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초
토대
터전
기본
근거
기틀
파운데이션
뉴스
"
기반
"(으)로 총 8,120건 검색되었습니다.
양자점 태양전지 효율 18.1% 달성…"세계 최고 효율"
동아사이언스
l
2024.01.28
UNIST)은 장성연 에너지화학공학과 교수 연구팀이 태양광 활용도가 높은 유기양이온
기반
페로브스카이트(유기계 페로브스카이트) 양자점의 치환 효율을 높인 리간드 치환법을 개발, 국제 학술지 '네이처 에너지'에 지난 27일 온라인 공개했다고 밝혔다. 장 교수는 "양자점 태양전지의 효율 18.1%를 ... ...
진짜보다 더 진짜 같은 얼굴, AI가 만들었다
과학동아
l
2024.01.27
느끼게 하는 데 일조한다고 분석했다. 생성 AI의 경우 이전에 모은 얼굴 빅데이터를
기반
으로 평균적인 얼굴 이미지를 만든다. 그런데 위 세 가지 특징은 생성 AI로 만들어진 ‘평균적인 느낌의 얼굴’에서 특히 강조되기 때문에 사람들을 속게 만든다는 것이다. 연구팀은 진짜보다 더 진짜 같은 AI ... ...
[과기원NOW] 이지윤 KAIST 교수, 한국인 최초 미국항법학회 터로상 수상
동아사이언스
l
2024.01.26
필수적인 ‘항법 무결성 아키텍처 설계’ 분야의 세계적인 권위자로서 항공용 위성
기반
항법 시스템의 안전을 보장하는 기술에 크게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또 새로운 전리권 위협 모델링 방법, 전리권 이상 현상 감시 및 완화 기술, 차세대 보강 항법 시스템의 무결성 및 가용성 평가 기술을 ... ...
2초만에 이미지 '뚝딱'…ETRI, 초고속 생성형 시각지능기술 공개
동아사이언스
l
2024.01.26
기존에 없는 비디오 해석을 할 수 있도록 확장 연구를 진행했다. 자체 개발한 한국어
기반
소형 언어 이해-생성 모델 'KEByT5'도 사전 공개했다. 공개한 모델에는 신조어와 학습되지 않은 단어를 처리할 수 있는 토큰-프리 기술을 적용했다. 학습 속도는 2.7배 이상, 추론에서는 1.4배 이상 강화했다. ... ...
'젤리' 입자로 1000km 달리는 전기차 가능성 높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1.26
화학과 교수가 이끄는 연구팀이 젤 형태의 고분자 전해질을 사용해 마이크로 실리콘
기반
고에너지 밀도 리튬이온배터리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26일 밝혔다.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사이언스 어드밴스드'에 지난 17일 온라인 게재됐다. 효율적으로 전기를 생산하는 배터리는 전기차의 핵심 ... ...
[과기원NOW] 반려견 코 사진으로 ’개민증‘ 발급된다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1.25
등록은 내장칩이나 외장목걸이 형태로만 가능한데 이번 실증특례 지정으로 비문(코주름)
기반
반려동물 등록이 가능해졌다. 파이리코는 19일부터 아이디코 앱을 앱스토어에 공개했다. 앱에 반려견 코 사진을 찍어 등록하면 신분증을 발급받을 수 있다. 발급 1호견은 UNIST 심리치료견인 보더콜리 견종 ... ...
[사이언스게시판] 연구개발특구 기술사업화 대상에 다임리서치·바이옴에이츠·이노
동아사이언스
l
2024.01.25
과기정통부 장관상과 특구재단 이사장상을 수여했다. 기술이전 사업화 부문 대상은 로봇
기반
제조 자동화 통합 서비스 플랫폼을 구축해 기술력을 인정받은 다임리서치가 수상했다. 지역혁신 기여 부문 대상은 2023년 20억원 규모 투자 유치에 성공하고 지역인재들에게 실무경험 기회를 다수 제공한 ... ...
페리지 소형 우주발사체로 KAIST 개발 위성 탑재체 성능 검증
동아사이언스
l
2024.01.25
"페리지의 소형 발사체를 통해 KAIST 인공위성연구소의 과학 실험을 수행할 수 있는 협력
기반
을 마련하게 되어 무척 기쁘다"고 밝혔다. 유광선 KAIST 인공위성연구소 과학실험 책임자는 "인공위성 탑재체를 준궤도 영역에서 성능 검증할 수 있게 돼 기쁘다"며 "이번 협업을 시작으로 향후 페리지가 ... ...
극한 환경에도 작동하는 차세대 반도체 메모리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1.25
기술의 문제점을 크게 개선한 결과”라며 “집약적 차세대 컴퓨팅 시스템과 액상 공정
기반
의 전자소자를 대량 생산하는 데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저널 오브 머티리얼스 사이언스 & 테크놀로지’에 17일 온라인 게재됐다. 연소 공정을 이용한 ZrO2 막 ... ...
[과기원NOW] KAIST, 이브자리와 수면 과학 연구 협력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1.24
예정이다. ■ 포스텍은 박경덕 물리학과 교수가 참여한 공동연구팀이 금 나노와이어
기반
의 탐침증강 공진분광 시스템을 자체 개발했다고 24일 밝혔다. 연구팀은 시스템을 활용해 엑시톤과 트라이온의 상호변환을 능동제어하고 실시간 발광특성 분석을 가능하게 했다. 이를 통해 그동안 알려지지 ... ...
이전
194
195
196
197
198
199
200
201
20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