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생각"(으)로 총 14,498건 검색되었습니다.
- 쓸 줄 모르면 손해! 생성AI 똑똑한 사용법과학동아 l2024년 01호
- 뜬다. “2단원”이라고 입력하면 “awkard의 뜻은 무엇일까요?”라고 다시 질문한다. 바로 생각나지 않는 단어는 “예문을 보여달라”고 하면 “It feels a bit awkward to talk alone”이라는 교과서 2단원 속 활용 지문을 말해준다. 정답인 “뻘쭘하다”를 입력하면 다음 문제로 넘어간다. 오늘도 목표를 ... ...
- 1년만의 규제 해제, 종이 빨대의 향방은?과학동아 l2024년 01호
- 없이 (폐기물을 감축한다는) 바람직한 사회적 비용이 반영된 소비 형태가 나타나리라고 생각지 않는다”고 답했다. 생산과정과 소비과정 모두에서 정부의 간섭 내지 개입이 필요하다는 말이다. 그는 “이론적으로도 정부의 개입이나 간섭, 규제 없이는 일회용품의 과생산과 과소비가 일어나는 것이 ... ...
- [커리어] 매일 전기 1kWh를 아끼면 무슨 일이? 지역 청소년 에너지 교육 '2023 신바람 에너지 스쿨 '과학동아 l2024년 01호
- ‘지구온난화’ ‘에너지 위기’라는 말이 나온 게 어제오늘 일은 아니다. 십 수년 전에도 교실에서, 다양한 매체에서 다가올 미래의 문제로 심각 ... 말했다. 김예닮 신월중 교사는 “학생들이 에너지 절약과 효율에 대해 다방면으로 생각해볼 수 있는 계기를 줄 수 있어 좋았다”고 말했다 ... ...
- [이달의 책] 재난에 맞서는 과학: 오늘의 과학 탐구과학동아 l2024년 01호
- 정의에 빠지지만, 누군가는 재난과 분노가 휩쓴 자리에서 이것이 반복되지 않을 방법을 생각한다. ‘재난에 맞서는 과학’은 누구나 손 들고 참여해 함께 재난을 막는 과학을 제안한다. ‘재난에 맞서는 과학’의 중심엔 과학이 맞서지 못했던 ‘가습기살균제 참사’가 있다. 가습기살균제 참사는 ... ...
- 이것도 수학이야? 별난 이름 정리수학동아 l2024년 01호
- 수학적으로 따져봤다고?’라며 우리가 보기엔 전혀 수학적이지 않은, 수학과 연관 지어 생각하면 별나기만 한 상황을 연구한 것도 있다. ‘별난 수학’을 집중적으로 살펴본다.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Intro. 이것도 수학이야? 별난 이름 정리Part1. 수학에 사랑스러움이 가득!Part2. 세상에서 ... ...
- 문제 풀다 눈 맞아 결혼! 해피엔딩 문제수학동아 l2024년 01호
- 그려지려면 점을 최소 몇 개 찍어야 하는지 묻는 것이다. 먼저 종이 위에 점들을 아무 생각 없이 무작위로 찍는다. 이렇게 점을 찍으면 대개 질서라고는 찾아볼 수 없지만, 아주 우연히 세 점 이상이 한 직선 위에 일렬로 놓인다면 규칙을 발견할 수 있다. 하지만 이것은 통계적으로 매우 낮은 ... ...
- 몇 번째 사귄 사람과 결혼할까? 비서 문제수학동아 l2024년 01호
- 1/10) ≒ 37.28%이다. 최고의 배우자 A와 결혼할 확률이 약 37.28%라고 하면 그리 높지 않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무턱대고 선택해서 A와 결혼할 확률인 10%보다는 훨씬 높다. 그런데 만약 총 n명과 사귀고 현재까지 x명에게 퇴짜를 놨다면 결과가 어떨까? 최고의 배우자와 결혼할 공식은 이다. 일반적으로 ... ...
- 불만 없이 케이크 나누기 고독한 분할법수학동아 l2024년 01호
- 있으니 최대한 똑같이 자르려고 애쓸 거고, 자기가 자르지 못한 사람은 어쨌든 스스로 생각하기에 더 큰 조각을 가져갈 수 있으니 불만이 없다. 문제는 사람의 수가 늘어날 때다. 슈타인하우스가 제시한 3명이 공평하게 나누는 방법은 아래쪽 표와 같은 ‘고독한 분할법’이다. 그러나 이 ... ...
- 팬케이크 맛있게 굽는 반죽 비율수학동아 l2024년 01호
- 두툼하게 굽는 네덜란드의 포퍼처스는 종횡 비율이 약 3이었다. 우리가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미국식 팬케이크는 종횡 비율이 3보다 크고 300보다 작았다. 사람마다 좋아하는 두께가 달라 정확한 숫자로 나타내기 어려웠다. 베이커 비율이 약 100인 걸쭉한 반죽을 구웠더니, 단단한 반죽 속에 갇혀 있던 ... ...
- 인간 나이로 몇 살일까? 반려견 나이 변환 공식수학동아 l2024년 01호
- 나이를 추정하는 후성유전학 시계를 개발했다. 그 전까지 노화의 주된 원인이라고 생각하던 텔로미어가 나이와 50% 정도의 상관관계를 보이는 데 반해, DNA 메틸화는 무려 96%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인간 아닌 동물도 후성유전학 시계 따른다 인간뿐 아니라 침팬지와 쥐, 늑대, 강아지도 후성유전학 ... ...
이전14151617181920212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