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아래"(으)로 총 5,599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뉴스] 눈맞춤 기술로 자연스러운 셀카수학동아 l2015년 05호
- 합니다.지금까지는 대부분 화면의 위 또는 아래에 있는 카메라 위치 때문에 늘 시선을 아래로 내리거나 눈을 위로 치켜뜬 것처럼 보여 눈맞춤이 어려웠습니다. 그런데 ETRI 연구팀은 모니터 좌우에 카메라를 달고, 수학 알고리즘을 이용한 3차원 영상을 만들어 이 문제를 해결했습니다.연구팀은 ... ...
- Part 3. 강함을 배운다과학동아 l2015년 05호
- 움직임을 1초에 1000장씩 찍는 초고속카메라로 촬영해 분석했다. 그 결과 새가 날개를 아래로 내릴 땐 깃털을 가로로 눕혀 양력을 최대한 많이 발생시키고, 올릴 땐 깃털을 지면과 수직으로 세워 공기저항을 최소화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같은 원리로 왼쪽으로 비행할 땐 오른쪽 날개의 깃털을 ... ...
- [Photo] 남쪽바다에 뜬 은하수 파노라마과학동아 l2015년 05호
- 훨씬 두껍고 짙은 은하수와 마젤란은하(북반구에서는 보이지 않는다) 그리고 은하수 아래로 커튼처럼 드리워져 있는 녹색의 대기광까지 모든 것이 신비롭다. 이 작품은 한국천문연구원과 동아사이언스가 공동 주최한 제23회 천체사진공모전에서 최우수상을 차지했다. 우주의 깊고 광대한 ... ...
- [과학뉴스] 과학자가 말하는 과학의 아름다움과학동아 l2015년 05호
- 기술원은 파란 LED 전구가 그물처럼 엮인 모습을 카메라에 담았다(➊). 대상을 아래에서 보는 구도로 압도적인 느낌을 연출했다. 송봉석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연구원은 수정란이 착상하기 직전의 찰나를 포착했다(➋). 사진 속 파란 세포는 태아로 발달할 내배엽이며, 바깥 부분은 태반과 합쳐지는 ... ...
- [Knowledge] 불완전한 자연미인 다이아몬드과학동아 l2015년 05호
- 지구가 선물한 자연미 말이다. 조 연구원은 “천연 다이아몬드는 수 억 년 동안 200km 지표 아래에서 생성됐다는 광물로서의 고유한 가치를 지니고 있다”고 말했다. 드비어스 사도 “과학자는 천연과 합성 다이아몬드를 ‘같은 광물’로 생각할지 몰라도 여성들은 둘을 ‘다른 보석’이라고 생각할 ... ...
- Part 2. 작지만 끈질긴, 가볍지만 정교한과학동아 l2015년 05호
- 탐지가 가능하다.귀가 특히 밝은 새들도 있다. 야행성인 올빼미는 귓구멍이 한쪽은 눈 아래, 한쪽은 눈 위에 비대칭적으로 있다. 대칭이 ‘대세’인 동물의 세계에서 이례적인 일이다. 이렇게 ‘짝짝이 귀’에 들어온 소리를 비교하면 소리 출처의 좌표를 x, y, z축으로 더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 ...
- [Knowledge] 1300년 전 석탑, 그 원형을 찾아과학동아 l2015년 05호
- 8년 전이던 1997년 겨울, 전북 익산 미륵사지. 저는 야트막한 산 아래 벌판에서 외로운 탑 둘을 보며 몸을 떨고 있었습니다. 추위 때문만은 아니었습니다. 1300년을 버텨온 석탑이 백전노장 같은 자태로 서 있었습니다. 세월이 도무지 가늠이 되지 않았습니다.미륵사지는 7세기 초반에 지어진 백제시대 ... ...
- 이제 나도 게임 프로그래머!수학동아 l2015년 05호
- ‘액터’로 만들어 명령어를 입력하면, 하나의 게임이 완성된다.새가 제자리에서 위아래로만 움직이는데도 앞으로 날아가는 것처럼 보이는 이유는 바닥 액터가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움직이기 때문이. 오 교수는 “게임을 만드는 데 가장 중요한 것은 관찰력”이라며, “게임을 그냥 하지 말고 ... ...
- [Knowledge] 유로파를 향해 떠나다과학동아 l2015년 04호
-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따뜻하며 대류하는 얼음이거나(위), 액체 상태의 물로 추정된다(아래).]통일한국 우주강국2020년대에 한국형 발사체를 개발하고 이를 이용해 자력으로 달 탐사를 성공시킨 일은 국내외에 큰 반향을 일으켰다. 우선 한국은 2020년대 자타가 공인하는 우주 선진국이 됐다. 우주 ... ...
- [Hot Issue] 280만 년 전 최초 인류, 세상의 빛을 보다과학동아 l2015년 04호
- 특이했다(60쪽). 우선 현대인의 ‘턱’에 해당하는 부분이 없었다. 우리 인류의 입술 바로 아래를 만져보면 움푹 들어가는 부분이 있다. 이 부분이 턱이다. 턱은 오스트랄로피테쿠스 등, 보다 원시적인 종으로 갈수록 사라지는데(둥글납작함), 이 화석도 턱 부분이 둥글고 납작해 원시적이었다.반대로 ... ...
이전19219319419519619719819920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