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탐색"(으)로 총 766건 검색되었습니다.
- [인터뷰] “꿈을 향한 3년 고교생활 일관되게 드러내야”과학동아 l2018년 07호
- “굉장히 효율적인 복습 방법”이라고 설명했다. 1년간 다양한 수업 수강하며 진로 탐색서 씨는 앞으로 바이오소재를 연구하는 연구원이 되는 것이 꿈이다. 고등학교 1학년 때까지만 해도 약대 진학을 꿈꿨지만, 2학년 때부터 화학공학에 흥미를 느끼면서 화학공학 관련 학과에 진학하기로 ... ...
- [재학생 인터뷰] 조선해양공학 승선하고 미래 엔지니어로 출항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진학하면 선택지가 줄어드는 만큼 고등학교 때 최대한 다양한 활동을 하면서 진로를 탐색하는 것도 방법”이라고 조언했다. 내신 약점 자소서로 만회 18학번_류희균대구일과학고를 졸업하고 수시 일반전형으로 입학한 류희균 씨는 교내 서울대 지원자들 중에서는 내신 성적이 가장 낮은 축에 ... ...
- Part 3. 우주 망원경으로 외계행성을 찾는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오호~. 생명체가 존재할 가능성이 높은 외계행성이 따로 있었군. 지구에서는 우주로 직접 외계행성 찾는 망원경을 보내기도 한다던데, 정말일까? 수천 개의 외계행성을 찾아낸 우주망원경!2009년 발사된 케플러 우주망원경은 지름 2.7m, 길이 4.7m의 원통 모양으로, 약 10만 개의 중심별을 29분마 ... ...
- Part 5. 우리나라의 행성사냥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주인공 도민준의 고향이었던 외계행성을 기억하나요? 한국외계행성탐색시스템의 약자 ‘KMTNet’에서 이름을 딴 ‘KMT 184.05’였지요. KMTNet은 외계행성을 찾기 위한 우리나라의 관측 시스템이에요. 남아프리카공화국과 호주, 칠레 세 국가에 천문대를 세우고 약 8시간씩 돌아가면서 ... ...
- Intro. 제2의 지구를 찾아라! 행성 사냥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7호
- 후훗! 나는야, 전 우주를 누비며 외계행성을 찾는 행성사냥꾼! 망원경과 좌표계만으로 수많은 외계행성을 찾았지. 외계행성에서 생명체를 찾는 것이 최종 목표라고! 그런데 지구에도 행성사냥꾼이 있다면서? 나보다 뛰어난 행성사냥꾼이 있는지 확인하러 얼른 가봐야겠군! ▼관련기사를 계속 ... ...
- Part 2. 행성사냥꾼들의 비법 대공개!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7호
-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제2의 지구를 찾아라! 행성 사냥꾼Part 1. 베테랑 사냥꾼 등장!Part 2. 행성사냥꾼들의 비법 대공개!Part 3. 우주 망원경으로 외계행성을 찾는다!Part 4. 별별 행성사냥꾼!Part 5. 우리나라의 행성사냥꾼! ...
- Part 4. 별별 행성사냥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7호
- 망원경과 과학자들의 활약이 정말 대단하군! 엇! 그런데 과학자뿐만이 아니라 인공지능과 일반 시민들까지 외계행성 연구에 참여하고 있다고? 어떻게 이런 일이 가능하지? 더 빠르고 정확하게 찾아내는 인공지능 사냥꾼!최근 새로운 행성사냥꾼이 등장했어요. 빠른 속도로, 수많은 데이터를 동 ... ...
- [Issue] 한국판 셜록홈즈 나오나과학동아 l2018년 07호
- 변호사, 경비업체 대표도 있다. 강 교수는 “직업의 특성상 새로운 수사 기법이나 정보 탐색방법을 배우러 오는 경우가 많다”고 말했다. OECD 37개 회원국 중 韓만 제도권 바깥에우리나라는 ‘신용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에 따라 정보원, 탐정과 같은 단어를 일절 사용할 수 없다. 현재 ... ...
- [영재교육원 탐방 5] 아주대학교 과학영재교육원, 영재들만의 학회를 열어라!수학동아 l2018년 06호
- 되는 게 아니기 때문에 다른 전공을 체험해 보고, 수업을 들으며 복합적인 연구 주제를 탐색 하기도 한다. 인재는 곧 국가경쟁력방 원장은 현대사회에서는 성적이 좋은 학생이 ‘영재’가 아니라고 강조했다. 특히 수학의 경우 “미래에는 수학을 하는 인공지능이 만들어질 수도 있으니 단순 ... ...
- [Culture] 소행성 ‘베누’ 샘플 귀환 작전과학동아 l2018년 06호
- 미국항공우주국(NASA)이 근지구천체(NEO·Near-Earth Objects)를 본격적으로 탐색하기 시작한 지 20주년이 되는 해다. 1998년 ‘우주방위(Spaceguard) 프로그램’이 시작됐고, 1년 뒤인 1999년에는 지구에 접근하는 천체로부터 지구를 보호할 방법을 논의하는 국제 학술회의가 조직됐다. 그간 과학계는 ... ...
이전14151617181920212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