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새로운"(으)로 총 10,542건 검색되었습니다.
- 물리와 수학의 가교를 놓은 물리수학의 창시자수학동아 l2023년 12호
- 물리학자 모두에게 다양한 방향으로 자극을 줬다’고 말했어요. 업적 2. 수학 문제의 새로운 도구, 자이베르그-위튼 이론 위튼 교수는 100만 달러의 상금이 걸린 밀레니엄 난제인 ‘양-밀스 질량 간극 가설’에 관한 업적도 세웠어요. 양-밀스 질량 간극 가설은 기본 입자가 어떻게 양성자와 ... ...
- [특집] Part2. 유전체 연구의 미래, 생물학에서 정밀의학으로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약 1만 개의 희귀 질환이 발견됐고, 그 중 80%가 유전질환에 속합니다. 지금도 매년 새로운 희귀 유전질환이 250~300개씩 발견되고 있어요. 앞으로도 유전체 의학과 진단 분야는 꾸준히 성장할 겁니다.” 금 대표의 말이다.“유전체 분석이 앞으로는 사회를 바꿀 것” 많은 독자들에게 희귀 유전질환 ... ...
- 네 친구의 꿈, 12월 창공을 가르다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종료돼 다음 발사일정이 잡혔다는 소식이었죠. 이들은 12월 24일 오전, 충남 당진에서 새로운 로켓 ‘OSR-1’을 발사할 계획입니다. OSR-1의 동체에는 과학동아 로고도 각인될 예정이고요. 과연 OSR-1은 12월 창공을 날아 고도 30km에 닿을 수 있을까요? 이 기사를 읽는 여러분도 함께 응원해 주시면 ... ...
- [기획] 실패 이야기의 효능: 위로, 용기, 또는 재미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오른손만 쓸 수 있었음에도 그는 자동차 수리 대회에 나가 수상을 하고, 창업을 하는 등 새로운 도전을 시작했습니다. 그는 “실패한 경험을 통해 이제는 실패를 빠르게 극복할 수 있게 됐다”고 전했습니다. “저는 인생의 과제, 건강관리에 실패했습니다.” 마지막 연사인 문진우(KAIST 생명과학과 ... ...
- [빅잼] 외계인은 있을까?과학동아 l2023년 12호
- 페르미의 역설을 제시한 엔리코 페르미는 미국의 물리학자입니다. 중성자를 이용해 새로운 방사성 원소를 발견한 공로로 1938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죠. 페르미는 1950년 동료 과학자들과 식사하던 중 우연히 외계인에 대한 이야기를 하게 됩니다. 당시 페르미는 우주에 외계인이 존재할 확률이 ... ...
- [커리어] IBS 초강력 레이저과학 연구단 과학동아 랩투어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이끌어낼 엔진 역할을 할 겁니다. 이곳 초강력 레이저과학 연구단은 강력한 빛으로 새로운 물리학을 연구하고 있죠.” 김철민 연구위원의 강연으로 랩투어가 시작됐다. 초강력 레이저의 핵심 원리 ‘처프 펄스 증폭(CPAChirped Pulse Amplification)’부터 앞으로 초강력 레이저가 활용될 분야까지, ... ...
- [5년 후 과학은] 인류의 미래를 쌓아올릴 혁신 기술 '적층성형 기술'과학동아 l2023년 12호
- 활발히 진행하고 있습니다. 앞으로 나아갈 길이 남았지만, 끊임없이 도전하고 새로운 경험을 축적하며 적층기술의 완성도를 계속 높여나가겠습니다. 이를 통해 적층성형 기술과 그 결과물들이 반드시 여러분의 실생활에 널리 유용하게 활용되도록 만들겠습니다. ❋필자소개.김형균. ... ...
- 세계적인 물리학자와의 대화수학동아 l2023년 12호
- 설명하는 모형이다.*우연한 사고 : 입자 물리학에서 가속기 충돌 실험을 하던 중 새로운 종류의 입자를 많이 발견한 것은 물론 이 입자들이 이상한 패턴을 보이는 것을 알아냈다. 이를 토대로 기본 입자가 끈 형태를 띠고 있다고 가정했더니 수학적으로 설명할 수 있었다.*등가원리 : 중력과 가속도에 ... ...
- [Reth?nking] 제 11화. 증명은 왜 중요한가?수학동아 l2023년 12호
- 발전이 동시에 이뤄지고 있는 분야예요. 증명은 사실 관계 속에서 논리적인 추론을 통해 새로운 연결을 짓는 일이에요. 인공지능이 그걸 해낸다면 스스로 창의적인 학습이 가능한 거지요. 최근 연구결과에 따르면 인공지능이 대학 수학에서 배우는 기본적인 정리를 증명할 수 있답니다. 인공지능이 ... ...
- [특집] 인간 유전체 프로젝트 20년 인간 유전체, 그 끝을 찾아서과학동아 l2023년 12호
- 프로젝트였다.그러나 HGP가 끝난지 20년이 지난 지금도 여전히 유수의 국제학술지에는 새로운 인간 유전체 분석 결과가 꾸준히 실리고 있다.왜 인간 유전체 분석 연구는 아직도 진행 중인가. HGP 완료 20주년, 인간 유전체 연구의 시작부터 현재, 그리고 앞으로의 전망까지 짚어봤다. ▼이어지는 기사를 ... ...
이전14151617181920212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