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지구"(으)로 총 8,834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구사랑탐사대] 연어특별탐사, 강을 거스르는 마지막 질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3호
- 수년 동안 살다가, 알을 낳기 위해 가을에 강을 거슬러 올라와요. 연구에 따르면 연어는 지구의 자기장을 탐지하고 기억해 자신이 태어났던 강으로 정확하게 돌아온다고 알려졌어요. 알을 낳기 위한 여정을 시작하면 이동하는 것에 열중해 음식도 먹지 않지요. 연어는 환경에 맞게 몸도 ... ...
- 레이저 쏘아 외계인 찾는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3호
- 곳이에요. 만약 이곳에 지적 외계 생명체가 있다면 지구에서 쏜 레이저를 보고 우리 지구인의 존재를 알게 될 거예요. 또, 이 두 레이저는 모두 최대 2만 광년 떨어진 곳까지 도달한답니다. 하지만 우려의 목소리도 있어요. 강한 레이저가 우주 탐사기기를 고장 낼 수 있고 우주비행사들이 이 ... ...
- [화보] 신비한 나라의 동물 사전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3호
- 동물이 우리보다 매우 크면 세상이 어떻게 변할지 상상해 보았지요. 동물이 인간과 함께 지구에서 살아가는 생명체라는 점을 강조하고 싶었어요. 귀여운 동물, 무서운 동물, 착한 동물, 나쁜 동물이라는 경계도 지우고 싶었지요. 동물과 인간은 친구니까요. Q 준비하고 있는 다른 프로젝트가 있나요 ...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따라잡기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3호
- 실제 별의 밝기와는 차이가 있어요. 별이 아무리 밝아도 눈에 보이는 밝기는 지구와 떨어진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하기 때문이죠. 이에 모든 별이 일정한 거리에 있다고 가정하고 별의 밝기를 등급으로 매긴 것이 ‘절대등급’이에요. 태양의 경우, 겉보기등급은 -26.8등급이고 절대등급은 4. ... ...
- Part 3.감마선 별자리, 하늘을 수놓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3호
- 발사됐어요. 지구 대기가 우주에서 오는 감마선 대부분을 흡수하기 때문에 이 위성은 지구 저궤도를 돌면서 우주를 관측하죠. 페르미 망원경이 10년 동안 관측한 천체의 목록이 3000개가 넘게 쌓이자, 과학자들이 감마선 천체를 연결하여 새로운 별자리를 만들기로 한 거예요. 감마선 별자리 중 어떤 ... ...
- Part 1.미래 직업, 삶이 맘에 안 들면 농부가 돼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2호
- 세계 인구가 97억 명을 넘어설 것으로 예측했어요. 이처럼 인구는 폭발적으로 늘지만 지구온난화의 영향으로 옥수수와 밀 등 주요 식량을 생 산하는 건 점점 어려워지고 있어요. 2017년 미국과학원 회보는 논문 70여 편을 분석해 지금과 같은 속도로 지 구온난화가 계속되면 21세기 말 전세계 주요 ... ...
- Part 4. 극한 농업, 사막에서 성공하면 기후변화도 거뜬!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2호
- 땅에 물을! 사막농업 기후 변화로 가뭄이 잦아지고 각종 개발로 삼림이 파괴되면서 지구 곳곳에서 우리나라 크기의 땅이 매년 사막이 되고 있어요. 노르웨이 과학자 크리스티안 올레센은 이런 사막화의 대안으로 사막 농업을 연구하고 있어요. 2017년 12월, 올레센은 아랍에미리트의 한 사막 ... ...
- Intro. 지구 밖 실험실에선 무슨 일이? 국제 우주 정거장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2호
- 사람들이 많이 없어서겠지. 무슨 일이 있었냐고?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지구 밖 실험실에선 무슨 일이? 국제 우주 정거장Part 1. 빈집 위기에 처한 ISS?Part 2. 평범한 일상도 우주 실험이 된다!Part 3. “다음 정거장은 달입니다 ... ...
- Part 2. 평범한 일상도 우주 실험이 된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2호
- 한꺼번에 실어 처리하고 있다. 여기서 문제는 쓰레기가 공간을 차지한다는 것과, 지구 궤도를 벗어나 먼 우주로 탐사를 떠날 때엔 이런 방법을 사용할 수 없다는 점이다. 그래서 미국항공우주국은 우주에서 발생하는 쓰레기를 우주에서 바로 재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 중이다. 그중 하나는 ... ...
- [통합과학 교과서] 아저씨의 배신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2호
- 만들어지지요. 이 기술을 활용하면 화석 연료에서 수소 기체를 얻던 기존의 방법보다 지구를 오염시키지 않을 수 있어요. 또 똥과 오줌으로 전기 에너지를 만드는 방법도 있어요. 농촌진흥청은 지난 달 소의 똥으로 전기를 만드는 기술을 개발했지요. 미생물이 들어있는 연료전지에 가루로 만든 소 ... ...
이전19519619719819920020120220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