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코튼
페이지
쪽
무명
목화
장
페이쥐
d라이브러리
"
면
"(으)로 총 3,168건 검색되었습니다.
5. 바다 응시하는 청동거상
과학동아
l
2000년 12호
채 그대로 방치했다.그렇다
면
로도스의 거상은 어디에 세워졌을까. 학자들은 실무적인
면
을 고려할 때 만드라키와 항구의 입구를 보호하고 있는 셍니콜라스라고 불리는 원형으로 된 작은 교회를 거상이 세워졌던 곳으로 제시한다. 이 지역은 방파제가 있을 만큼 넓은 지역이었는데, 중세 시대의 ... ...
암 일으키는 돌연변이 원리 규명
과학동아
l
2000년 12호
우리나라 40대의 가장 큰 사망 요인은 암이라고 한다.현재까지 암은 치료가 거의 불가능하다.암은 유전자가 손상되
면
서 나타나는 대표적인 유전자 돌열변 ... 연구그룹으로 연구분야를 나눠 연구를 진행중이다.최근 창의적 연구진흥사업을 추진하
면
서 연구그룹을 새롭게 개편하고 있다 ... ...
첨단 토목공학이 건설한 한국 최장의 다리 서해대교
과학동아
l
2000년 12호
상판 관리가 어려운 사장교의 건설기술을 확보하게 된 점은 국제 기술경쟁력 강화 측
면
에서 큰 의미를 가진다.서해대교는 바람,조수간만차,빠른 유속 등 열악한 자연조건,그리고 전국민의 이목 집중에 따른 부담을 딛고 우뚝섰다.우리나라 건설 역사에 한 획을 긋게 될 대역사를 우리 기술로 무난히 ... ...
좀생이별이 들러리 선 거대행성 목성과 토성
과학동아
l
2000년 12호
더 효과적으로 햇빛을 반사하지 못한다. 그래서 작은 망원경으로 보는 토성의 표
면
은 목성보다 전체적으로 약간 어둡고 줄무늬 모양도 뚜렷하지 않다. 다만 토성의 적도지역이 밝게 보이고 그 위아래로 조금 어두운 색을 띤 적도 줄무늬 정도가 보인다.토성은 태양계에서 가장 많은 18개의 달을 ... ...
정보통신보호연구실
과학동아
l
2000년 12호
보기 어렵다.암호학이 안전과 관련된 내용을 연구하는 학문으로 매우 꼼꼼하고 차분한
면
이 강조되는데다,수학적인 이론이 많이 응용되는 학문이어서 다른 컴퓨터 공학분야의 연구실과 다르다.연구실 졸업생들은 대학에서 학생을 가르치거나 연구소나 기업체에서 정보보호에 관련된 연구를 하고 ... ...
사랑의 신 에로스 베일 벗다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1998SF36'에 도착,약 20km상공을 선회하며 탐사한 후 소행성 표
면
에 착륙할 예정이다.표
면
물질의 샘플을 수집한 후 다시 지구로 향하는 탐사선으로부터 2007년 6월 지구에서 3만-4만km거리에서 샘플을 담은 캡슐만 분리해 지구대기로 진입시킬 계획이다 ... ...
UFO추락사진 사실인가 조작인가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뒷부분이 절단됐다. UFO를 목격했던 사람들의 진술과 일치한다. 또한 비행체의 곡
면
은 기존에 제작했던 비행체에서 발견할 수 없는 모양이다.4. 크기 - 비행기의 추락지점을 설명하는 대부분의 목격자들이 길이가 약 15m라고 말한다. 근처에 있는 군인과 비행체를 비교해 크기를 추정한 결과 ... ...
바위에 새겨진 고대인의 흔적 암각화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훼손을 가져올 가능성이 있는 조사는 하지 말아야 한다.반구대 암각화의 표
면
에 묻어 있는 왁스와 하얗게 페인트칠을 한 듯한 실리콘 찌꺼기들은 잘못된 조사결과로 생긴 것이다.그리고 천전리 암각화와 포항 칠포리 암각화에서 볼 수 있는 먹물 자국은 미숙한 아마추어들의 탁본으로 인한 것들이다 ... ...
만약 태초에 우주 팽창 속도가 느렸다
면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수소로부터 두번째 원소인 헬륨이 만들어졌다. 이때 우주의 팽창 속도가 좀 느렸다
면
?높은 온도와 밀도가 더 오래 지속됐을 테고, 수소는 거의 다 헬륨으로 바뀌었을지도 모른다. 주기율표를 아무리 뒤져보아도 수소 대신 DNA의 이중나선을 붙잡아 줄 원소는 없다. 또 세포막을 만들어줄 원소도 없다. ... ...
꿈의 차세대 반도체 메모리F램 기술 선도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서울대 물리학부 노태원 교수와 함께 성공했다는 것이다. 이 물질이 국내에서 상용화되
면
산업체가 그동안 반도체 메모리에 필요한 재료에 대한 막대한 로열티를 지불할 필요가 없어진다.하드디스크 대체할 나노저장장치외에도 이교수는 21세기 기술인 나노과학을 채용한 전자부품의 미세화와 ... ...
이전
196
197
198
199
200
201
202
203
20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