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천체
날씨
일기
기후
양미간
눈살
미간
뉴스
"
천문
"(으)로 총 2,358건 검색되었습니다.
우리은하 40분의 1 크기 ‘미니타원은하’에도 블랙홀 존재
2016.04.19
여러 개가 서로 고밀도로 병합되면서 생성됐을 것으로 추정했다. 연구 결과는
천문
학 분야 학술지 ‘천체물리학 저널 레터스(The Astrophysical Journal Letters)’ 3월 17일자에 실렸다. ... ...
‘우주 호텔’서 지구 내려다보는 화려한 휴식
2016.04.17
다양한 우주 식량이 놓여 있었고, 객실 가장자리에는 헬스장과 레스토랑, 무중력 오락실,
천문
대 등 각종 시설로 연결된 문이 보였다. 발아래로는 푸른빛의 지구가 내려다 보였다. 미국이 구상하고 있는 우주 호텔의 모습이다. 미국의 우주개발 기업 ‘유나이티드 론치 얼라이언스(ULA)’와 ... ...
고온 초전도체 30년 미스터리 풀렸다
2016.04.14
교수). 이진호 기초과학연구원(IBS) 강상관계물질연구단 연구위원(서울대 물리
천문
학부 교수·47)은 제임스 데이비스 미국 코넬대 교수팀과 공동으로 고온 초전도체의 작동 원리를 30년 만에 처음으로 관찰하는 데 성공했다. 초전도란 금속의 전기저항이 0이 되는 현상을 말한다. 저항이 0이 되면 ... ...
초신성 폭발로 지구 생명체 죽는 ‘킬존’은 어디까지
2016.04.07
폭발 상상도. - Greg Stewart 제공 지금까지
천문
학자들은 지구 가까이에서 초신성이 폭발해 공룡 등 생물의 멸종과 진화, 기후 변화에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추정해왔다. 이런 가운데 최근 지구와 아주 가까운 거리에서 초신성 폭발이 있었다는 사실을 뒷받침하는 국제 공동 연구진의 연구 결과 2건이 ... ...
마젤란이 본 것은 성운 아닌 은하
2016.04.07
성운이 아니라 제멋대로 생긴 은하다. 실제로 NGC 346이 성운이다. 19세기까지 대부분의
천문
학자들은 뿌옇게 보이는 은하를 성운이라고 오해했다. 마젤란성운 대신 마젤란은하라는 용어가 맞는 표현이다. 소마젤란은하는 지구에서 21만 광년 떨어진 채 우리 은하를 돌고 있는 위성 은하다. 이 은하는 ... ...
우주는 거대한 플라스마 실험실
과학동아
l
2016.04.04
박사학위를 받았다. 미국 UC버클리 우주과학랩에서 연구원으로 일했고 현재는 한국
천문
연구원에서 태양우주환경그룹장을 맡고 있다. 인공위성을 이용한 우주 플라스마 관측 및 자료분석에 관한 연구를 주로 하고 있으며, 우주환경 변화가 인간 생활에 미치는 영향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다 ... ...
10파운드 지폐 인물이 된 스코틀랜드 신사임당은 누구?
2016.03.28
사진이다. - NASA 제공 1835년 소머빌은 독일의
천문
학자 캐롤라인 허셜과 함께 영국왕립
천문
학회 최초의 여성 회원으로 선출됐다. 소머빌은 ‘물리과학의 연관성에 대해’ 6판(1842)에서 천왕성의 공전궤도를 교란시키는 가상의 천체에 대해 언급했는데, 1846년 해왕성이 발견되면서 미스터리가 풀렸다. ... ...
다채로운 색깔 띤 우주의 거대 거품
2016.03.24
목성이 접근한다는 예보가 있어 유럽
천문
학자들의 시선이 집중됐다. 독일의 유명한
천문
학자 요하네스 케플러도 관측에 나섰다가 공교롭게 두 행성 근처의 땅꾼자리에서 ‘새로운 별’을 발견했다. 이 별은 목성만큼이나 밝았다. 케플러는 18개월에 걸쳐 이 별을 관찰한 결과를 기록했다. 당시에는 ... ...
블랙홀이 내뿜는 ‘제트’ 예상보다 더 빨라
2016.03.23
시간이 지남에 따라 블랙홀 바깥 방향인 오른쪽으로 제트가 멀리 뻗어나가고 있다. - 한국
천문
연구원 제공 연구팀은 정밀한 측정을 위해 한국우주전파관측망(KVN)과 우주전파관측망(VERA)을 연결한 한·일 공동 초장기선 전파 간섭계 관측망(KaVA)을 이용해 2013년 12월부터 약 6개월간 집중적으로 M8 ... ...
‘감탄 야경’ 호주 피너클스 사막과 은하수
팝뉴스
l
2016.03.21
팝뉴스 제공 미국 항공우주국이 ‘오늘의
천문
학 사진’으로 최근에 선정한 이미지다. 촬영장소는 호주의 남붕 국립 공원. 웨스턴오스트레일리아주에 있는 이 공원은 특이한 모양의 돌기둥들이 많은 피너클스 사막로 유명하다. 이 돌탑(피너클)들은 뾰족하게 솟아 있다. 얼핏 누군가 공들여 쌓아 ... ...
이전
189
190
191
192
193
194
195
196
19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