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태양
손해
손상
햇빛
불리
훼손
상해
스페셜
"
해
"(으)로 총 2,571건 검색되었습니다.
[사이언스 지식IN] ④ 독감, 재발하기도 하나요?
동아사이언스
l
2016.12.21
마스크는 독감 확산을 막기 위
해
꼭 지켜야 할 기본 안전 수칙이다. - 포커스 뉴스 제공 독감이 계속 기승을 부리고 있습니다. ‘(공지) 최 대리는 ... 있습니다. 동아사이언스에서는 계속
해
서 이슈에 따라 시리즈로 독감에 대한 지식을 전
해
드립니다. 추운 날씨 건강 유의하시길 바랍니다 ... ...
"내가 이러려고 돈 벌었나? 자괴감 들지 않으려면..."
2016.12.21
받을 수 있다. 따라서 2016년도 한
해
동안 세액공제 혜택을 최대로 높이고 싶다면 올
해
12월 27일까지 개별적으로 공제회에 직접 납부하면 된다. ■ 퇴직연금 회원부담금 개별납부 방법 (안내) 공제회 홈페이지 > 열린마당 > 자료실 > 퇴직연금급여사업 > 11번 게시글 참조 바로 가기 : www.sema.or.kr/front ... ...
성인병의 주범? 콜레스테롤의 오
해
와 진실
2016.12.21
갑자기 증가할 수 있으므로 주의
해
야 한다. 콜레스테롤이 높은 음식을 먹을 때에는
해
조류, 채소 등 수용성 식이섬유가 풍부한 음식과 함께 먹는 것이 좋다. 식이섬유가 콜레스테롤의 배출을 도와주기 때문이다. 육류의 지방이나 생크림, 버터와 같은 동물성 지방은 가급적 줄이는 편이 좋다. 기름의 ... ...
끈이론의 대가, 삼라만상의 정보에 심취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6.12.21
싶다"고 포부를 밝혔다. 그는 대한민국이 인류 문명을 선도하는 꿈을 실제로 실현
해
가고 있는 현장을 창조하고 있는 중이다. * 본 콘텐츠는 기초과학연구원의 온라인 뉴스레터 IBS 뉴스레터에서 발췌한 내용입니다. * 기초과학연구원(IBS) 뉴스레터 구독신청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8) 힉스 메커니즘을 제안한 토머스 키블
2016.12.21
제안하기도 했다. 2013년 노벨상 수상자 발표 뒤 많은 사람들이 그가 포함되지 않은데 대
해
아쉬워했지만 정작 키블은 말을 아꼈다고 한다. ※ 필자소개 강석기. 서울대 화학과와 동대학원을 졸업했다.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했으며, 2000년부터 2012년까지 동아사이언스에서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7) 메타개체군 연구를 심화시킨 ‘일카 한스키’
2016.12.20
생태학’은 이 분야의 바이블이다. 2000년 한스키는 헬싱키에 메타개체군연구센터를 설립
해
관련된 다양한 분야의 인재들을 끌어 모았다. 그는 후배들이 손을 흔들 때마다 기꺼이 도움을 주면서도 ‘상당한 지적 기여’를 했다고 판단하지 않는 한 논문에 공동저자로 이름을 올리는 걸 거부했다. ... ...
조류독감, 사람에게 전염되나요?
동아사이언스
l
2016.12.20
GIB 제공 지난 11월 16일 국내에서 발생이 확인된 고병원성 조류독감(AI)은 현재까지 가금류 2000만 마리의 목숨을 뺏어갔습니다. 물론 그중 대부분 ... 있습니다. 동아사이언스에서는 4회에 걸쳐 반드시 알아야하는 조류독감에 대한 지식을 전
해
드립니다. 추운 날씨 건강 유의하시길 바랍니다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6)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분자를 발견한 '
해
리 크로토'
2016.12.19
컬 교수는 1933년생으로 가장 연장자이지만 2005년 ‘네이처’에 스몰리의 부고를 썼고 올
해
역시 ‘네이처’에 칼텍의 제임스 히스 교수(1985년 풀러렌 논문의 공동 저자)와 함께 크로토의 부고를 썼다. ‘세상에 온 순서는 있어도 가는 순서는 없다’는 옛말이 실감난다. ※ 필자소개 강석기.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5)
해
양 역사를 재구성한 '
해
리 엘더필드’
2016.12.18
분야에도 손을 뻗쳐 단세포
해
양 원생생물인 유공충의 껍데기 조성을 분석
해
과거
해
양의 성분과 온도 변화를 재구성하는 방법을 개발하기도 했다. ※ 필자소개 강석기. 서울대 화학과와 동대학원을 졸업했다.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했으며, 2000년부터 2012년까지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4)생역학의 개척자, 맥네일 알렉산더
2016.12.16
하는 반면 사람과 큰 동물은 근육을 써서 뛰어오른다. 1976년에는 발자국 화석을 분석
해
공룡의 이동속도를 추측하는 논문을 발표하기도 했다. 당시 그가 만든 수식에 따르면 공룡은 초속 1~3m로 이동하는 느림보로 밝혀져 사람들을 놀라게 했다. 훗날 정밀한 골격 분석 결과 초속 3~8m로 업데이트됐다. ... ...
이전
198
199
200
201
202
203
204
205
206
다음
공지사항