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초목
풀
식물계
식생
야채
식물체
플랜트
뉴스
"
식물
"(으)로 총 2,164건 검색되었습니다.
방사성 세슘 다 잡는 신물질 개발
과학동아
l
2014.06.16
발전할 가능성이 있어 악명이 높다. 특히 세슘염은 물에도 잘 녹기 때문에
식물
섭취를 통해 몸에 들어오기 쉬워 방사능 오염지역에서는 세슘 제거가 반드시 필요하다. 윤경병 서강대 화학과 교수팀은 기존 흡착제보다 40배 이상 흡착 성능이 뛰어난 신규 물질 ‘바나도실리케이트 SGU-45’를 ... ...
도시 숲에 살고 있는 동
식물
과의 만남!
어린이과학동아
l
2014.06.15
6월 14일부터 오후 2시부터 다음날인 15일 2시까지 24시간 동안 서울 성동구 ‘서울숲’에서는 서울시와 산림청이 주관하고 국립수목원, 국 ... 면서 "행사에서 보고 듣고 느꼈던 것들을 기사에 구체적으로 담아, 다른 어린이들에게 동
식물
을 아끼고 보호해야 하는 이유를 알리겠다"고 전했다 ... ...
빛 쪼였더니 암세포가 번식하다가 스톱!
과학동아
l
2014.06.11
5월 4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빛으로 켜고 끌 수 있는 올가미를 만들기 위해
식물
인 애기장대의 유전자를 이용했다. 애기장대의 특정 유전자는 청색광에 반응하는 단백질을 만들어내는데, 연구팀은 이 유전자가 만든 단백질을 이용해 청색광에 비춰졌을 때만 표적 단백질에 달라붙는 올가미 ... ...
우리 몸에 없어서는 안 될 28가지 원소는?
2014.06.09
사이에 존재하며 구조를 유지하고 세포간 신호전달에 관여한다. 다세포생물이 진화할 때
식물
세포는 세포벽을 만드는 쪽으로 진화하면서 마치 벽돌을 쌓듯이 세포들이 모여 하나의 개체를 이룬 반면, 움직여야 하는 동물은 세포가 말랑말랑하면서도 서로 연결돼 있어야 했기 때문에 세포외기질을 ... ...
약초와 독초 헷갈리지 마세요
과학동아
l
2014.06.05
줄기를 꺾었을 때 역한 냄새가 난다면 일단 독초를 의심하는 것이 좋다. 또 벌레가 먹는
식물
은 보통 독초가 아니라는 사실을 기억했다가 벌레가 갉아먹은 흔적이 있는지 살펴보는 것도 약초와 독초를 쉽게 구별할 수 있는 팁 중 하나다. ... ...
꼬리에 ‘잎’ 달린 도마뱀, ‘팅커벨’로 불리는 파리
과학동아
l
2014.06.05
라는 별명을 가진 '카위색의 용나무' - 미국 애리조나대 국제종탐사연구소(IISE) 제공
식물
중에 유일하게 선정된 ‘카위색의 용나무’는 국제종탐사연구소의 태국인 카위색 키랏키아트의 이름에서 따온 것으로 별명이 ‘용의 어머니’다. 키가 12m나 되고 잎은 칼처럼 뾰족하고 끝이 하얗다. ... ...
진딧물과 박테리아의 불편한 동거
과학동아
l
2014.06.04
포식 중인 진딧물. - Scott Edwards, UC Riverside. 제공 뷔페에 몰래 들어와 한참 음식을 먹고 있는데 함께 들어온 친구 때문에 들통이 나 쫓겨 ... 아직 확인되지 않았다. 칼로시안 박사는 “이 단백질의 기능과 단백질을 인식하는
식물
의 수용체를 찾아내는 일이 다음 연구 과제”라고 말했다. ... ...
‘돌이킬 수 없는 남극 해빙’의 진실은…
과학동아
l
2014.05.30
수집해 전송한다. 스코필드 교수는 “해빙수의 영향으로 바닷물의 염도가 낮아지면서
식물
성 플랑크톤이 늘었다”고 말했다. 로니 톰슨 미 오하이오주립대 교수는 “북극은 빙하가 바다에 떠 있지만 남극은 빙하가 대륙 위에 놓여 있어 녹을 경우 곧바로 해수면 상승으로 이어진다”면서 ... ...
“과학이 사회와 호흡하도록 과학계 문화를 바꿔야죠”
과학동아
l
2014.05.30
긴 돌연변이종을 발견하고는 ‘오래사라(Oresara)’라는 이름을 붙여 학계에 발표했다.
식물
이 빛에 반응하는 유전자를 발견하고는 ‘빛(bit)’이라고 이름 짓기도 했다. 정상의 자리에 섰지만 정체를 우려하는 마음에 남 단장은 새로운 도전을 시작했다. 20년 넘게 몸담았던 포스텍을 떠나 ... ...
3D 얼굴 모델링, 그래핀 분리막 "기초 연구가 돈 되네"
과학동아
l
2014.05.28
양지원 KAIST 생명화학공학과 교수가 단장을 맡은 ‘차세대 바이오매스 연구단’은 바다
식물
인 미세조류에서 항공기 연료를 개발하기 위해 산학연 기관들과 공동 연구를 하기로 했다. 내년 하반기에 국산 전투기에 적용하는 시범 비행에 성공할 경우 세계시장 선점이 가능하다. 이 밖에 ... ...
이전
193
194
195
196
197
198
199
200
20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