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인간
놈
인류
녀석
인물
휴먼
개인
뉴스
"
사람
"(으)로 총 22,296건 검색되었습니다.
어과동 사랑꾼을 만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5.09.26
- 앞으로 유현 군은 어떤
사람
이 되고 싶은가요? ○ 문유현 과학자요! 과학 공부를 해서
사람
들에게 도움을 주는 물건들을 많이 만들고 싶거든요. 과학자가 되면 실험을 매일매일 할 거예요. ○ 문명운 아들과 함께 실험하는 그 날을 기대하며 앞으로도 유현이와 함께 열심히 ... ...
나는 한국의 파브르입니다
과학동아
l
2015.09.26
먹이식물 150종을 심었다. “이 넓은 땅에 모종 몇 개 심어봐야 티도 안 나요. 일도 하던
사람
이나 하지. 온 몸이 너무 아픈 거예요. 인대가 늘어나서 물리치료도 받았어요. 엎친 데 덮쳐 잡초가 자라기 시작하면서 멘붕이 왔죠.” 힘이 들어서 울기도 많이 울었다. 그래도 두 아들이 든든한 우군이 ... ...
12살 때 받은 차별 32세까지 간다
과학동아
l
2015.09.26
그 결과 백인보다 아프리카계 미국인이, 성인이 된 뒤보다 청소년기에 차별을 겪은
사람
이 코티솔 수치가 비정상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코티솔은 아침에 많이 분비되고 밤에는 적어지는데, 이런 리듬이 깨지면 만성피로와 심혈관 질환, 기억장애 등의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아담 교수는 ... ...
冊으로 연휴 즐기기… 정서와 문화로 바라본 과학
2015.09.26
박문호의 자연과학세상)’의 회원일 뿐이다. 어느 날 함께 공부하면서 의기투합한
사람
들이 ‘지구란 행성의 발자취를 따라가 보자’며 길을 떠난 것이다. 이들은 ‘함께 떠나자’는데 의견을 함께 했고, 본격적인 준비에 돌입했다. 이들이 말하는 준비란 비행기표를 예약하고 커다란 ... ...
‘황금연휴’ 알찬 여행의 팁을 알려주마
2015.09.25
가까운 곳을 할 지 등 선택지가 많기 때문이다. 하영원 서강대 경영학부 교수팀은
사람
들이 시설과 거리 중 하나에 치우치지 않고 적당한 시설과 적당한 거리에 있는 숙박시설을 선택하는 경향이 있다는 연구결과를 2009년 ‘소비자연구저널’에 발표했다. 위키미디어 제공 연구팀은 국내 ... ...
잠이 보약… 코골이-근육통땐 옆으로 구부려 자면 ‘꿀잠’
동아일보
l
2015.09.25
수 있다. 수면 습관을 전문가를 통해 진단 받은 뒤 1∼2주 정도만 노력해도 효과를 보는
사람
이 많이 있다. 고양=이세형 기자 turtle@donga.com 오상우 동국대일산병원 가정의학과 교수 [화제의 뉴스] - 100억대 자택 내놓은 강덕수 회장, 왜? - 폈다 휘었다…TV, 내가 원한 만큼 구부려서 본다 - 스키니진 ... ...
롯데월드타워 첨탑부에 다이아무늬 새겨진 비밀은?
2015.09.25
댓살을 교차시키며 엮은 죽부인과 원리가 비슷하다”며 “죽부인이 내부가 비어 있지만
사람
이 베고 누워도 댓살 구조를 유지할 만큼 충분한 힘을 갖는 것처럼 다이아그리드도 기둥 없이 건물의 하중을 견딘다”고 말했다. 롯데월드타워의 경우 107층에는 건물 전체를 받치는 코어 1개만 있을 뿐 ... ...
20년 뒤 미래, TV는 둘둘 말리고 신원인증은 ‘정맥’으로
2015.09.25
선정한 미래 도전기술 20선이 반영된 2035년의 모습. - 한국공학한림원 제공 #한
사람
이 거실 한쪽 벽을 차지하고 있는 스크린을 향해 주치의를 부른다. 의사가 스크린에 나타나자 남자는 며칠째 소화가 되지 않는다며 증상을 설명한다. 의사는 몇 가지 질문을 하더니 소화제를 처방해준다. ... ...
‘한국의 파브르’ 정부희 곤충기를 아시나요
과학동아
l
2015.09.25
자리를 마련하고 싶었다”고 설명했다. 그는 15년 전 일본에서 취미로 곤충을 관찰하는
사람
들이 아마추어 곤충학술지를 통해 정보를 교류하고 지식을 쌓아가는 모습을 보고 꿈을 키웠다. 오랜 시간이 걸려 탄생한 ‘곤충’지는 학술지와 잡지의 중간 형태다. 곤충 분류와 생태에 관한 전문지식이 ... ...
논문에서…내 이름이 사라졌다
과학동아
l
2015.09.24
위원회가 상급심 역할을 맡는 셈이다. 대학 자체적으로 조사·처벌한 사건에 불복하는
사람
은 위원회에 상고하면 된다. 이를 통해 대학의 ‘제 식구 감싸기’를 약간이나마 줄일 수 있다. 이번 국립암센터 논문저자조작 사건을 가까이에서 목격한 E 연구원은 “졸업 후에라도 제보할 수 있는 익명의 ... ...
이전
1969
1970
1971
1972
1973
1974
1975
1976
197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