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지구"(으)로 총 8,834건 검색되었습니다.
- 달나라 여행 가이드 맵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9호
- 유사쿠 설립자는 1972년 아폴로 17호가 달에 다녀온 이후, 46년 만에 다시 달을 방문하는 지구인이 됐어요. 유인 달 탐사는 아폴로 17호가 마지막이었거든요. 최초의 유인 달 탐사는 1968년, 세 명의 우주 비행사가 ‘아폴로 8호’를 타고 달 궤도를 돌면서 시작됐어요. 이후 아폴로 11호, 12호, 14호, 15호, 1 ... ...
- 달나라 여행 광산 투어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9호
- 사이사이에 공간이 생겨요. 지구라면 중력 때문에 그 공간이 아주 작지만, 달의 중력은 지구의 6분의 1밖에 되지 않지요. 따라서 달에서는 그 사이 공간에 태양에서 날아온 헬륨-3이 끼어들 수 있는 거예요. 이렇게 달의 토양에 끼어든 헬륨-3의 양은 상당해요. 중국의 달 궤도선인 ‘창어 1호’가 ... ...
- 초롱아귀가 위험하다? 트와일라잇 존을 지켜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9호
- 나는야, 머리에 반짝반짝 빛나는 초롱을 단 초롱아귀. 저녁 어스름처럼 햇빛이 겨우 닿는 깊은 바다 ‘트와일라잇 존’에 살지. 지금껏 깊 ... 계속 보시려면?Part1. 초롱아귀의 고향, 트와일라잇 존Part2. 트와일라잇 존, 바다눈이 지구온난화 막는다!Part3. 탐사 로봇, 트와일라잇 존을 부탁해 ... ...
- [지구사랑탐사대] 숲속 개미 찾기!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9호
- 작은 산속으로 향했어요. 이곳에 숨어 있는 작은 개미 친구들을 만나기 위해서였지요. 지구사랑탐사대의 첫 개미 탐사에서 대원들은 어떤 개미들을 만났을까요? 장님침개미를 아시나요?“개미들은 주로 돌 아래에 집을 많이 지어요. 그래서 산에 있는 큰 돌을 들추면 쉽게 개미를 찾을 수 ... ...
- [출동! 기자단] 이끼도롱뇽 탐사를 가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8호
- 8월 26일, 장대비가 쏟아지는 장태산자연휴양림에 지구사랑탐사대가 모였어요. 바로 ‘이끼도롱뇽’ 탐사를 하기 위해서였지요. 폭우 속에서도 이끼도롱뇽을 찾겠다는 열정이 불타올랐던 탐사 현장으로 함께 떠나 봐요! 만나기 힘들다는 이끼도롱뇽을 단번에 발견?!“이끼도롱뇽은 ... ...
- 블루카본이 도대체 뭐람?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8호
- 염습지와 갯벌 같은 해안 생태계가 흡수하는 탄소를 뜻한답니다.최근 블루카본은 지구 온난화를 막을 새로운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어요. 그 이유는 해안 생태계가 그 어떤 곳보다 탄소를 더 빨리, 더 많이 흡수할 수 있기 때문이에요. 해안 생태계는 바다 전체면적의 2%에 불과하지만, 바다로 ... ...
- 갯벌 열대우림보다 훌륭한 탄소 저장고!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8호
- 땅이라 여겨지던 갯벌이 새로운 블루카본의 보고로 주목받고 있다고? 지구의 허파 아마존도 갯벌한텐 안 돼!식물들만 탄소를 흡수하는 것은 아니에요. 바닷물이 드나드는 갯벌도 탄소를 흡수하죠. 갯벌에는 염생 식물 대신 식물 플랑크톤인 미세조류가 살고 있어요. 미세조류는 식물처럼 광합성을 ... ...
- [스미스의 탐구생활] 화석에 담긴 공룡 시대!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8호
- 수액에 덮여 빠져나오지 못하고 몇 천만 년 동안 화석 속에 남아 있는 거예요.최근 중국 지구과학대학교 리다 싱 박사가 부화한 지 얼마 안 된 1억 년 전 아기 새가 담긴 화석을 발견했어요. 지름 7.6cm의 호박 속에 갇힌 아기새는 목, 머리, 날개, 꼬리 등이 온전한 상태로 보존됐지요. 이 새는 약 650 ... ...
- [지구를 위한 과학] 매미 찾아 삼만리! 배윤혁, 허지만 연구원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8호
- “특별한 매미를 찾으러 대마도로 갑니다!” 지사탐 어벤져스 배윤혁, 허지만 연구원은 지난해 5월부터 지금까지 매미가 있는 곳이라면 전국 어디든 가리지 않고 찾아 다녔어요. 결국 전국 150곳에서 한국에 서식하는 매미 12종을 모두 채집했죠. 그런데 두 연구원은 한국에 그치지 않고 일본 대마 ... ...
- [엉뚱발랄 생각실험실] 컵에 담겨 있는 건 물일까?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8호
- 퍼트넘은 단어의 뜻이 우리의 머릿속에 있는 것인지 아닌지를 알고 싶어 ‘쌍둥이 지구’ 실험을 만들었지요. 이 질문은 세계가 무엇으로 이루어져 있는지에 대한 물음으로도 이어져요. 어떤 단어의 ‘뜻’이라는 추상적 개념은 어디서 오는 걸까요? 가설 1처럼 우리의 머릿속에 있는 걸까요? ... ...
이전19920020120220320420520620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