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이용"(으)로 총 15,132건 검색되었습니다.
- [한페이지 뉴스] ‘전지적 곤충 시점’ 보여주는 로봇 카메라과학동아 l2020년 08호
- ‘앤트맨’의 주인공은 핌 입자를 이용해 몸을 곤충만한 크기로 줄인다. 작아진 앤트맨은 목수개미 등에 올라타 격렬한 액션을 펼친다. 덕분에 관객들은 ‘전지적 곤충 시점’을 즐길 수 있다. 시암나스 골라코타 미국 워싱턴대 전기및컴퓨터공학과 교수팀은 이렇게 영화를 통해서나 볼 법한 ... ...
- [때문에 과학] 1탄. 꿀잠 좌우하는 심부 체온과학동아 l2020년 08호
- doi: 10.1038/s42003-020-0902-8연구팀은 유전자 변형으로 잠을 적게 자는 돌연변이 초파리를 이용했다. 이 초파리는 주변 기온이 21도일 때보다 29도일 때 잠을 더 많이 잤다. 연구팀은 주변 기온을 조절하면서 온도에 따른 초파리의 뇌 영상을 촬영했다. 그 결과, 기온이 올라가면 가바(GABA)라는 ... ...
- [인포그래픽] 화성, 어디까지 가봤니과학동아 l2020년 08호
- 못해 실패했지만, 4년 뒤 미국의 ‘마리너 4호’는 중력도움(flyby·행성의 중력을 이용하는 근접비행)에 처음 성공하며 냉전에서 촉발된 우주 탐사 경쟁에 불을 붙였다. 1990년대 후반부터 아시아도 화성 탐사에 뛰어들었다. 1998년 일본이 화성 탐사선 ‘노조미’를 발사했고, 2011년 중국이 ‘잉훠 ... ...
- USA┃Mars 2020 ‘인내’와 ‘끈기’로 흙 가지러 떠납니다과학동아 l2020년 08호
- 토양의 고화질 사진을 찍어 퇴적층을 분석하거나, 로버의 로봇팔에 달린 셜록(SHERLOC)을 이용해 유기물의 특성을 분석하는 등 간접적인 방법을 써야 한다. 특히 퍼시비어런스는 화성에서 고대 생명체의 자취가 남아있을 법한 토양을 발견하면 이를 채취해 시료 보관함 ‘캐시(Cache)’에 담아 보관해야 ... ...
- 한국 화성 탐사 계획은? 화성에 가져갈 ‘잇’템 7과학동아 l2020년 08호
- 고성능 안테나도 필요합니다. 실제로 화성에 간 로버들이 지구와 통신할 때 이런 방법을 이용합니다. 로버와 지구가 서로 마주 보고 있을 때는 극초단파(UHF) 같은 전파로 지구와 직접 교신하고, 로버와 지구가 직접 교신할 수 없을 때는 로버가 화성을 돌고 있는 궤도선에 신호를 보내면 궤도선과 ... ...
- ADHD, 이제 게임으로 치료한다?과학동아 l2020년 08호
- 019년 세계보건기구(WHO)는 게임이용장애(Gaming disorder)를 질병으로 분류했다. WHO는 게임이용장애를 ‘다른 생활보다 게임을 우선시해 (일상에서) 부정적인 결과가 생겨도 게임을 계속하거나 오히려 더 하게 되는 경우’로 정의했다. 치료용 게임이 유사한 중독 효과를 유발할 가능성은 없을까. ADHD는 ... ...
- [과학동아 X 긱블] 케첩으로 주스 만드는 마법의 기계과학동아 l2020년 08호
- 장점이 있습니다.DC 모터는 믹서를 회전시키는 용도로 사용합니다. DC 모터는 직류 전압을 이용하기 때문에 배터리를 통한 전기공급도 쉽고, 제어가 간편해서 널리 사용됩니다. 믹서는 한 방향으로 회전만 하면 되니 DC 모터로 충분할 것 같습니다.여기에 전원 스위치를 연결할 건데요. 민바크 님의 ... ...
- [나의 독일유학일기] 시험 기간이 방학 중에? 방학 같지 않은 방학과학동아 l2020년 08호
- 독일은 지리적 위치가 특히 좋아 스위스뿐 아니라 웬만한 국가는 반나절이면 차를 이용해 갈 수 있다. 방학 때 자동차로 국경을 넘어가며 유럽을 여행할 수 있는 건 유럽 유학생의 특권이다. 최근 여행 중 가장 기억에 남는 것은 단연 2019년 겨울방학에 친구들과 떠난 여행이다. 오랫동안 보지 못했던 ... ...
- [한장의 과학] 어떤 비밀이 담겨있을까? 개구리 두개골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8호
- 개구리 두개골의 기능과 진화를 알아본 연구 결과를 발표했어요. 연구팀은 3D 스캔을 이용해 개구리 158종의 두개골 모양을 살펴봤지요. 분석 결과, 대부분의 개구리 두개골은 매끈한 표면에 모양이 단순했지만, 크기가 큰 먹이를 먹는 개구리 종은 뼈가 불필요하게 단단해지는 과골화가 나타나 ... ...
- [포토뉴스] 인공신경망으로 묘기 부리는 드론수학동아 l2020년 08호
- 뒤 돌기 그리고 연속 돌기까지 총 3가지 곡예의 최적 이동 경로를 만든 뒤 인공신경망을 이용해 다양한 변수를 입력했을 때 경로를 찾는 최적의 방법을 스스로 학습하도록 했습니다. 인공신경망이란 생물의 신경 구조를 흉내내 만든 학습 알고리듬으로, 데이터의 패턴을 쉽게 찾아낼 수있습니다. 그 ... ...
이전19219319419519619719819920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