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태양
손해
손상
햇빛
불리
훼손
상해
스페셜
"
해
"(으)로 총 2,577건 검색되었습니다.
잠이 모자란 판사는 형량을 더 높게 선고한다?
2017.03.25
"나를 아끼고 돌봐야지, 그렇고 말고. 그런데 도대체 어떻게 하는거야?" 그 심리학적
해
답을 함께 알아가는 책입니다. 다친 내 마음을 돌보고 단련하게 도와줄 다양한 실천코너를 만나보실 수 있어요. : ... ...
죽음의 바다가 된 ‘그레이트 배리어 리프’
동아사이언스
l
2017.03.19
지구온난화로부터 보호하기 위
해
세계적인 노력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지난
해
2월 26일(왼쪽)과 4월 19일(오른쪽)에 찍힌 그레이트배리어리프 산호초의 모습. 불과 몇 주 만에 산호초가 색을 잃었고 바다의 생동감 역시 사라져버렸다. - 네이처 제공 ... ...
11만 년 전 동아시아에는 머리가 아주 큰 사람이 살았다
2017.03.14
서로 교류했는지 또 오늘날 동아시아 사람들에게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궁금증이 더
해
간다. 지금까지 고인류학 분야에서 아프리카에 쏟아 부은 인력과 비용, 시간에 비하면 아시아 발굴은 미미한 편이다. 따라서 앞으로 또 얼마나 놀라운 발견이 이어질지 기대감이 높다. 중국 ... ...
이 세상에 없는 새로운 물질 형태를 찾아내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3.12
하버드대 최순원‧최준희 박사팀은 다이아몬드를 구성하는 탄소 원자에 전자기파를 통과
해
시간 결정의 진동을 관측했습니다. 방법은 다르지만 두 연구는 모두 같은 결과를 의미합니다. 기존의 물리학으로는 설명할 수 없었던, 또한 발견되지 않았던 새로운 상태의 물질을 만들어낸 것이지요. ... ...
권력형 성폭력, 어떤 경우에 더 많이 일어날까?
2017.03.12
사회의 인식이나 문화 역시 책임질 부분이 커 보인다. 남성이 항상 여성 위에 존재
해
야 하며 항상 세 보여야 하고 ‘기’가 살아 있어야 한다고 하는 성차별적 인식 역시 남성들로하여금 ‘과도한’ 권력욕을 갖게 만들고 소위 잘 나가는 여성들에게 금세 ‘위협’을 느끼게 만드는 등 권력 추구형 ... ...
양자컴퓨팅의 세계, 기초과학이 토대 세운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3.07
성능이 개선되고 크기도 줄어들면서(가격도 내려가고) 지금 컴퓨터처럼 갖가지 문제
해
결에 활용될 것이란 전망이 점점 설득력을 얻고 있다. * 본 콘텐츠는 기초과학연구원의 온라인 뉴스레터 IBS 뉴스레터에서 발췌한 내용입니다. * 기초과학연구원(IBS) 뉴스레터 구독신청 ... ...
가난한 사람을 보면 사람들은 어떻게 변할까?
2017.03.05
경우, 자기와 자기 주변의 다른 백인 남성들을 떠올리며 ‘우리는 이렇게 열심히 일
해
서 잘 살게 되었는데 저 사람은 분명 게으르거나 충분히 열심히 살지 않았을 것’이라며 더 쉽게 그 사람의 상황을 판단하게 될 수 있다고 한다. 또 다른 가능성으로 제시된 것은 ‘부자들과 자신을 동일시’하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식충식물 세팔로투스 게놈을
해
독
해
보니...
2017.02.21
수 있는 영양분이 얼마 없는 조건에서 살아남으려다보니 잎에서 직접 영양분을 얻는
해
결책을 찾은 것이다. 따라서 영양이 풍부한 환경에서는 식충식물이 광합성에 뛰어난 평범한 잎만 지닌 식물들과의 경쟁에서 오히려 밀린다고 한다. 즉 식물이 벌레에 입맛을 들이게 된 건 탐욕스러워서가 아니라 ... ...
[표지로 읽는 과학] 천연항생제 내뿜는 바다의 파수꾼 ‘
해
초’
동아사이언스
l
2017.02.19
‘사이언스’ 2월 17일자 표지에는 바다에 사는 종자식물인 ‘
해
초’가 등장했다.
해
초가 세균을 죽이는 물질을 내뿜어 인간과
해
양생물에게
해
를 끼치는 병원균을 최대 50%까지 줄 ... 알을 낳고 새끼를 키우는 보금자리인 산호가 파괴되면서 어획량이 감소하는 것도 사람에게 큰 피
해
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박테리아도 튜링테스트 받았다
2017.02.14
인공세포를 넣어준 경우는 175개에서 차이가 보였다. 즉 발현의 관점에서 신호에 반응
해
신호를 내놓는 인공세포를 진짜 동료로 인식한 유전자는 68개란 말이다. 연구자들은 기능이 없는 인공세포의 ‘생명도(lifelike)’를 0%로 하면 기능이 있는 인공세포는 생명도가 39% (68/175)라고 볼 수 있다고 ... ...
이전
195
196
197
198
199
200
201
202
20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