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목숨
수명
삶
인생
생애
명
생계
d라이브러리
"
생명
"(으)로 총 5,709건 검색되었습니다.
INTERVIEW 2. 톰슨로이터가 지목한 한국인 후보들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공동연구를 시작했다. 처음엔 의대로 진학한 이 소장이 의사의 길을 계속 걷지 않고
생명
과학자로 돌아선 이유도 물어봤다. “의대 다니면서 암기가 정말 싫었어요. 그나마 당시 배운 유전학은 암기가 필요 없더라고요.” 그는 또 “의대에 간 것은 아버지의 권유였다”고 당시를 회상했다. 병원 ... ...
[과학뉴스] 동물이 거울 속 자신을 공격한다고? No!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공격성을 띤다는 가정 때문이다. 그런데 최근 연구 결과에 따르면 틀렸다.영국 퀸스대
생명
과학과 로버트 엘우드 교수팀은 콘빅트 시클리드라는 물고기가 실제 라이벌과 거울 앞에서 어떤 반응을 보이는지 관찰했다. 시클리드 종은 상대를 위협할 때 몸 오른쪽을 상대에게 보여주기 때문에 대치할 ... ...
[과학뉴스] 지구 자기장 역전 100년 안에도 일어난다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위험에 빠질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하지만 자기역전이 이렇게 빨리 일어나면
생명
체가 받는 악영향도 줄어들 수 있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지구물리학저널’ 11월호에 발표됐다 ... ...
[hot science] 전생에 삼엽충이었던 분을 찾습니다~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업보를 짊어진다는 취지가 무색해지네요.또한, 영혼은 언제부터 있었을까요? 지구에
생명
이 태어났을 때부터 영혼이 있었을까요? 그렇다면 모든 생물종의 90% 이상이 사라진 페름기 대멸종 때는 갈 곳 없는 영혼이 지구를 떠돌고 있었어야 합니다. 영혼도 사라졌다가 다시 생긴다? 그렇다면 ... ...
[과학뉴스] “신종헌터는 생물역사의 기록자”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있는 곳이 아니지요. 새로운 미생물을 찾는 신종헌터니까 가능했습니다.”조장천 인하대
생명
과학과 교수는 10월 11일 열린 과학동아 카페에서 신종헌터의 특권에 대해 이렇게 말했다. 신종헌터는 새로운 생물 종을 찾는 과학자를 이르는 말이다. 이날 행사에는 조장천 교수와 함께 조주래 ... ...
EPILOGUE 이그노벨상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잘 연구해도 세계적인 상을 받을 수 있다. 체코
생명
과학대 경영게임·야생생물학과 블라스티밀 하르트 연구팀은 개가 똥 싸는 모습을 2년 동안 참을성 있게 지켜봤다. 37종의 개 70마리가 대변 1893번, 소변 5582번 싸는 걸 지켜본 결과, 개들이 자기장의 남북방향으로 변을 본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 ...
PART 1. Y염색체 1000만 년 뒤 사라질까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박사후 연구원으로 근무했다. 2005년 3월 고려대에 부임해
생명
과학대학
생명
공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Y의 몰락PART 1.Y염색체 1000만 년 뒤 사라질까PART 2.Y가 사라진 ... ...
[과학뉴스] 배아줄기세포로 중증 눈질환 치료 성공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이식해 치료하는 데 성공했다. 수술을 받은 환자의 절반이 시력이 좋아졌다. 미국의
생명
공학 벤처회사 ‘어드밴스드 셀 테크놀로지’사의 로버트 란자 박사와 미국 UCLA 스티븐 슈바르츠 교수는 영국 의학전문지 ‘란셋’ 10월 14일자에 이번 임상시험 결과를 발표했다.연구진은 스타가르트 ... ...
[life & tech] “2022년, 인간 단백질 지도 완성한다”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연구의 발단은 인간유전체프로젝트(Human Genome Project)로 거슬러 올라간다. 2003년 ‘
생명
의 설계도’로 불리는 인간 게놈이 해독되면서 과학자들은 열광했다. 하지만 각 유전자가 무슨 단백질을 만들고 어느 세포에서 어떤 기능을 하는지는 정확히 알지 못했다. 설계도만으로는 인간을 구성하는 ... ...
[과학뉴스] 다이아로 반지? 이젠 뇌에 꽂아야지!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높인다.이 기술은 현재 미국 메이요병원 신경외과 캔달 리 교수팀과 장동표 한양대 의
생명
공학전문대학원 교수가 공동으로 개발하고 있다. 한국 연구자가 브레인 계획 6대 최우선 연구 과제에 선정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 ...
이전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