성 앞을 지나갈 때 항성의 ... ...
[과학뉴스] 정액, 수컷의 치명적인 무기
과학동아
l
2015년 09호
정자를 운반하는 ‘셔틀’인 줄만 알았던 정액이 실제로는 자신의 유전자를 널리 퍼뜨리려는 수컷의 ‘무기’였다는 사실이 새롭게 밝혀졌다. 초파리 실험 결과 수컷의 ... 않았다. 전문가들은 이런 성 갈등이 오늘날의 정교한 번식 시스템을 완성시켰다고 설명했다(관련 기사는 94
쪽
에) ... ...
[Knowledge] 에너지를 태워주는 너란 지방, 베이지색지방
과학동아
l
2015년 09호
로 운동했다). 그리고 이틀 후 정상 쥐와 UCP-1을 만들 수 없는 유전자 조작 쥐의 사타구니
쪽
백색지방에서 UCP-1의 양을 확인했다. 그 결과 UCP-1의 양은 정상 쥐가 최대 10배 높았다. 운동으로 UCP-1을 만드는 갈색지방이나 베이지색지방을 늘릴 수 있다는 의미다. 사람을 대상으로 한 실험도 있다. 2013년 ... ...
[Life & Tech] UC버클리에서 뜨거운 여름을
과학동아
l
2015년 09호
금문교)를 찾는 관광객들로 늘 북적이는 도시다. 여기서 지하철을 30분만 타고 동
쪽
으로 이동하면, 분위기가 사뭇 다른 작은 마을이 나온다. 자동차보다 자전거를 탄 학생을 많이 볼 수 있고, 골목마다 서점을 만날 수 있는 교육도시 버클리다.버클리 시내 한 가운데엔 부지가 서울대 관악캠퍼스(0.72km ... ...
[Life & Tech] 무선으로 충전하는 ‘와이파워 시대’
과학동아
l
2015년 09호
테이블 위로 휴대전화를 올리자 화면에 충전 중을 의미하는 번개가 바로 나타났다(134
쪽
사진 참고). 휴대전화를 돌리고 뒤집고 흔들어도 휴대전화 화면의 번개는 사라지지 않았다. 임 교수는 “기존에도 어느 방향으로 움직여도 충전 가능한 제품은 개발돼 있었지만, 기존 코일(루프 코일)은 구 ... ...
당구공에서 인공심장까지! 플라스틱의 변신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9호
대신 플라스틱의 원료인 ‘숙신산’을 만들도록 유전자 조작을 했어요.그리고 한
쪽
에서는 이산화탄소를 먹고 자라는 미세조류를 길러냈어요. 미세조류를 먹고 사는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을 빨리 성장시켜서, 더 많은 숙신산을 만들어내기 위해서지요. 이렇게 화석연료 대신 자연물질로 만든 ... ...
숫자 세 개가 만나는 곳에 보물이 있다!
수학동아
l
2015년 09호
얹으면 제아무리 각도를 정확하게 나눠도 지도로 쓰기에는 불편하다. 동
쪽
또는 서
쪽
으로 일정한 각도만큼 이동할 때 표면이 비교적 평평한 곳과 울퉁불퉁한 곳에서 실제로 가야 하는 거리가 다르기 때문이다. 일정한 규칙에 맞게 위치를 나타내고 거리를 계산하기 위해서는 어느 나라에서든 ... ...
수학으로 밝혀낸 걸음걸이의 비밀
수학동아
l
2015년 09호
로봇’을 개발했다. 이 로봇은 실제 치타처럼 왼
쪽
앞발과 뒤
쪽
오른발, 왼
쪽
오른발과 뒤
쪽
왼발이 짝을 이뤄 번갈아 땅을 딛는 동작을 반복하면서 걷는다. 시속 약 1km부터 약 20km까지는 점점 빠르게 걷다가, 시속 약 22km부터는 앞발과 뒷발로 폴짝폴짝 달릴 수도 있다. 레이저로 거리를 측정하는 ... ...
PART1. 태양계 행성 여행자를 위한 안내서
과학동아
l
2015년 09호
있었다. 이때 목성과 토성 사이의 역학 관계가 변하며 천왕성과 해왕성이 태양계 바깥
쪽
으로 날아가 버렸고 둘의 운명(순서)도 바뀌었다. 현재 ‘니스 모델’이라고 불리는 태양계 형성 가설이다.그래서일까. 해왕성은 천왕성과 유사한 점이 많다. 맨틀이 ‘얼음’ 형태의 가스형 행성이고 푸른빛을 ... ...
이전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