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인간
놈
인류
녀석
인물
휴먼
개인
뉴스
"
사람
"(으)로 총 22,296건 검색되었습니다.
[영상] '마리텔' 김영만 아저씨의 1분 종이접기 강의
어린이과학동아
l
2015.09.21
생물의 모습과 최대한 비슷하게 만드는 종이접기 방법을 개발하고 있어요. 그리고 많은
사람
이 보고 만들 수 있도록 그 도안을 홈페이지에 공개한답니다. 사실 로버트 랭은 미국 캘리포니아공과대학교와 스탠포드대학교에서 전기공학을 공부했어요. 2000년까지만 해도 NASA를 비롯한 여러 ... ...
고지방식 먹고도 건강한 이누이트族의 비결은?
2015.09.21
이 돌연변이는 유럽인에서는 단 2%에게만 나타났다. 또 중국 한족 중 이 돌연변이를 가진
사람
은 15%뿐이었다. 라스머스 닐슨 UC버클리 교수는 “이누이트족이 그들만의 식단에 적응한 결과 생긴 독특한 변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이 돌연변이는 다른 생리적 효과도 불러일으키는 것으로 ... ...
노화 시계 되돌리는 새로운 메커니즘 찾았다
2015.09.20
사실을 발견했다. 연구진은 이러한 DNA 구조를 ‘TALT’라고 이름 붙였다. 이 교수는 “
사람
의 암 세포에서도 TALT 구조를 발견한다면 암을 진단하는 데 도움을 줄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네이처’의 자매지인 ‘네이처 커뮤니케이션’ 18일자 온라인판에 실렸다. ... ...
[2015 국정감사] 질책 앞서 모범 아쉬운 과학계 국회의원
2015.09.20
위해 과학분야 위원회를 찾는
사람
이 아닌, 진심으로 과학기술 발전을 걱정하는
사람
을 국회의원으로 뽑을 수 있어야 한다. 국민의 관심이 없는 대한민국 과학기술은 갈 곳을 잃기 때문이다 ... ...
썩은 그루터기도 귀한 생명을 품어 내는 보금자리가 된다
2015.09.20
것이다. 사이언스북스 제공 ■인류의 기원 (이상희, 윤신영 作, 사이언스북스 刊)
사람
은 언제, 어디서 왔을까. 최근 나타나는 인류의 화석과 DNA의 흔적이 인류가 걸어온 길을 말해준다. 고인류학자인 이상희 미국 리버사이드캘리포니아대(UC리버사이드) 교수는 이런 인류의 역사를 ... ...
1953년 스탠리 밀러의 초기 지구 조건에서 아미노산 합성 실험
과학동아
l
2015.09.20
이는 인위적인 실험일 뿐 과거 지구에서 그런 일이 일어났다는 뜻은 아니라고 주장하는
사람
들이 있었다. 그런데 다른 천체의 산물이기는 하지만 자연상태에서 정말 아미노산 여러 종류가 만들어진다는 사실이 처음 확인된 것이다. 그렇다면 1953년 밀러의 실험으로 생명의 기원에 대한 의문은 ... ...
[특집] 韓中日 달탐사 경쟁 심화… “먼 옛날 달은 ‘동생’이 있었다는데”
2015.09.19
않고 걸쭉하게 녹은 상태였을 때 용암이 흘러나와 형성된 평지 부분이다. 하지만 과거
사람
들이 본 것은 달의 앞면뿐이었다. 달은 공전주기와 자전주기가 약 27.3일로 같기 때문에 지구에서는 달의 같은 면만 볼 수 있다. 달의 앞면은 뒷면에 비해서는 아름다운 편이다. 인류가 달의 뒷면을 처음 본 ... ...
산티아고 건물 40분간 흔들… 해안가 100만명 한밤 대피
동아일보
l
2015.09.18
진도 7의 진동이 느껴져 상점에 진열된 물건들이 모두 바닥에 떨어졌다. 진도 7은
사람
이 서 있기가 곤란한 정도로, 느슨한 적재물과 담장은 무너진다. 지진은 산티아고에서 남쪽으로 200km 떨어진 피칠레무 지역까지 전달됐다. 진원지에서 430km나 떨어진 곳이다. 이 지역에 체류하던 조너선 프랭클린 ... ...
‘과학하고 앉아있네’ 부터 ‘과정남’까지
2015.09.18
직접 초대해 어떤 연구를 하는지, 연구하면서 어려운 일은 없었는지를 들어보는
사람
냄새 나는 방송이 되도록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내년 창간 30주년을 맞는 과학잡지 ‘과학동아’도 팟캐스트 ‘과학동아 Live’를 최근 시작했다. 첫 방송의 주제는 후성유전학. 아버지의 생활습관으로 생긴 ... ...
올 추석 보름달은 17시 50분에 ‘슈퍼문’ 보세요~
2015.09.17
달(왼쪽)과 큰 달(오른쪽). - 한국천문연구원 제공 올해 한가위를 서울에서 보내는
사람
은 오후 5시 50분에 보름달을 볼 수 있다. 한국천문연구원은 한가위 당일인 27일 보름달이 서울 기준으로 이 시각에 뜬다고 16일 밝혔다. 달을 가장 먼저 볼 수 있는 지역은 울산으로 17시 40분에 달이 뜬다. 다만 ... ...
이전
1971
1972
1973
1974
1975
1976
1977
1978
197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