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천체
날씨
일기
기후
양미간
눈살
미간
뉴스
"
천문
"(으)로 총 2,358건 검색되었습니다.
[오늘 날씨] '임시공휴일' 낮부터 비 그쳐…8일까지 맑아
포커스뉴스
l
2016.05.06
m로 매우 높게 일겠고 그 밖의 해상에서는 0.5~3.0m로 일 것으로 보인다. 기상청은 "10일까지
천문
조(天文潮)의 영향으로 바닷물 높이가 높겠으니 서해안과 남해안 저지대에서는 침수 피해에 대비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또 "서해안과 일부 내륙에 강한 바람이 부는 곳 있겠으니 시설물 관리에 유의해야 ... ...
“제가 노벨상 받은 비결요? ‘신뢰’하는 프랑스 학풍 덕분이죠”
2016.05.05
것은 이번 서울대 강연이 처음이다. 아로슈 교수는 “제자인 제원호 서울대 물리․
천문
학부 교수와의 오랜 인연으로 서울대에 오게 됐다”고 말했다. 아로슈 교수의 별명은 ‘양자컴퓨터의 아버지’다. 노벨 물리학상을 받게끔 만든 그의 연구 성과가 양자컴퓨터의 이론적 기반이 됐기 때문이다. ... ...
우리은하의 비밀 간직한 막대나선은하
2016.05.05
별이 많다. 실제 나선 팔 곳곳에 보이는 파란빛은 젊은 별들에서 나온 것이다. 물론
천문
학자들이 마티니 은하를 허블우주망원경으로 관측한 목적은 술을 연구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은하에서 막대가 어떻게 형성되는지를 밝혀내 우리은하의 탄생 비밀을 벗기기 위한 것이다. 우리은하도 ... ...
‘천재소년’ 송유근, 준비 중인 논문 또 표절 논란
2016.05.04
있다는 지적이 올라왔다. 송 군의 지도교수이자 이번 논문의 공저자인 박석재 한국
천문
연구원 연구위원은 동아일보 기자와의 통화에서 “조 교수도 알고 있는 사실로 굳이 저자로 이름을 올릴 필요가 없다고 해서 뺐다”며 표절 의혹을 부인했다. 송 군의 논문 뒤 ‘감사의 말’에는 “조 교수의 ... ...
“나는 1년 계약직 과학자 입니다” ①
과학동아
l
2016.04.30
그는 만 31세였던 1998년, 계약직 박사후연구원 신분으로 우주의 팽창속도를 연구하다
천문
학 역사에 길이 남을 발견을 했다. 그런데 이 발견, 아슬아슬했다. 만약 계약이 1~2년이라도 더 짧았다면 그가 연구 성과를 낼 수 있었을까. ● “아이가 커 가는데 아직 계약직이에요” 슈미트 교수가 ... ...
별의 속살 vs 별의 시체
2016.04.28
5800℃쯤 되니 AB7의 표면온도는 태양보다 20배 이상 높은 셈이다. 2003년 유럽남반구
천문
대(ESO)에서 공개한 소마젤란은하의 별 AB7 주변 성운. 성운에는 우주에서 가장 뜨거운 별 중 하나인 AB7이 숨어 있다. 어쩌다가 이렇게 높은 온도가 됐을까. AB7을 둘러싸고 있는 가스와 먼지가 만든 성운을 가만히 ... ...
“첨단기술이 국가의 미래 좌우…연구 기반 조성에 앞장”
2016.04.23
정체성이 유지되도록 중장기 그림판을 마련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서울대 물리
천문
학부 교수로서 국내 최고 기초과학 전문 연구기관인 기초과학연구원(IBS) 초대 원장을 지낸 오세정 당선자(국민의당·63)는 “첨단 과학기술이 사회에 미칠 영향을 잘 이해하는 사람으로서 국가 정책 결정 과정에 ... ...
밤하늘에 쏟아지는 우주폭포
2016.04.21
흘리는 슬픔의 눈물일까, 오리온이 흘린 피일까. 사실 폭포처럼 보이는 이 천체는
천문
학적으로도 수수께끼로 남아 있다. ‘HH222’라 불리는 우주 폭포는 모양이나 생성 원인이 모두 신비한 베일에 가려져 있다. 다만 폭포수가 다시 튀어 오르는 형상을 한 곳은 설명이 가능한 영역이다. 이곳에서 ... ...
“과학 행정 선진화 위해 노력할 것”
2016.04.20
박사 ○ 이력 1981~1984년 미국 제록스 팔로 알토 연구소 연구원 1984~2016년 서울대 물리
천문
학부 교수 1990년 미국 미시간대 객원연구원 1994년 일본 도쿄대 초빙 교수 2002~2003년 미국 럿거스대 초빙 교수 2005~2011년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이사 2011~2014년 기초과학연구원(IBS) 원장 ▼ 20대 국회 ... ...
화성이 지금처럼 삐딱하게 도는 이유
과학동아
l
2016.04.19
연구진이 화성의 자전축이 오늘날과 같이 기운 이유를 밝혀냈다. 프랑스 천체역학 및
천문
계산연구소 실바인 불레디 연구원팀은 화성의 강 흔적과 극지의 위치, 그리고 면적이 5000km2에 이르는, 화성에서 가장 거대한 타르시스 화산의 활동을 시뮬레이션했다. 그 결과 35억 년 전에 타르시스 화산이 ... ...
이전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19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