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이용"(으)로 총 15,132건 검색되었습니다.
- [특집] 세 장, 냄새나도 괜찮아! 또~옹을 연구한 사람들수학동아 l2020년 08호
- 움직이는 면적, 면적 당 날아다니는 평균 비둘기 수, 시간 당 비둘기 배변 횟수 등을 이용해 계산한 결과, 뉴욕 시내를 2시간 동안 멈추지 않고 돌아다닌다면 20%의 확률로 비둘기 똥에 맞을 수 있다고 밝혔죠. 그렇다면 비둘기 많기로 유명한 우리나라 도시, 서울에서 비둘기 똥 맞을 확률은 ... ...
- [기획] 수의 성질이 곧 트릭! 숫자 마술수학동아 l2020년 08호
- 핵심은 홀수에 홀수를 더하면 짝수가 되고, 홀수에 짝수를 더하면 그대로 홀수인 점을 이용해 시작 지점인 1(홀수)에서 적당히 칸을 움직여 손가락이 짝수(2 또는 4)에 오도록 하는 거예요. 처음 7칸 움직일 때 오른쪽으로 움직인 총 칸 수가 m, 왼쪽으로 움직인 총 칸 수가 n일 때 m+n=7이므로 m과 n 중 ... ...
- [한페이지 뉴스] ‘솔라 오비터’ , 역대 가장 가까이서 태양을 찍다과학동아 l2020년 08호
- 7700만km 지점)을 처음으로 통과하며 촬영했다. 솔라 오비터는 극자외선이미저(EUI)를 이용해 태양 표면에서 발생하는 작은 태양폭발(solar flare)을 생생하게 잡아냈다. 연구팀은 관측된 태양폭발이 지구에서 관측하던 태양폭발보다 수백만 배 작은 규모라고 설명하며 여기에 ‘캠프파이어’라는 이름을 ... ...
- 돌멩이 하나에 30억 원? 운석 재테크 해볼까과학동아 l2020년 08호
- 서울대 지구과학교육과 교수팀이 운석을 분석했다. 우라늄-납 동위원소의 반감기를 이용한 연대측정법으로 운석의 나이를 측정하자 45억9700만~44억8500만 년 전에 생긴 물질이라는 결과가 나왔다. 이후 국제운석학회는 이 운석의 이름을 ‘진주(jinju)’로 공인했다. 진주 운석은 ‘오디너리 ... ...
- [나의 일본유학일기] 동아리, 여행, 프로젝트, 대회로 꽉 찬 여름방학과학동아 l2020년 08호
- 손으로 들 필요 없는 목걸이형으로 디자인하고, 음성변환에 쓰이는 기계학습 알고리즘을 이용해 실제 사람 목소리와 유사한 자연스러운 소리를 내도록 설계했다. 여름방학이 끝날 무렵, 우리는 이 프로젝트로 교내대회에서 상을 받았다. 뿐만 아니라 2020년 3월 미국 텍사스주에서 열리는 북미 최대 ... ...
- 뭉친 휴지 줄까, 접은 휴지 줄까? 변기 귀신이 들려주는 화장실 수학수학동아 l2020년 08호
- 묵은 변기에서 태어난 귀신과 화장실 휴지Part2. [특집] 두 장, 더 깨끗한 화장실, 더 빨리 이용하기Part3. [특집] 세 장, 냄새나도 괜찮아! 또~옹을 연구한 사람들 ★ 도움김현규(이화여자대학교 수학과 교수), 패트리샤 양(미국 스탠퍼드대학교 건설환경공학과 박사 후 연구원) 참고자료 이승훈 ... ...
- [옥스퍼드 박사의 수학 로그] 제8화. 바이러스와 싸우는 군론수학동아 l2020년 08호
- 캡시드)이 둘러싸고 있는 간단한 구조로, 스스로 번식하지 못합니다. 하지만 숙주 세포를 이용해 자신의 유전 정보를 복제하며 급속히 증식하죠. 대칭이어야 자기 복제가 쉽다!빠르게 자기 복제를 할 수 있는 건 바이러스의 구조가 굉장히 단순한 대칭이기 때문입니다. 복잡한 구조는 그만큼 ... ...
- 예술가가 알고리듬을 공부하는 이유는?수학동아 l2020년 08호
- 디자인을 전공했죠. 대학교 2학년 때 MIT 미디어랩이 만든 작품을 보고 컴퓨터 알고리듬을 이용해 예술 작품을 만든다는 것을 알게 됐어요. 처음부터 끝까지 혼자 하는 성격이라 코딩과 수학을 익히면 작품을 혼자 만들 수 있어서 매력을 느꼈죠. Q 수학도 많이 활용하나요?알고리듬을 만들 때 ... ...
- [기획] 역원을 알아야 풀린다! 끈 마술수학동아 l2020년 08호
- 새끼손가락부터 순서대로 A, B, C, D, E라고 생각하고 손가락에 끈을 꼬아가며 이를 역원을 이용해 표시해보세요. 만약 끈을 새끼손가락에 시계방향으로 연속해서 n번 꼬았으면 An으로 표시하면 됩니다.어떻게 꼬아야 끈이 풀리냐고요? 이 마술의 핵심은 손가락 1개를 뺀 뒤 끈을 당긴다는 거예요. 두 ... ...
- [때문에 과학] 1탄. 꿀잠 좌우하는 심부 체온과학동아 l2020년 08호
- doi: 10.1038/s42003-020-0902-8연구팀은 유전자 변형으로 잠을 적게 자는 돌연변이 초파리를 이용했다. 이 초파리는 주변 기온이 21도일 때보다 29도일 때 잠을 더 많이 잤다. 연구팀은 주변 기온을 조절하면서 온도에 따른 초파리의 뇌 영상을 촬영했다. 그 결과, 기온이 올라가면 가바(GABA)라는 ... ...
이전19219319419519619719819920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