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코튼
페이지
쪽
무명
목화
장
페이쥐
d라이브러리
"
면
"(으)로 총 3,168건 검색되었습니다.
유산균 시장의 아우토반 쎌바이오텍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셀바이오텍은 우리나라 바이오벤처 1호라는 명성에 걸맞게 커다란 성과를 이뤄내고 있다. 특허 하나 가지고 있지 않으
면
서도 세계 수준의 바이오 기 ... 또 과학기술자도 일단 기업을 세웠다
면
영업 마인드를 가져야 합니다. 기술이 있으
면
벤처가 되지만 결국 벤처도 기업이기 때문입니다. ... ...
한민족 고유의 바닥 난방, 구들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빨라져 부피가 팽창하고 분자간의 거리가 멀어지게 된다. 이런 고온의 공기를 호흡하
면
심폐 내 산소분자의 수도 작아지게 돼 호흡 효과를 감소시킨다. 그러나 구들 난방법은 바닥을 데우는 것이므로 아래 공기가 따뜻하고 위 공기가 차다. 건강에도 좋은 난방법인 것이다.현재는 시골에나 가야 ... ...
이毛저毛 털이야기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남성보다 여성의 경우에 털이 빨리 자란다. 한편 이발 또는
면
도를 하거나 털을 깎으
면
털이 빨리 자란다는 속설이 있는데 이는 사실과 다르다. 손상된 털은 회복 불가능사람의 피부에는 손바닥과 발바닥을 제외한 몸 전체에 털이 있다(다른 동물에서와 비슷하게 손바닥과 발바닥은 원래 ... ...
12억원 상금 걸린 지뢰찾기 게임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일관성문제에 다항 시간 동안 얻을 수 있는 답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증명하
면
P 문제와 NP 문제가 다르다는 사실을 증명하는 것이다.지뢰찾기 게임 속에 12억원의 상금이 걸려있지만 이 문제를 풀기는 쉽지 않다. 게임판이 조그만 경우뿐만 아니라 굉장히 큰 경우에도 일관성있는 게임판을 ... ...
하늘이 내린 영웅의 상징 삼태성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서양 큰곰자리에는 우리네 별자리인 북두칠성과 삼태성이 숨어있다. 북두칠성은 국자 모양을 하는 탓에 누구에게나 친숙하다. 그런데 북두칠성 국자가 찌 ... 찾아보자. 아울러 그에 얽힌 옛날얘기도 떠올려보자. 아는 만큼 보인다고, 밤하늘을 보
면
서 할 얘기가 조금은 더 늘었을 것이다 ... ...
왜 양자이론이 암호연구에 이용될까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21세기는 양자기술의 시대라고 한다. 20세기에 닦아놓은 양자과학이 본격적으로 공학에 응용된다는 말이다. 그 중 하나가 바로 양자전산이다. 컴퓨터 분야에서 양자이론이왜 중요 ... 연구자들의 재능과 능력을 믿으며, 그리고 무엇 보다도 때때로 낙관이 일을 만든다
면
가능하지 않을까 ... ...
보물 찾아 떠나는 거울나라 여행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붙이
면
세개의 맞닿는
면
에서 연속적인 반사가 일어난다. 만약 거울 사이의 각도가 60˚라
면
각 맞닿고 있는 두장의 거울 주위에는 여섯개의 무늬가 대칭을 이루고 다시 맞은 편 거울에서도 연속적으로 대칭무늬가 만들어진다. 이를 통해 수많은 상이 보이게 되는 것이다.이런 만화경의 원리를 이용해 ... ...
3. 태양계에서 노다지 캐는 미래 우주벤처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때문이다. 인류가 스스로 자멸한다거나, 우주로부터의 충돌에 의해 멸망한다거나, 아니
면
무한한 우주와 공존하며 계속 발전할 수 있는가 하는 문제는 이제 인간 자신의 노력 여하에 달려있다 ... ...
껌 8분 이상 씹으
면
스트레스 받는다
과학동아
l
2000년 12호
그만큼 뇌로 보내지는 정보량이 다른 부위보다 많다는 의미다.따라서 다른 기관보다 악안
면
에 의한 정보의 오류는 뇌에 심각한 영향을 줄 수 있다. 씹는 행위는 일생을 통해 반복해서 이뤄지는 운동이기 때문에 여기에서 이뤄지는 운동량의 미세한 차이는 장기적으로 생체에 커다란 차이를 ... ...
소음이 있어야 더 잘 들린다
과학동아
l
2000년 12호
신호와 함께 실제 살아있는 뇌에서와 같은 노이즈를 주입할 경우, 세포는 동시에 발화하
면
서 정보를 주고받기 시작했다. 노이즈가 미약한 신호를 증폭해 동시 발화를 촉발시킨 것이다.신경과학자들은 신경세포가 어떤 방식으로 정보를 처리하고 주고받는지 아직 모르고 있지만, 복잡하게 활동하는 ... ...
이전
195
196
197
198
199
200
201
202
20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