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생명"(으)로 총 5,709건 검색되었습니다.
- 총알보다 빠른 혜성에 착륙하라! 로제타 프로젝트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24호
- 자궁을 재현한 기술이지. 심장과 뇌만 제 기능을 하고, 최소한의 에너지 대사를 하며 생명을 이어가는 거야.실제로 과학자들은 동면물질을 연구하고 있어. 현재 동면물질은 쥐 뇌의 연수에 있는 ‘아데노신’이나, 갑상선 호르몬에서 뽑은 ‘T1AM’이 각광받고 있어. 이 두 물질을 쥐의 몸에 넣어 본 ... ...
- 2014 지구사랑탐사대 수료식 미래의 생태학자들, 한자리에 모이다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24호
- “여러 팀과 자주 만나 함께 탐사를 다닐 수 있어서 정말 즐거웠다”고 발표했어요.현근생명탐험 팀이현근 대원은 “탐사 중에 다양한 생물과 우리 가족의 사진을 찍는 일이 가장 즐거웠다”고 말했어요.수료식에서는 필리핀 세부에 여행 갔을 때 찍은 도롱뇽 사진도 보여 주었답니다. 지사탐 ... ...
- 100년 전 수첩에서 유령입자까지 남극 미스터리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23호
- 여러분~, 여기예요! 잠깐, 쉿! 다른 펭귄들에게 들키지 않게 조심하세요! 제가 누군지 모르겠다고요? 펭귄들의 다리를 잘 보세요. 이제 저를 찾았나요? 저는 편집부에서 파견한 스파이 펭귄로봇이랍니다. 다리 대신 바퀴가 달려 있지요. 최근 남극에서 미스터리한 사건이 많이 일 ... ...
- 로제타, 혜성 착륙 성공!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23호
- 인류 역사상 처음으로 우주 탐사선이 혜성 표면에 착륙하는 데 성공했어요. 한국 시각 11월 13일 새벽 1시 3분, 유럽우주국 관제센터는 혜성 ... 연구팀은 탐사선이 보낸 사진과 자료를 통해 태양계의 형성 과정과 혜성이 지구 생명체에 미친 영향 등을 검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어요 ... ...
- 탐사 ➌ 삼엽충과 공룡은 서로를 알지 못해!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23호
- 중생대도 함께 끝나지요. 이렇게 지질시대 내내 생물들이 계속 사라졌다 다시 등장하며 생명의 긴 연결고리를 이어갔답니다.삼엽충과 공룡이 절대 만날 수 없는 이유는 바로 이 때문이에요. 삼엽충이 지구상에서 사라지면서 시작된 ‘새로운 시대’에 비로소 공룡이 등장했거든요.이렇게 특정한 ... ...
- 바이오가스에서 접시까지 낙엽의 변신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21호
- 막아 준다. 이렇게 떨켜가 생기면 나뭇잎은 가지에서 점점 분리가 되고 기공이 닫혀 생명을 잃고 만다. 그리고 결국 낙엽이 된다. 나무는 추운 겨울을 날 수 있도록 몸속 수분과 온도를 유지하기 위해 낙엽을 만드는 것이다. 낙엽에도 순서가 있다!봄철 나뭇잎은 가지의 가장자리, 즉 가지 끝에서부터 ... ...
- SHAKE 웃음이 나는 개들의 굴욕 순간 힘차게 흔들어!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21호
- 개의 70%는 구조된 유기견들이랍니다.“유기견을 입양하는 것은 말 그대로 살아 있는 생명을 구하는 일이에요. 반려동물을 키우려고 계획 중이라면, 동물구호센터에서 입양을 기다리는 친구들을 먼저 생각해 주세요. 입양이 아니더라도 동물구조센터에 따뜻한 도움의 손길도 부탁해요~ ... ...
- 이그노벨상이 궁금해! 바나나 껍질을 밟으면 왜 미끄러질까?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21호
- 그런데 이때의 자세가 항상 지구 자기장과 나란한 방향이라는 연구결과가 나왔어. 체코 생명과학대 블라스티밀 하르트 교수팀은 이 연구를 하기 위해 2년 동안 개 70마리가 똥을 1893번, 오줌을 5582번 싸는 걸 지켜봤대. 그 결과 개들이 자기장 방향에 맞게 자세를 취한다는 걸 확인했지. 으~, 정말 ... ...
- 2014 국제바이오현미경사진전 수상작 전시회 꼭꼭 숨어라, 현미경이 찾는다~!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9호
- 충청북도와 오송바이오진흥재단이 함께 여는 국제바이오현미경사진전은 ‘생명 속의 생명’들이 펼치는 작은 세계의 아름다움과 신비로움을 나누는 장이지요. 가 탄생한 2004년에 제1회 대회가 시작돼 올해로 10주년을 맞았답니다. ... ...
- 같은 듯 다른 존재? 쌍둥이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8호
- 나온다고 한다. 하지만 무엇보다 나라별로 형, 동생을 구분하는 방법이 다른 것은 생명을 인정하는 기준이 다르기 때문이라고 전문가들은 말한다. 그런데 지난 6월, 미국의 쌍둥이가 24일이나 차이를 두고 태어났다. 한 아이가 태어난 뒤, 나머지 한 명은 엄마 뱃속에서 24일을 더 지내다가 세상에 나온 ... ...
이전18418518618718818919019119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