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초목
풀
식물계
식생
야채
식물체
플랜트
뉴스
"
식물
"(으)로 총 2,164건 검색되었습니다.
청동기 시대 와인에서 꿀맛이?
2014.08.28
유기물 성분이 조금씩 다르다는 사실도 알아냈다. 연구진은 “이스라엘에서 다양한
식물
재료를 섞어서 음료를 만드는 기술과 지식이 상당했음을 보여 준다 ”며 “기호에 따라 다양한 맛의 포도주를 만들었다는 근거”라고 덧붙였다. 미국 브랜다이스대 화학과 및 고고학과 조교수 ... ...
보습력 높고 잘 뭉치는 ‘명품’ 흙으로 산사태 복원
2014.08.25
적용해 실험한 결과 공사 현장의 토사 구간에서는
식물
피복률 90%이상, 암반 구간에서는
식물
피복률 40% 이상의 높은 결과를 얻었다. 기존 공법의 문제점인 토양 갈라짐 현상 역시 발생하지 않았으며 새롭게 심은 토양의 성장부진 현상도 나타나지 않았다. 김 연구원은 “기존 인공토양은 낮은 ... ...
잘 되면 제 탓, 못 되면 엄마 탓?
2014.08.25
1999년 ‘사이언스’에 실렸다. 결국 ‘세대를 이어가는 후성유전학적 유전’는 동
식물
에 걸쳐 존재하는 현상이라는 말이다. 20세기 중반 무분별하게 사용된 DDT 같은 화학물질은 50년이 지난 오늘날에도 후손들의 DNA에 흔적을 남겨 현대인들의 각종 대사질환과 불임의 만연에 한 원인일 가능성이 ... ...
전자기판 투성이 태양전지에 엽록소가 쏘옥~
2014.08.25
제공 공동 연구팀은 10나노미터(nmㆍ1nm는 10억 분의 1m) 크기의 미세한 은입자를
식물
에서 엽록소와 결합시켜 이같은 문제를 해결했다. 은 나노입자로 엽록소에서 빠져나가는 파장대의 빛을 흡수해 재사용했으며 엽록소를 전극기판 위에 배열할 때 출력저하 현상 역시 감소시켜 태양전지의 효율을 ... ...
잡초가 밟혀도 일어나지 않는다고?
2014.08.24
비집고 자라나 회색빛 공간 속에서 꿋꿋하게 녹색의 자리를 만들지 않는가. 저자는
식물
에서도 늘 주연이 아니라 조연으로 취급받는 잡초를 주인공으로 내세워 잡초의 가치를 새롭게 발견하고 일상에서 즐기는 법을 알려준다. 시공사 제공 ◆우발과 패턴 (마크 뷰캐넌 著, 시공사 刊) ... ...
아세요? 암모니아 합성에 인류 에너지의 2%가 들어간다는 사실을
2014.08.18
실렸다.
식물
의 광합성과 똑 같은 재료인데, 물론 공기에서 활용하는 분자는 다르다(
식물
은 이산화탄소, 여기서는 질소). 그리고 물에서 수소를 얻는데 앞의 전기분해와는 조금 다르지만 어쨌든 이 과정에서 이산화탄소는 나오지 않는다. 이 방법이 산업화돼 하버-보슈법을 대체한다면 두 번째 ‘12 ... ...
[표지로 읽는 과학] 부모의 생활습관 아기에게 고스란히 ‘유전’
2014.08.17
이 ‘저승사자 단백질 복합체’는 약 20년 전 애기장대에서 처음 발견됐고, 이후 많은
식물
을 비롯해 곰팡이와 동물에서도 발견됐다. 하지만 이 단백질 복합체가 유명세를 탄 이유는 따로 있다. 바로 유럽에서 수천 명의 신생아를 기형아로 만들었던 입덧 치료제 ‘탈리도마이드’의 타깃이기 ... ...
식물
끼리 대화, 어떻게 하나 봤더니
2014.08.15
시스템을 확인하는 것 같다”며 “이 연구를 역으로 이용하면 농작물에 해를 끼치는 기생
식물
의 피해를 줄이는 방법도 찾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살아있는 세포를 유리로 코팅한다고?
2014.08.12
생물학적 행동을 제어할 수 있어 다양한 응용이 가능하다. 지금까지 세포벽을 가진
식물
세포나 미생물을 피포화한 연구는 있지만, 세포벽이 없어 외부환경에 특히 민감한 동물세포의 피포화를 성공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연구팀은 피포화 할 동물세포로 여성의 자궁에 생기는 ... ...
전자제품 세대교체 오나… 금속기판에 차세대 소자 심었다
2014.08.11
를 기판 위로 옮기는 난제를 해결책을 제시한 스위스팀의 연구결과가 게재되기도 했다.
식물
을 심을 때처럼 씨를 뿌려 탄소 나노튜브를 생산할 수 있는 기술로 스위스 연방재료과학연구소(EMPA)의 주안 산체즈-발렌시아 박사팀이 개발했다. 한창수 교수는 “그래핀의 상용화를 위해 극복해야할 ... ...
이전
190
191
192
193
194
195
196
197
19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