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중"(으)로 총 19,280건 검색되었습니다.
- 우동수비대 우동이의 일기 3주만에 조사기록 100개!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7호
- 많았지만, 2기에는 전국에서 활약하는 친구들이 있단다. 경상도는 총 39개 동물원 중 14개 동물원이 조사됐어! 동물이 실내에 살고 있나요, 실외에 살고 있나요? 실외각 종에게는 저마다 다른 쉼터가 필요해요. 조사한 동물 종의 모든 개체에게 편안히 쉴 쉼터가 있나요? 그렇다동물들은 종마다 ... ...
- [4컷 만화] 지진으로 화성 내부 구조를 알아낸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7호
- 지하 800km까지 분포하는데, 위쪽의 500km는 굳은 상태고 아래의 300km가 녹아서 움직여요. 중심에는 반지름 1830km의 핵이 액체 상태로 존재하고요.연구팀은 앞으로 인사이트가 더 많은 지진 자료를 수집하면 화성 내부의 구조에 대해 더 자세히 분석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하고 있답니다 ... ...
- [기획] 유네스코의 결정 아쉬운 점도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7호
- 갯벌의 수많은 생물의 가치는 얼마나 될까요?비단 이뿐 아니라 우리나라 갯벌은 탄소중립의 핵심 역할을 해줄 거라 믿습니다. 이제 이산화탄소 배출을 줄이는 건 숙명이 되었어요. 이러한 가치까지 생각하면 정말 천문학적인 숫자가 될 거예요. 갯벌을 더욱 잘 보전하고, 복원해야 하는 이유입니다 ... ...
- [통합과학 교과서] 너의 목소리를 들려줘!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7호
- 수 있는 동시에 소리의 방향도 감지하는 헤드폰을 개발했다고 발표했어요. 이 헤드폰의 중앙에는 긴 막대기가 달려 있는데, 이 끝에 부착된 공에 초음파에 민감한 마이크 6개가 장착돼 있어요. 이 마이크가 수집한 초음파 신호는 컴퓨터의 디지털 신호로 처리돼 사람이 들을 수 있는 가청주파수로 ... ...
- [이달의 과학사] 1947년 9월 9일 그레이스 호퍼, 최초로 컴퓨터 버그를 잡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7호
- 1947년 9월 9일, 미국 하버드대학교에서 일하던 컴퓨터과학자 그레이스 호퍼는 전자기계식 컴퓨터인 ‘마크 II’의 동작에 이상이 생긴 것을 발견했어요. 마크 ... 개발하는 데 참여하기도 했지요. 그레이스 호퍼는 지금도 현대의 컴퓨터를 만든 과학자 중 한 명으로 널리 존경받는답니다. ... ...
- [기획] 생물 다양성 세계에서 인정받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7호
- 보전을 위해 세계적으로 중요하고 의미 있는 서식지 중 하나이며, 특히 멸종위기 철새의 중간 기착지로서 탁월한 가치가 있다”는 이유로 세계유산으로 등재했지요. 우 교수는 “한국 갯벌은 물새의 주요 서식지일 뿐 아니라 2169종●의 갯벌생물을 부양한다”며, “47종의 고유종, 흰발농게 등 ... ...
- 과학 마녀 일리의 과학 용어 따라잡기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7호
- 나는야 어과동의 귀염뽀짝 과학마녀 일리!공작새의 화려한 깃털에 홀딱 반해 버렸어!나도 공작새의 깃털을 따라하고 싶어~. 기획 / 특 ... 아니라 우리의 일상생활 속에서도 구조색이 있어요. 반짝거리는 CD의 뒷면이나 최근 개발 중인 친환경 의류도 구조색을 활용하지요 ... ...
- 지구를 구하는 작은 영웅들을 소개합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6호
- 허율 대원 | HELERE4 팀탐사 생물종 매미발견 위치 용인시 탈피중인 매미를 발견하는 경험을 했어요! 깜짝 놀라서 사진기를 들었답니다! 지송현 대원 | 현현이네 팀탐사 생물종 민물고기발견 위치 경상북도 울진군 줄무늬가 너무 예쁜 수수미꾸리를 발견했어요! 이연재 ... ...
- 플라스틱 다이어트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6호
- 가까운 친구들이 프로젝트에 참여하며 지구를 구하는 작은 실천을 인증해 주었지요. 이 중 당첨된 작은 영웅들의 인증 사진을 한번 볼까요? 테이크 아웃컵을 강낭콩 화분으로!플라스틱 일기 정유나 기자테이크 아웃컵이 강낭콩 화분으로 재탄생했어요. 쑥쑥 자라는 강낭콩을 보니 저절로 웃음이 ... ...
- [기획] 허블우주망원경 또 고장나면 어쩐담!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6호
- 설명했답니다. 허블 우주망원경이 고장 나더라도 차세대 우주망원경들이 준비 중이에요. NASA가 11월 발사 예정인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이 대표적이죠.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은 가시광선을 보는 데 특화된 허블 우주망원경과 달리 적외선까지도 관측할 거예요. 또, 한국천문연구원이 ... ...
이전18818919019119219319419519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