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중"(으)로 총 19,280건 검색되었습니다.
- [헷갈린 과학] 똑같은 거 아녔어? 요가 VS 필라테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6호
- 유지할 수 있도록 코어라 불리는 배, 엉덩이, 골반, 허리 부분의 근육을 키우고, 몸의 중심축인 척추를 지지하는 핵심 근육을 발달시키는 운동이에요. 맨몸으로 하는 요가와 달리 필라테스는 공이나 탄력 밴드, 캐딜락, 의자, 리포머 같은 기구도 활용하는 것이 큰 차이예요. 필라테스는 처음에 ... ...
- [스티브코딩쌤 - 마인크래프트] 똑똑한 코딩 로봇 ‘에이전트’로 건축을 뚝딱!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6호
- 메시지가 나오도록 하세요. 이 메시지가 빠르게 반복되지 않도록 명령이 2초 동안 일시 중지하도록 하세요.➑ 코드 실행 버튼을 누르지 않은 상태에서 Alt+Tab을 눌러 마인크래프트로 돌아가 에이전트가 지나갈 길을 블록으로 만들어 주세요. 어떤 블록이든 사용해도 되고 길의 모양도 자유롭게 ... ...
- [이슈] 눈사람도 별모양도 무엇이 똑같을까?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16호
- 도형이에요. 이때 고정된 점을 ‘대칭의 중심’이라고 해요. 그렇다면 위의 네 가지 장식 중 점대칭 도형은 뭘까요? 바로 원 모양과 마름모 모양이에요. 별 모양과 종 모양은 180° 돌리면 처음의 모양과 완전히 겹치지 않고, 원과 마름모 모양은 완전히 겹치지요. 원과 마름모 모양은 선대칭 ... ...
- [가상 인터뷰] 수학으로 조선을 일으켜라! 최석정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16호
- Q. 조선의 수학을 발전시킨 분이라고 들었어요! 허허, 쑥스럽군요. 저는 서양과 중국의 각종 수학 이론을 공부해 을 펴냈지요. 당시 조선은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을 겪은 뒤라 성한 땅이 없었어요. 빨리 성을 다시 쌓고, 토지를 복원시켜야 했기에 수학 지식이 매우 필요했답니다. ... ...
- 우동수비대 우동이의 일기 “지역특파원과 멘토 출동!”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6호
- 화요일을 휴무일로 정해 사육사가 동물들을 쉬게 하고 있었습니다. 여름방학 기념 집중 탐사 이벤트여름방학을 기념해 8월 4일부터 24일까지 매주 수요일 선물이 팡팡! 터지는 이벤트가 열려요. 자세한 내용은 QR을 찍어 어과수 홈페이지 공지사항을 확인하세요 ... ...
- [4컷 만화] 자고 일어났더니 손가락에 전기가 모였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6호
- 0~1000배 더 많은 땀을 생성하지만, 항상 공기에 드러나 있어 땀 대부분이 생기자마자 공기 중으로 날아가요. 손가락 발전기는 땀이 없어지기 전에 탄소 스펀지로 흡수한 다음, 효소로 땀 분자끼리 화학반응을 일으켜 전기를 만들어요.실험 결과, 손가락 발전기를 착용한 채 10시간 자고 나면 약 400mJ ... ...
- [기획] 허블우주망원경 또 고장나면 어쩐담!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6호
- 설명했답니다. 허블 우주망원경이 고장 나더라도 차세대 우주망원경들이 준비 중이에요. NASA가 11월 발사 예정인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이 대표적이죠.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은 가시광선을 보는 데 특화된 허블 우주망원경과 달리 적외선까지도 관측할 거예요. 또, 한국천문연구원이 ... ...
- [통합과학 교과서] 무지개의 끝을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6호
- 날씨가 선명하지 않으면 보기 힘들지요.기상청은 “이번에 나타난 쌍무지개는 대기 중 물방울이 고르게 분포되지 않은 ‘국지성 소나기’로 인해 발생한 것”이라고 설명했어요. 서울 등지에 국지성 소나기가 내린 15일, 17일, 19일에 무지개가 나타난 것이죠. 기상청은 한쪽에는 해가 떠 있고 다른 ... ...
- [특집] 과연?! 장영실의 손이 닿았을까? 물시계와 천체시계 발견!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5호
- 중 남은 것은 거의 없다”며, “일성정시의는 세종 시대 천문학의 수준을 알 수 있는 귀중한 유물”이라 설명했지요. ●인터뷰김상혁(한국천문연구원 고천문연구센터 책임연구원)“제 눈으로 일성정시의를 볼 수 있을 거라곤 꿈에도 생각 못 했죠!” Q고천문학은 어떤 연구 분야인가요?조선을 ... ...
- [특집] 발굴조사현장, 직접 찾아갔습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5호
- Q이번에 발견된 유물은 어떻게 잘 보존될 수 있었나요?저희가 발굴한 여러 문화층 중에서 이번에 발굴한 ‘조선 시대 VI 문화층(16세기)’이 보존상태가 제일 좋아요. 18~19세기 문화층의 경우 현대 건물을 지으면서 파헤쳐 파괴된 경우가 많아요. 그런데 16세기에는 임진왜란, 병자호란이라는 전쟁 ... ...
이전19019119219319419519619719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