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능
활동
영향
효과
힘
작인
작업
d라이브러리
"
작용
"(으)로 총 5,102건 검색되었습니다.
별 볼일 없는 왜소은하가 왜 관심을 끄나요?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망원경으로 관찰한 별빛을 토대로 추정한 왜소은하의 질량과, 다른 천체와의 상호
작용
을 토대로 계산한 질량을 비교해 보면 큰 차이가 난다. 즉 별을 토대로 한 왜소은하의 질량은 실제 질량의 10% 정도에 불과하다. 어떤 왜소은하는 빛을 내는 물질이 전체 질량의 1%가 채 안 되는 경우도 있다. 반면 ... ...
언어 유전자는 존재하나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진화 과정에서 갑자기 두 곳이나 바뀐 것이다. 돌연변이가 일어난 자리는 단백질이
작용
을 하는 데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자리로 추정됐다. 결국 이 돌연변이로 인해 사람의 FOXP2는 새로운 기능을 갖게 됐고 그 결과 사람 태아의 뇌조직은 독특한 회로를 갖추게 됐음을 의미한다.이 결과가 발표되자 ... ...
지구온난화의 원인은 무엇일까?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요인들이 지구의 기온에 어떻게 영향을 주는지, 지구의 기온변화가 요인들에 어떤
작용
을 하는지를 파악합니다. 마지막으로 둘의 관계가 양성피드백과 음성피드백 중 어떤 과정과 유사한지를 알아냅니다. 예시답안 1) 제시문 (가)에 의하면 태양복사 에너지의 세기는 흑점의 수에 비례한다. 이를 ... ...
마스크와 손 씻기 신종플루 예방효과는?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효능이 떨어지는데, 이는 에탄올이 세포 내로 침투해 살균하기 전에 너무 빨리 탈수
작용
이 일어나기 때문이다. ④ 액체형 물비누는 제품을 충분하게 사용할 때와 불충분하게 사용할때 결과에 차이가 컸다. 이는 세균이 많이 분포하는 부분을 제대로 세정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또 항균 성분 외에 ... ...
'초식남'과 '건어물녀'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건어물녀에게는 전통적으로 여성의 일이라고 여겨졌던 가사에서 벗어나려는 심리가
작용
했다. 게다가 우리 사회 곳곳에는 아직도 여성들에게 여성스러움만을 요구하는 분위기가 남아 있다. 여성이 이런 심리적 제약을 모두 벗어던지고 아니무스를 마음껏 표출할 수 있는 공간이 바로 집이다. 양 ... ...
은빛 비늘에 뒤덮인 두툼한 속살 갈치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저장하기 좋다는 사실은 냉장기술이 지금처럼 발달하지 못했던 시대에 크나큰 이점으로
작용
했을 것이다. 값싸고 맛있는 데다 잘 상하지 않고, 쉽게 구할 수 있기까지 하니 갈치는 인기 생선의 운명을 타고난 것이다.그러나 이제 시대가 변했다. 배추 값이 올라 김치가 금치가 됐다더니 이젠 ... ...
유체의 흐름을 설명하는 새로운 방법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유체의 운동은 질량보존과 에너지보존으로 설명된다. 유체 속에 잠겨 있는 모든 물체에는 부력이
작용
한다. 유체의 압력과 속력, 위치(높이)의 관계를 표현한 식을 베르누이 방정식이라고 한다. ...
유전자와 문화 사이의 균형추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기원이 어떻게 다르게 보이는지를 알고 싶다면, 그리고 유전자와 문화의 흥미진진한 상호
작용
을 알고 싶다면 이 책을 추천한다.● 알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과학동아와 ... ...
면발의 힘 글루텐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풀처럼 찍찍 늘어난다. 글리아딘 단백질끼리는 화학결합을 하지 않고 물리적으로만 상호
작용
해 쉽게 변형될 수 있기 때문이다. 반면 글루테닌 반죽은 탱탱하고 잘 늘어나지 않는다. 결국 이 둘이 섞인 글루텐은 성질도 그 중간인 셈이다.다양한 면류를 생산하고 있는 풀무원의 식문화연구원 조중건 ... ...
100년 넘은 광학법칙 깨뜨린 나노렌즈 개발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사방으로 퍼지는 현상이다.두 점 사이의 거리가 빛 파장의 절반 이하일 경우 이런 회절
작용
에 의해 두 점은 한 점으로 겹쳐 보인다. 이를 아베의 회절 한계라고 부른다. 아무리 현미경의 배율을 확대하더라도 이런 현상은 피할 수 없다.광학현미경, 즉 우리 눈이 볼 수 있는 파장의 빛을 이용하는 ... ...
이전
194
195
196
197
198
199
200
201
20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