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젓가락
젖가락
젓갈
횡적
뉴스
"
저
"(으)로 총 2,278건 검색되었습니다.
그래, 과학은 원래 재미있는 것이었지!
2015.05.17
과정을 거쳐서 위대한 과학적인 유산을 인류에 선물하게 됐는지 다루고 있다. 특히 아
저
씨뻘인 패러데이를 존중하고 수학을 모르는 그의 실험적인 발견을 이론적으로 구현해 낸 맥스웰의 온유한 태도는 비단 과학계만이 아니라 우리들 모두에게 시사하는 점이 크다. ... ...
깨끗한 수돗물이 퐁퐁~! K-water 성남 정수장
어린이과학동아
l
2015.05.14
제공 ● 한강 물의 깨끗한 변신! 두근대는 마음으로 정수장 입구에 들어서자
저
멀리 큰 수영장이 보였어요. 박태환 선수가 힘차게 수영할 것 같은 모습의 기다란 수영장 레일이 16개나 늘어서 있었지요. 하지만 가까이가 보니 물은 수영장 물보다 훨씬 더러웠어요. 한눈에 봐도 이 물이 깨끗한 ... ...
초기 단계지만… “당신이 어느 매장으로 갈지 다 알아요”
동아일보
l
2015.05.11
생후 12개월까지 자동으로 추천해준다. 물티슈 같은 반복 구매 상품은 일정 주기마다 최
저
가 상품을 자동으로 알려준다. 옥션의 박희제 마케팅 상무는 “앞으로는 사회적 이슈와 빅데이터 분석을 결합한 각종 프로모션이 등장할 것”이라며 “엔화 약세 현상이 강해지면 가격이 떨어진 일본 제품을 ... ...
“딱따구리 둥지만 보기에도 인생이 짧습니다”
2015.05.10
부리로 딱딱한 나무를 쪼는데 머리에 충격이 가지는 않을까’ ‘딱따구리는 왜 하필
저
나무에 둥지를 지을까’ ‘둥지의 방향은 어떻게 결정하는 걸까’ 등이다. 또 이 의문에 대한 대답을 찾아내는 데도 많은 시간을 썼다. 이날 김 교수와 4시간 정도를 함께 보내며 그가 진정 과학자라는 ... ...
뇌는 우리 몸의 주인일까
2015.05.10
왠지 어려울 것 같아서 등 이런
저
런 이유로 그 매력을 탐구해보길 주
저
했던 이들에게
저
자는 말해줄 것이다. 과학에 홀딱 빠지기에 너무 늦지 않았다고. ... ...
미나리와 보톡스, 페니실린의 공통점은?
2015.05.03
만나볼 수 있다. MID 제공 ■ 독한 것들(박성웅 외 3인 著, MID 刊) 여기는 나무,
저
기는 덩굴식물. 코스타리카 정글은 그야말로 ‘초록’으로 뒤덮였다. 온통 초록인 이곳에서 특이하게 빨간색인 동물도 있다. 바로 딸기독화살개구리다. 머리부터 허리까지는 빨간색이지만 다리는 파란색 ... ...
개미학자에 도전하라! 국립생태원 개미세계탐험전
어린이과학동아
l
2015.04.30
3. 가장 행복했던 때는 언제인가요? 어렸을 때부터 정글에 가는 게 꿈이었어요.
저
는 비를 맞는 걸 정말 싫어하는데, 처음 열대의 정글에 갔던 날 비가 막 쏟아졌어요. 그런데 그날 정글의 다양한 동식물들을 보니 정말 행복하더라고요. 두 팔 벌려 비를 맞으면서 “I’m happy!”를 외쳤답니다. ... ...
‘7080’ 대표곡 ‘연’ 발표 35년 만에 1집 앨범으로 컴백, 조진원 연세대 교수
2015.04.30
말이 있습니다. 과학과 예술은 모두 창의력이 뒷받침돼야 할 수 있는 것이죠.
저
의 작은 일탈이 학생들에게 갇힌 사고와 고정관념을 허무는 계기가 됐으면 합니다. 그렇게 되면 보다 창의적인 생각을 하도록 도와줄 수 있지 않을까요.” ... ...
티라노사우루스도 노아의 방주에 탔을까?
과학동아
l
2015.04.28
신이 창조했을 때와 다르다는 건가요? 창조과 학회가 반대하는 진화론처럼 들리는 건
저
뿐인가요? 성경의 대홍수가 약 4500년 전에 일어났다는 주장은 더 큰 문제를 일으킵니다. 대륙이동설이야 옳지만, 몇천 년 만에 이 정도 변화를 일으킨다는 건 터무니가 없지요. 몇천 년 만에 공룡이 멸종하고 ... ...
빛 파장이 일주리듬 조율한다
2015.04.27
다양한 환경을 만들어 실험을 했고 그 결과 흥미로운 결과를 얻었다. 즉 빛수용체들은
저
마다 감도가 다른데 빛이 미미할 때는 가장 민감한 막대세포의 로돕신이 반응해 일주리듬을 유지할 수 있게 한다. 빛이 조금 더 강해지면 원뿔세포의 아이오돕신이 주로 반응한다. 빛이 충분히 많아져야 ... ...
이전
189
190
191
192
193
194
195
196
19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