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젓가락
젖가락
젓갈
횡적
뉴스
"
저
"(으)로 총 2,278건 검색되었습니다.
[전국학생과학발명품경진대회] “값싸고 좋은 현미경으로 ‘1인 1현미경’ 합시다~”
2015.07.30
더 확대되고, 이후 빔 스플리터를 통해 접안렌즈로 옮겨 가면서 시료가 확대돼 보인다.
저
배율 렌즈를 사용한 덕분에 현미경의 경통도 짧게 만들었다. 일반적으로 현미경은 렌즈의 배율이 낮을수록 경통의 길이도 짧다. 그뒤 박군은 이 현미경을 보완해 대물렌즈 위에 빔 스플리터를 넣은 형태로 ... ...
PART 02. 무서운 공포영화엔 이런 장면 꼭 있다!
과학동아
l
2015.07.28
높았던 드라마의 악녀는 고음의 목소리 세기가 평균 70dB 이상이었다. 음색 차이는
저
음에서도 컸다. 음색을 평가하는 수치인 지터, 짐머, NHR, 세 수치 모두 호러퀸이 더 낮았다(세 수치가 낮을수록 음색이 풍부하다) ※ 더 많은 과학기사를 2015년 8월호 과학동아에서 만나보세요 ... ...
‘웨딩드레스’ 입은 신부날개매미충
2015.07.26
듣다보면 징그럽게만 느껴지던 곤충들의 속사정이 들리는 듯 하다. 이 책을 통해
저
자는 곤충들을 어여쁘게 봐달라고 강요하지는 않지만, 적어도 하찮고 스멀거리는 이 징그러운 녀석들을 우리의 이웃으로 받아들여 달라고 부탁한다. ... ...
‘바이오해커’를 아십니까
2015.07.19
과학자가 이제 막 과학을 시작한 풋내기들에게 들려주는 애정 어린 훈수가 담겨 있다.
저
자인 이발 발리엘라는 국제적으로 유명한 해양생물학자다. 1968년 미국 코넬대에서 생태학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받은 뒤 최근까지 해양생물학자로서 왕성하게 활동하면서 약 200편의 논문을 발표했다. ... ...
꺅! 비명 소리만 들어도 무서운 이유
2015.07.17
만든다. - 도호 제공 영화 ‘링’에서 사다코가 목이 꺾인 채 TV에서 기어 나오는 순간
저
도 모르게 “으악!” 비명이 튀어나온다. 비명은 관객들이 만드는 공포영화의 음향 효과나 마찬가지다. 다른 사람의 비명만 들어도 충분히 오싹해진다. 멀리 떨어진 곳에서도 비명은 유독 잘 들린다. 최근 ... ...
“
저
는 잘 살아 있답니다”…명왕성 만난 ‘뉴호라이즌’ 지상에 첫 교신
2015.07.15
지형을 구분하기 쉽도록 색을 입혔다. - 미국항공우주국(NASA) 제공 한국시간으로 14일
저
녁 8시 49분 57초 명왕성에 가장 가까이 접근했던 미국항공우주국(NASA) 탐사선 ‘뉴호라이즌’이 15일 오전 지상과 첫 교신에 성공했다. NASA는 이날 존스홉킨스대 응용물리학연구소에서 이뤄진 교신 상황을 ... ...
특종! 투구게의 비밀을 밝혀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5.07.14
살아온 생명체라니…. 그런데 난 아직도 뭔가 외계인 같은 느낌을 지울 수가 없네.
저
…,
저
기 좀 봐! 파란 피를 흘리고 있잖아! ● 파란 피의 외계인?! 투구게에서 뽑은 파란피의 모습 - 찰스리버 코리아 제공 외계 생물체처럼 생긴 투구게는 피 색깔도 독특해요. 새파란 하늘색이거든요. 이렇게 ... ...
저
는 말랑한 ‘개구리 로봇’입니다
2015.07.14
미국 하버드대와 UC샌디에이고 연구팀이 개발한 개구리 로봇. - 하버드대 제공 미국 하버드대와 샌디에이고 캘리포니아대(UC샌디에이고) 연구팀이 단단한 몸체에 부드러운 소재를 덧붙인 ‘개구리 로봇’을 10일 ‘사이언스’에 공개했다. 연구팀이 개발한 개구리 로봇의 점프 실력은 실제 개 ... ...
운동하며 물 ‘벌컥벌컥’ 건강에 악영향?
2015.07.13
경우엔 사망에 이를 수도 있다. 연구팀은 땀 분비량보다 많은 양의 수분을 섭취하면
저
나트륨혈증의 위험이 있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또한 소량의 나트륨이 함유된 스포츠음료라 하더라도 물 만큼은 아니지만 많이 섭취할 경우 위험하다고 경고했다. 로즈너 교수는 “어느 정도의 갈증을 ... ...
"휴보 아빠, 25일 사이언스바캉스 온다"
동아일보
l
2015.07.13
도
저
히 모르겠다”면서도 “청소로봇처럼 사람과의 상호작용이 단순한 로봇이 먼
저
각광받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로봇을 영화 속 모습으로만 생각해서는 안 돼요. 휴보가 전부는 아니라는 뜻이죠. 요즘 유행하는 사물인터넷이라는 말처럼 모든 사물 안에 로봇의 기능이 많이 가미될 거예요. ... ...
이전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